201~300/(251~275)2020. 9. 12. 09:46

(No.256)—1985년 2월 첫째 일요법회(85.02.03) (80분)

(1/4) 약 20분. (2/4) 약 21분. (3/4) 약 20분. (4/4) 약 17분.

(1/4)----------------

 

좌간백운청수성(坐看白雲聽水聲)한데  도로성색본가풍(都盧聲色本家風)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일륜상월만공산(一輪霜月滿空山)한데  한안여천향북비(寒雁唳天向北飛)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좌간백운청수성(坐看白雲聽水聲)하니, 도로성색(都盧聲色)이 본가풍(本家風)이로구나.

앉아서 흰구름을 보고 흐르는 물소리를 들으니, 모든 소리와 그 색상이 본래가풍(本來家風)이드라.

 

일륜상월(一輪霜月)이 만공산(滿空山)한데, 한안(寒雁)이 여천향북비(唳天向北飛)다.

한 바퀴 서릿달이 빈산에 가득한데, 휘황찬 밝은 서리친 밤에 그 둥근달이 빈산에 가득한데, 차운 기러기는 북쪽을 향해 울며 날아가는구나.

 

 

오늘은 85년도 2월 첫째 일요법회 날입니다. 아울러서 우리 용화사에 어린이 법회를 시작한 이래로 2주년을 맞이하는 날을 맞이했습니다.

그래서 이 법회가 끝나고 나서는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하모니카 할아버지라고 그 이해창 선생님을 초빙을 해서 어린이 법회 2주년을 축하하고, 겸해서 6학년 어린이가 졸업을 하게 되니까 그 졸업 송별을 기념하는 뜻과 아울러서 오늘 이 법회에 이어서 그런 행사가 간단히 있겠습니다.

 

달마 스님께서 인도에서 140세까지 법(法)을 펴시다가, 140세에 중국으로 오셔서 9년면벽(九年面壁)을 숭산(崇山) 소림사에서 하시고, 혜가 대사에게 법을 전하셨는데,

그 달마 스님께서 설하신 『달마혈맥론(達摩血脈論)』, 『달마관심론(達摩觀心論)』, 『달마사행론(達摩四行論) 』, 이런 대단히 요긴한 법문이 전해 오는데,

 

그 혈맥론에 볼 것 같으면 ‘불급심사(不急尋師)면 공과일생(空過一生)이다'

'도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제일 먼저 바른 스승을 찾아야 한다'고 한 말씀을 강조를 하셨습니다.

 

부처님의 십대제자(十大弟子) 가운데에도 왼팔은 사리불(舍利弗) 존자(尊者)요, 오른팔은 목련(目連) 존자라. 사리불과 목련 존자는 그 십대제자 가운데에도 제일 손꼽는 그런 부처님의 수제자이신데, 그 두 제자는 금지국(金地國)이라고 하는 나라에, 그 전생은 금지국왕이고 하나는 그 왕비였습니다.

그 왕이 세상을 떠나니까 그 왕비가 자기도 같이 왕의 화장하는 불더미 속에 뛰어들어 가지고 세세생생(世世生生)에 다시 함께 태어나기를 발원하는 뜻으로 죽음을 같이 했던 것입니다.

 

그래 가지고 그다음 생에 태어나기는 같이 태어나기를 바랐지만, 닦은 바 업(業)이 서로 똑같지 아니했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태어났으나, 그래도 같은 외도(外道)의 제자가 되어서 그 외도 밑에서 공부를 하다가 그 외도가 죽으니까 거기서 떠나가지고 결국은 부처님을 찾아와서 부처님의 제자가 되었던 것입니다.

 

그 사리불이 지혜가 뛰어난 그러한 훌륭한 아라한(阿羅漢)인데, 오늘은 그 사리불 존자에 대한 말씀을 우리가 듣고서 우리의 수행해 나가는 데에 좋은 채찍을 삼고 거울을 삼는 것이 좋으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부처님께서 입정(入定)을 하시고, 방선(放禪)을 하고 난 다음에 포행(布行)을 하시는데 부처님의 아들 나후라(羅睺羅) 존자가 부처님의 뒤를 따라서 모시고서 같이 이렇게 포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부처님께서 그 당신의 아드님이신 나후라 존자를 이래 눈여겨보시니까 너무 야위었다 그말이여. 살이 하나도 붙어 있지 않고 혈기가 없고 야위니까, “네가 몹시 여위었구나” 그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우리가 부처님을 생각하기에는 생사를 해탈하셨고, 일체 중생의 희로애락도 다 초월하셨고, 모든 인정과 그런 것도 다 초탈하신 그런 성현이시고, 땅에 발을 디디시지 아니하고 저 오색구름이 영롱한 위로 다니시며 우리 인간과는 영판 거리가 먼 그런 위대한 성현으로 우리는 받들어 모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원시경전(原始經典)에 보면 부처님도 우리 인간과 조금도 다름없는 정말 다정한 할아버지와 같은 그러한 따스한 면을 가지시고 그런 자비에 넘치는 눈매로 제자들과 일체 중생을 따뜻하게 이렇게 보살펴주시는 그러한 면이 넘쳐흐르는 것을 우리는 느낄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 당신의 아들이, 하나 밖에 없는 아들이 당신을 따라서 출가를 했는데, 항시 공부를 제대로 하는지 그런 것이 관심이 있다고 해서 ‘부처님이 아니다. 어찌 그런 성현이 당신 아들에 대한 애착을 가질 것인가’

애착이 아니라 인연이 있기 때문에 “네가 참 몹시 여위었구나” 그 한 말씀하시는 데 우리는 너무너무 참 이 콧등이 찡하는 그런 것을 느낄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그 나후라 존자가 말씀을 하기를, “만약 사람이 기름기 있는 것을 먹으면 힘이 생기고, 또 우유로 만든 소락(蘇酪)을 먹으면 피부가 윤택하고, 또 삼 찌꺼기나 채소 같은 것을 먹으면 몸에 기력이 없다고 하는 것을 대덕(大德) 세존(世尊)께서는 응당히 잘 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뜻으로 게송(偈頌)으로써 대답을 해 올렸던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그 말씀을 듣고 끄덕끄덕 하시면서 그것에 대해서는 말이 없으시고 “대중 가운데에 누가 제일 상좌(上座)냐?” 이렇게 물었습니다.

그러니까 나후라 존자가 대답하기를 “화상(和尙) 사리불이 제일 윗자리에 앉으십니다”

 

본래 나후라 존자가 출가할 때에 사리불의 상좌(上佐)를 삼아 주셨던 것입니다. 사리불에게 당신의 어린 아들을 맡겨서 잘 가르키고 지도하도록 그렇게 사리불을 은사(恩師)로 삼아 주었는데.

“그 사리불이 제일 윗자리이십니다” 그러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은 부정식을 하느니라”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부정식(不淨食). ‘아니 불(不)’자, ‘조촐할 정(淨)’자, ‘밥 식(食)’자, 깨끗하지 못한 식사를 했다.

 

원래 부정식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한 가지는 하구식(下口食). 입을 아래로 하고 얼굴을 아래로 두르고 일을 해서 먹고사는 직업을 하구식이라 합니다.

예를 들자면 땅을 파서 곡식을 심어 먹는다든지, 나무를 심어서 이익을 얻는다든지 또는 약초를 심어서 약장수를 한다든지 이런 것은 모두 얼굴을 아래로 두르고 땅에서 그 땅을 이용을 해가지고 먹고사는, 직업을 삼는 이것을 ‘아래 하(下)’자, ‘입 구(口)’자, 하구식이라 그러고.

 

그다음에 앙구식(仰口食)이라 하는 것이 있는데, 얼굴을 하늘로 두르고 거기서 하는 직업.

예를 들자면은 별을 관찰한다던지, 해와 달을 관찰한다던지, 또는 바람이나, 비나, 번갯불 모다 이런 것을 갖다가 일기(日氣), 기상(氣象) 이런 것을 관측해 가지고 그것을 직업으로 삼아 먹고사는 것을 앙구식이라 하고.

 

그다음에 셋째는 방구식(方口食)이라 하는 게 있는데, ‘모 방(方)’자. ‘모 방(方)’자는 동서남북을 이것을 인자 사방(四方)이라 그러는데,

동서남북 사방의 그 방구식이라 하는 것은 동쪽, 서쪽에 있는 모다 권세 있는 집을 이리저리 쫓아다니면서 그 앞에 굽신거리고 아첨하고 아부하고 해 가지고, 권문세도(權門勢道)에 붙어가지고 거기서 돈을 얻고 그 권리에 빙자(憑藉)해서 그래서 먹고사는 거, 그런 것을 갖다가 방구식이라 그러고.

 

그다음에 넷째는 사유구식(四維口食)이라. ‘유’자는 ‘오직 유(維)’자인데, 동서남북 그 사이사이에 있는 간방(間方)을 사유(四維)라 하는 것입니다. 동남간방, 동북간방, 서남간방, 서북간방, 이 간방을 사유라 그러고, 동서남북 그것을 사방이라 그러는데, 그 네 간방을 향해서 벌어 먹고사는 것.

그건 뭐냐 하면은 점(占)을 치고, 주술을 사용을 하고 그래가지고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따져서 하는, 요새 같으면은 사주관상을 하고, 점을 치고 하는 그러한 직업을 갖다가 사유구식이라 하는데, 그러한 방법을 해가지고 먹고사는 것을 갖다가 사유구식이라 하는데.

 

하구식, 앙구식, 그리고 방구식, 사유구식, 이것을 사부정식(四不淨食)이라 그러는데, 원래 ‘비구, 비구니 출가인은 이 네 가지의 부정한 것을 직업으로 해가지고 의식주를 해결하지 말아라’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사리불은 부정식을 하느니라” 그랬으니, 사리불이 설마 인자 막 말씀드린 이러한 유(類)의 부정(不淨)한 방법으로 직업을 삼아서 의식주를 조달했다고는 생각이 되지 않고.

이 독청(獨請). 어느 왕이나, 장자나, 대신이나 이런 신심 있는 신도가 공양(供養)을 청(請)할 때에 대중적으로 가는 것은 좋으려니와 단독으로 초청을 받아서 가서 하는 것, 이러한 것을 갖다가 이것도 하나의 이러한 의미의 부정식을 했다고 하신 것이 아닌가, 그리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부처님께서 “사리불은 부정식을 했느니라”한 그 말씀이 나후라 존자를 통해서 했던지, 다시 또 다리를 건너서 갔던지, 사리불이 그 말씀을 듣고서 결심을 하기를 ‘어떠한 사람이, 어떠한 경우에 나를 공양을 청하더라도 나는 일체 응하지 아니하리라’ 이렇게 딱! 결심을 했던 것입니다.

 

그때에 파사익왕(波斯匿王)이라고 하는 임금님이 있었는데, 그 파사익왕과 수달장자(須達長者) 두 분이 회상(會上)에 와 가지고 사리불을 친견을 하고 “사리불 존자께서 공양을 청해도 오시지 아니하니 그럴 수가 있습니까? 부처님께서도 공양을 청해도 잘 오시지 않고 또 그 수제자이신 사리불 존자도 공양을 청해도 오시지 아니한다면 우리 백의단월(白衣檀越) 신도들이 어떻게 신심을 돈독히 하고, 청정한 마음을 내고 복을 지을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니까 사리불 존자가 말하기를 “부처님께서 나 보고 부정식을 했다고 하셨는데 내가 어찌 그 말씀을 듣고 감히 공양을 청할 수가 있겠는가”하고 딱 거절했습니다.

 

그러니 파사익왕과 수달장자가 부처님께 가서 “부처님도 공양에 응하시지 않고 사리불도 응하시지 아니한다면 우리 같은 세속에 사는 단월들이 어떻게 신심을 드높이고 공덕을 쌓을 수가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제발 사리불한테 특명을 내려서 그런 생각을 고쳐서 공양에 응하도록 좀 해 주십시오” 그렇게 간청을 했습니다.(처음~20분10초)

 

 

 

(2/4)----------------

 

부처님 말씀이 “사리불은 마음이 굳기가 강철 같아서 아무리 내가 말해봤자 응하지를 않을 것이다”

 

“어째서 그렇게 사리불은 부처님의 그런 특명도 응하지 않고 그렇게 고집을 부릴 수가 있겠습니까?”

“그건 다름이 아니다.... ”

 

옛날에 한 국왕이 있었는데, 그 국왕이 사냥을 나갔다가 독사(毒蛇)에 물렸는데, 한번 물리면은 그 독이 전신으로 번져가지고 막 몸이 부어서 죽어 가는데,

국왕이 많은 의사를 불러다가 ‘빨리 이 내 병을 고치라’고 특명을 내려서 그래서 명의를 갖다가 여러 사람을 불러다가 치료를 하는데, 그 독사가 너무 무서운 독사여서 도저히 자기네들의 그 치료 방법으로서는 나을 수가 없어서...

 

‘그러면 어떻게 하면 이걸 고칠 수가 있느냐?’

‘이것은 그 문 그 독사를 다시 불러서 그 독사로 하여금 그 문 자리에서 독기를 스스로 빨아내게 하는 재주 밖에는 없습니다’

 

‘그럼 빨리 그 독사를 불러들여라’

그래가지고는 의사들이 주문을 외워가지고 그 문 독사가 제 발로 임금님 계신 데에 오게끔 했습니다.

 

독사가 오니까 그 옆에다가 장작불을 갖다가 쌓아서 불을 피워 놓고서, 그 독사 보고 하는 말이, ‘네가 이 상감마마를 물었으니, 상감마마에 그 문 자국에서 독기를 스스로 빨아내서 상감마마를 다시 살아나게 한다면 네 목숨을 살려주려니와 그렇지 않다면은 너는 이 불더미 속에 넣어서 꼬실라 죽이겠다’

 

독사가 그 말을 듣고 한참 생각하더니 ‘내가 물어서 독한 독을 갖다가 뱉어 냈는데 어찌 감히 다시 그 독을 내가 다시 빨아먹을 수가 있겠는가. 차라리 그럴 바에는 내가 이 불속에 뛰어들어서 죽을 수밖에 없다’

그래가지고 그 불속으로 뛰어들어가 가지고 죽었는데, 그때 그 불속에 뛰어들어 죽은 독사가 사리불의 전신(前身)이다 이것입니다.

 

그래서 사리불은 과거에 독사(毒蛇)가 되었던 그 인연—독사라 하는 것은, 원래 독사의 몸을 받는 것은 신경질을 잘 내고, 골을 잘 내고, 조그마한 일에도 불쑥불쑥 화를 잘 내고, 이러한 과보(果報)—진심(瞋心)을 많이 내면 그것이 인자 독사의 과보를 받는 것인데.

그런 독사의 몸을 받았던 과거가 있고 또 불속에 뛰어든 그런 성격으로 인(因)해서, 여러 생(生)을 사람으로 태어나서 도를 닦고 마침내는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증득해서 지혜가 제일가는 그러한 성현이 되어가지고서도 사리불은 그 진심 내는 여습(餘習)이 항시 있었던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사리불은 부정식을 했다’ 그러면, 부정식만 아니하면 되었지,

‘일체 공양까지 내가 응하지 아니하리라’ 그러한 결심 그러한 성격은 다분히 신경질적인, 그러한 전생에 독사의 몸을 받았을 때 가졌던 그 진심(瞋心)의 여습의 찌꺼기가 남아 있는 증거다, 이렇게 말을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또 부처님 십대제자에 아나율(阿那律) 존자라 하는 분이 계시는데, 그분은 부처님 법문을 듣다가 꾸벅꾸벅 졸았습니다. 그걸 보시고 부처님이 크게 꾸지람을 하셨습니다.

“도를 닦는 수행자가 법문을 들을 때 졸을 수가 있느냐? 똥을 가지고는 아무리 좋은 조각을 한다 해도 소용이 없는 것이고, 변소에다가는 아무리 울긋불긋 단청을 해봤자 그것을 아름답다고 할 수가 있겠느냐” 그런 비유를 드시면서 크게 꾸지람을 하셨는데,

 

아나율 존자는 그 부처님의 꾸지람을 깊이 명심(銘心)을 해가지고 ‘내가 도업(道業)을 성취할 때까지는 결정코 잠을 자지 아니하리라’ 이렇게 명심을 했습니다.

 

그래가지고 밤이나 낮이나 옆구리 땅에 대지 아니하고, 잠을 자지 아니하고, 잠이 오면 일어서서 포행을 하고, 온갖 방법을 써서 잠을 쫓으면서 기어코 잠을 안 자면서 계속해서 가행정진을 용맹정진을 했던 것입니다.

그러니 하루, 이틀, 일주일, 열흘, 보름, 한 달이 되니까 잠을 안 자니까 눈이 발간 하니 되더니 나중에는 눈갓이 찌적찌적하니 물르고 나중에는 눈이 차츰차츰 어두워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부처님께서 그것을 대단히 걱정을 하시고 기파(耆婆) 대감을 시켜서 치료를 시켰습니다.

기파대감이 아무리 약을 쓰고, 침을 놓고, 여러 가지 치료를 했습니다마는 차도(瘥度)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이 “이제 좀 차도가 어떠냐?”

“저로서는 치료할 수가 없습니다”

 

“왜 치료를 할 수가 없단 말이냐?”

“약을 쓰고 치료를 하면서도 잠을 푹 자야만 치료가 될 텐데. 잠을 일절 안 주무시니 아무리 치료해 봤자 효과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래 부처님께서 “육체가 있어야 도를 닦는 것이니 어찌 그렇게 어리석게 해가지고 치료를 지연을 시킬 수가 있느냐, 잠을 자라”해도, “저는 도를 성취할 때까지는 결정코 잠을 자지 않겠습니다”

부처님이 아무리 타이르고 꾸짖어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마침내 아나율 존자는 두 눈이 멀어버리고 말았습니다. 두 눈이 멀자 아나율 존자는 천안통(天眼通)을 얻었다 그랬습니다.

천안통을 얻었으나 육안(肉眼)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옷을 꿰맨다든지 모다 그러한 일이 있을 때에는 부처님께서 손수 바늘귀를 끼워주시고, 바느질도 해주시고, 평생을 그렇게 보살펴 주시는 자비를 내리셨다고 하는 것이 전해 내려옵니다마는.

 

부처님의 십대제자나 육조 스님까지 삽삼조사(卅三祖師)는 다 전생에 불보살이 그런 화현(化現)으로 나타나가지고, 부처님의 법(法)을 등등상속(燈燈相續)해서 전해 내려왔다고 하는 말씀도 있기는 하지만.

그래서 삽삼조사는 아라한이지만 권아라한(權阿羅漢)입니다. 실지로 다생(多生)에 닦은 것이 겨우 아라한 밖에는 안 된 것이 아니고, 불보살 화현이 그 부처님의 법을 전해 내려오기 위해서 권(權)으로, 방편으로 아라한의 몸으로 출세를 하신 것으로 우리는 믿고 있습니다마는.

 

아라한의 성질은 다분히 그런 성현이면서도 조그마한 일에 탁! 골을 잘 내시고, 요새 말로 신경질적인 그러한 성격의 일모(一貌)가 있다고 하는 것이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독성(獨聖) 기도나 그런 기도는 정말 몸을 깨끗이 하고, 모든 음식으로부터 모든 조그마한 행실에 이르기까지도 어긋남이 없이 청정한 마음과 청정한 몸으로 기도를 해야지, 잘못하면 벌을 받고, 까딱하면 골을 내 가지고 벌을 주어서 입이 비틀어져 버린다든지, 넘어져서 팔이 부러진다든지, 그러한 일이 있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경험을 통해서 듣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리불 존자도 전생에 독사의 몸을 받았던 그 여습으로 해서 성현이 되어 가지고서도 그런 다분(多分)히 그런 진심(瞋心)의 여습이 있었다고 그렇게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리불 존자나 아나율 존자나 그런 진심(瞋心)을 냈다고만 볼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그 말씀 한마디를 얼마나 깊이 받아들이고 뼛속 깊이 새겨들었으면 말씀 한마디에 ‘내가 도를 이루지 않는다면 결정코 눈을 감고 자지 아니하리라’

‘결정코 내가 어떠한 사람이 어떠한 경우에 공양을 청한다 하더라도 나는 공양에 응하지 아니하리라. 그러고서 세세생생에 청정한 공양을 받고 수행을 하리라’

 

이러한 결심은 우리에게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한 굳은 결심이 없고서야 어떻게 다생겁래(多生劫來)로 쌓인 우리의 업(業)을 극복을 해가지고 도업(道業)을 성취하는 데에 나아갈 수가 있겠습니까?

물에다 술 탄 듯, 술에다 물 탄 듯, 오늘도 이럭저럭, 내일도 그럭저럭 이렇게 해가지고서는 우리는 금생에 도업을 성취할 것을 기약하기는 매우 어려우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세속에 사업을 한다든지, 무슨 학문을 연구를 해서 학자가 된다든지, 무슨 예술가가 된다든지, 사업가가 된다든지, 무엇을 어떠한 방면으로 하더라도 그러한 모질고 모진 그러한 무서운 굳은 결심이 있어야 그 가지가지 난관을 극복을 하고, 어떤 어려운 일을 닥치고, 두 번 실패, 세 번, 네 번, 다섯 번을 실패하더라도 끝까지 물고 늘어져서 그 일을 성취하고야만 말겠다고 하는 그러한 굳은 결심이 아니고서는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거든,

하물며 우리가 이 무량겁 업을 극복을 해가지고 생사해탈(生死解脫)을 하는 이 도(道)에 있어서는 더 말할 것이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취지에서 볼 때에 아나율 존자나 그 사리불 존자의 부처님 말씀 한마디에 그렇게 매서운 결심을 하고, 부처님이 아무리 설득을 하고 꾸짖어도 끝까지 두 눈이 멀 때까지 잠을 자지 아니한다든지,

국왕이 와서 청하고, 수달장자가 와서 청해도 소용이 없고 끝까지 공양에 응하기까지 아니한 그런 것은 우리 말세 중생들에게 그런 굳은 결심을 갖게 하기 위한 하나의 본보기로 그러한 것을 보여주시지 아니 했는가, 이렇게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그 부처님의 왼팔과 같은 사리불(舍利弗) 존자가 두 제자를 가르키는데, 한 제자에게는 백골관(白骨觀)을 하도록 가르키시고, 한 제자에게는 수식관(數息觀)을 하도록 지도를 하셨습니다.

 

백골관 ‘흰 백(白)’자, ‘뼈 골(骨)’자, 백골관이라 하는 것은 공동묘지에 가 가지고, 그 인도는 풍장(風葬)이라 해가지고 사람이 죽으면 땅에 묻지 아니하고 그냥 저 숲속에다 그냥 놔둡니다.

놔두면 독수리란 놈들이 달라들어서 삽시간에 그 눈알도 다 빼먹고 살도 다 뜯어먹고 뼈만 앙상하니 내놓습니다.

 

그래서 뼈가 풍마우습(風磨雨濕)에 닳고 닳고 얼고 불고 해 가지고는 나중에 인자 그것이 다 없어지는데, 처음에 시체를 갖다 놓으면은 차츰차츰 썩어 들어가 가지고는 피부가 인자 문드러져서 다 없어지고, 그 다음에 뼛골만 앙상하게 남아서 닳아져 없어질 때까지 매일 가서 밥만 얻어다 먹으면 계속 그 시체 옆에서 그것을 계속 관찰하는 것입니다. 그걸 관찰을 하면서 거기서 정진하는데 그것을 백골관이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식관(數息觀)이라 하는 것은 숨을 들어마셨다가 잠시 머물렀다가 또 조용히 내쉬고, 또 들어마셨다가 머물렀다 내쉬고 해서, 한 번 들어마셨다 내쉬고 ‘하나’ 또 들어마셨다 내쉬고 ‘둘’,

그렇게 해서 셋, 넷, 다섯, 여섯... 해서 ‘열’까지 세어 올라가면 또 그다음에는 아홉, 여덟, 일곱, 여섯... 해서 거꾸로 세어 내려오고, 또 하나까지 내려오면 하나에서 열, 열에서 하나, 계속 올라갔다 내려갔다.

 

그러면서 그것이 잘되면 그다음에는 하나에서 스물까지 세어 올라가고, 또 스물에서 열아홉, 열여덟, 열일곱... 해서 거꾸로 세어서 하나까지 내려오고. 중간에 딴생각이 나거나, 몇 까지 세었는가를 잊어버리면 다시 또 하나에서 시작하고.

이러기를 서른, 마흔, 쉰... ‘백’까지 세어 올라갔다가 ‘백’에서 아흔아홉, 아흔여덟, 아흔일곱... 해서 하나까지 거꾸로 세어 내려옵니다.

 

계속 새벽부터 저녁, 저녁부터 새벽까지, 날이면 날마다 그 자기의 호흡을 세는 것입니다. 세어 올라갔다... 이것을 수식관이라 하는데.

이 백골관이나 수식관이 우리 수행해 나가는데 대단히 요긴한 하나의 수행 방법이 될 것입니다마는.

 

그런데 그 두 제자가 주야불철(晝夜不撤)하고 그렇게 철저히 정진을 10년, 20년, 30년 이렇게 했습니다. 했는데 깨달음에 이르지를 못했습니다.

못하니까, ‘열반(涅槃)이니, 무루지법(無漏之法)이니, 그따위 것이 어디가 있어? 그러한 것이 있었다면 왜 내가 견성성불(見性成佛)을 못했을까? 그런 것이 없기 때문에 우리가 못했지, 그러한 참으로 깨달음이란 것이 있고, 무루지법이라는 것이 있다면 우리는 벌써 깨달음을 얻었어야 할 거다. 우리가 못한 것으로 봐서는 틀림없이 그런 것이 없어. 괜히 그런 것이 있다고 속여 가지고 우리로 하여금 나가지 못하게 하려고 그런 것이다’

 

‘왜 그런 것이 있다면 깨달을 텐데, 없기 때문에 깨닫지 못할 것이다’하는 생각을 하냐 하면은 ‘오계, 십계, 내지 250계, 계율을 하나도 어김없이 철저히 지키고, 새벽부터 저녁, 저녁부터 새벽까지 일분일초도 게으름을 부리지 아니하고 이렇게 살이 다 마르고, 피골(皮骨)이 상접(相接)하도록 이렇게 하는 데도 깨닫지를 못합니까? 그렇다면야 이거 열반이니, 견성이니, 성불이니 이런 것이 없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그런 말을 스스로도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한테도 이렇게 막 분개해 가지고 막 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그 말씀을 들으시고서 사리불과 그 백골관과 수식관을 한 사람을 불러다 놓고서,

“사리불아! 네가 두 제자를 지도하는데 있어서 방법이 거꾸로 되었느니라. 한 사람은 세탁업을 하던 사람이고, 한 사람은 쇠붙이를 다루는 성냥간을 하던 사람인데, 쇠붙이를 다루는 성냥간 하는 사람에게는 응당 호흡을 세는 수식관을 시켜야 옳고, 세탁업을 하던 사람에게는 백골관을 시켜야 할 것인데, 너는 꺼꾸로 성냥간하는 쇠붙이 다루는 사람에게는 백골관을 시켰고, 또 세탁소업을 하는 사람에게는 수식관을 시켰어.

꺼꾸로 시켰기 때문에 그 수행 방법과 그 사람과의 인연이 맞지 아니해서 그렇게 피골이 상접하도록 정진을 했건마는 도업(道業)은 성취하지 못하고 마침내 사악(邪惡)한 소견을 일으켜서 정법을 비방하게 만들었느니라”

 

그렇게 사리불을 꾸짖으시고, 그 두 백골관하던 사람과 수식관하던 사람에게 이런 설법을 해서 언하(言下)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하셨던 것입니다.(20분11초~41분26초)

 

 

 

(3/4)----------------

 

수행을 해 나가는 데는 ‘관세음보살’을 부른다던지, ‘아미타불’을 부른다든지 또는 백팔참회(百八懺悔)를 한다든지, 삼천배 예배를 한다든지, 또는 단식을 하고, 묵언을 하고, 또는 장좌불와(長坐不臥)를 하고, 이러한 여러 가지 수행법이 있고. 또 주력(呪力)을 한다든지, 경을 외운다든지 또는 화두를 참구해서 참선을 한다든지 여러 가지 수행법이 있습니다.

 

있는데, 주력을 해서는 안 될 사람도 있고, 또 참선을 시켜서는 안 될 사람도 있는 것입니다.

주력이나 참선을 해서 안 될 사람에게 이것을 시켜 놓으면 얼마 안 가서 미친병이 생기기도 하고, 헛것을 보고 자꾸 정신이 미치고 그래가지고 바르게 닦아가지를 못할 뿐만 아니라, 정법(正法)에 누(累)를 끼치고 사람들로 하여금 회의심을 품게 하는 그런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고.

 

그래서 사람의 근기(根機) 따라서 때로는 금강경이나, 반야심경 내지 고왕경 같은 그런 경(經)을 외우게 하기도 하고, 때로는 ‘관세음보살’이나 ‘아미타불’이나 ‘지장보살’ 같은 그런 염불(念佛)을 하게 할 수도 있고, 때로는 ‘옴마니반메훔’이나 그 밖에 무슨 ‘능엄주(楞嚴呪)’라든지 그런 주력을 시킬 수도 있고.

 

대뜸 처음부터서 화두(話頭)를 주어서 화두를 참구(參究)하는 이 참선법(參禪法)을 해야 할 사람도 있는 것이어서, 또 화두도 ‘시삼마(是甚麼)’라든지, ‘무자(無字) 화두’라든지,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라든지, 그 사람에게 적합한 화두를 간택을 해서 그 사람에게 맞도록 공부를 지어가도록 지도를 해야 할 경우가 있는 것입니다.

 

무엇을 하더라도 괜찮은 사람도 있고, 그 사람에 한해서는 주력을 해서는 안 될 그런 사람도 있는 것입니다.

눈밝은 그러한 선지식(善知識)이라야 능히 중생의 근기를 거울 속 들여다보듯이 보고서 거기에 맞춰서 지도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아까 말씀드린 사리불이 두 제자—쇠붙이를 다루는 성냥간 하던 사람이나, 세탁업을 하던 사람, 그 두 사람을 갖다가,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이 사람에게 백골관을 시키나, 저 사람에게 백골관을 시키나, 누구나 수식관은 하면 다 좋을 것이고, 누구나 백골관 하면 다 좋을 것 같이 느껴질 것입니다마는.

부처님의 혜안(慧眼)으로 볼 때에는 그 조그마한 터럭끝 만한 차이로서 도를 깨닫고, 깨닫지 못하고, 때로는 마침내는 사견(邪見)까지 발동을 하게 된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것을 꿰뚫어 보시게 되는 것입니다.

 

 

법왕권실영쌍행(法王權實令雙行)하니  뇌권풍치해악경(雷捲風馳海岳傾)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벽력일성운산진(霹靂一聲雲散盡)한데  도가원불섭도정(到家元不涉途程)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법왕권실영쌍행(法王權實令雙行), 법왕(法王)의 권(權)과 실(實)이 하여금 쌍(雙)으로 행하게 한다.

대법왕(大法王)은 권(權), 방편(方便)으로—팔만사천 가지의 그 좋은 가지가지 방편으로 중생의 근기에 맞도록 방편법을 쓰시고, 그 근기가 수승함에 따라서 그 방편을 거두시고서 실법(實法)으로써 제도를 하시는 것입니다.

 

그 방편법과 실법을 자유자재로 두 가지를 써서, 뇌권풍치해악경(雷捲風馳海岳傾)이여. 이 뇌성벽력(雷聲霹靂)하는, 그 뇌성이 치고, 바람이 치달아서 바닷물이 넘치고 산이 거꾸러진다 그말이여.

 

법왕(法王)의 권실, 방편법과 실법을 자유자재로 쓰는 그 거동이 마치 번개치고 폭풍이 불고, 바닷물이 넘치고, 그래가지고 산이 넘어지고 하는 그렇게 참 자유자재하며 변화가 무쌍(無雙)하며, 어떠한 업(業)이 두터운 중생, 어떠한 악한 중생이라도 그 법왕의 권실쌍행(權實雙行)하는 앞에서는 다 봄눈 녹듯이 다 녹아져 버릴 것이다.

 

벽력일성운산진(霹靂一聲雲散盡)하면, 그렇게 뇌성벽력을 하고, 바람이 갖다가 폭풍이 불고 바닷물이 넘치고 산이 거꾸러지고 이러다가, 천지를 진동하는 그 벽력 한 소리에 구름은 다 흩어져버리고.

집에 돌아오는데 원래로 길을 걸을 필요가 없다.(到家元不涉途程) 집으로 돌아오는데, 자기의 본고장을 잃어버리고 타향에 방랑객으로서 타향살이를 하다가 고향으로 돌아온 데다가, 이 도 닦아서 자기 본심을, 본 불성(佛性)을 깨닫는 것을 갖다가 고향으로 돌아오는 데다가 비유해서 표현한 건데.

 

고향집에 돌아오는데 원래로 길을 걸어서 돌아올 것이 없다.

자기 서 있는 데가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바로 자기 고향집이더라, 그런 말씀입니다.

 

 

그래서 달마 스님께서 『혈맥론(血脈論)』에 ‘이 도를 닦고자 할진대는 먼저 급히 바른 스승을 찾아야 할 것이다’

바른 스승만 만나서 그 앞에 위법망구(爲法忘軀)적으로 몸과 목숨을 다 바칠 수 있는 그러한 바른 스승만 우리가 만난다면 도(道)는 걸어서 가는 것이 아니라, 바로 거기에 다 도를 이룬 것이나 마찬가지여.

 

소를 끌어다가 맑고 깨끗한 물 있는 데다가 대준 거와 같아서, 소는 주인이 끌어다가 갖다가 대주면 믿고 꿀꺽 꿀꺽 꿀꺽 양껏 먹으면 되는 것입니다.

주인을 믿기 때문에 주인이 갖다가 끌어다가 대준 물이라면 마음놓고 먹을 수 있듯이, 바른 스승 또 내가 믿어지는 스승이라면 한마디 밖에는 더이상이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여러 말이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한마디가 전부고, 일생의 수도(修道)가 도 닦는 것이 바로 거기에 다 있는 것입니다.

 

그 선지식을 참으로 깊이 믿고 목숨 바쳐서 믿을 수 있다면, 입으로 법을 설하지 아니해도 먼빛으로 거동만 봐도 온통 화두(話頭)가 독로(獨露)하게 되고, 신심이 돈발(頓發)하게 되고.

웃거나, 울거나, 방귀를 뀌거나, 똥을 싸서 뭉게거나 그것이 하나도 허물로 보이지 아니하고 다못 신심이 돈발하고,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에 온통 몸과 마음이 한덩어리가 되어버린 것 뿐인 것입니다.

 

선지식(善知識)이 무엇을 많이 가르켜 주고, 말을 많이 해 주고 그런 것이 아닙니다.

선지식이 무엇을 할 말이 있겠습니까?

 

이 도(道)라고 하는 것은 자기 안에 있는 것을 자기가 한번 탁! 봐 버리면 되는 것이지, 무슨 어려운 이론을 연구하고 무슨 그러한 공부가 아니라, 자기가 자기를 사무쳐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철저하게 믿지 않고서는 이것은 이룰 수가 없는 것입니다.

 

 

오늘은 초학자(初學者)를 위해서 ‘도 닦아가는 사람이 먼저 바른 스승을 만나야 한다. 바른 스승을 만나서 옳게 공부를 지어 나가야 한다’ 옳게 지어 나갈라면, 첫째 바른 사상이 탁! 중심 잡혀져야 하는 것입니다.

 

첫째 바른 믿음, ‘나도 성불할 수 있다. 결정코 나도 도를 이룰 수가 있다’고 하는 신념이 서야 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과거의 불보살과 모든 선지식들은 진즉 이 문제를 해결을 지어가지고 대도를 성취해서 일체 중생을 제도하시고 계시는데, 나는 오늘날토록 무엇을 하느라고 육도윤회(六途輪廻)를 하면서 오늘까지 도를 이루지 못했던가’ 그 분심(憤心)이 속에서 솟구쳐 올라야 하는 것입니다.

 

셋째는 선지식으로부터 간택 받은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에 대해서 대의심(大疑心)이 돈발(頓發)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신심과 분심이 밑받침되지 않고서는 대의정(大疑情)은 일어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신심과 분심이 확고하고 불같은 그러한 뜨거운 신심, 분심이 한목 솟구치지 않고서는 화두를 들어도 들 때뿐이고 금방 돌아서면 없어져버리고, 하루는 겨우 한 듯하다가 이틀 사흘 가면 차츰차츰 풀어져 버리고. 이것이 모두가 다 그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게 뒷받침되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어째서 화두를 들어도 간절한 의심이 안 나는가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이 진정한 의심이 나겠습니까?' 많은 분들이 그 점에 있어서 고민을 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어 볼 것도 없이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지 못한 그 까닭이라고 할 것입니다.

 

 

첫째에 그런 신심과 분심이 철저하다면 그다음에는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이여.

가부좌(跏趺坐) 또는 반가부좌(半跏趺坐)를 하고서—가부좌는 참선을 해 나가는 데 가장 중요한 기본자세입니다. 그래서 대도를 성취한 아라한(阿羅漢) 또 성불하신 부처님 같은 성현도 항시 시간 있는 대로 숲속에서, 당신 처소에서 항시 가부좌를 하셨던 것입니다.

 

부처님이 무엇을 더 닦을 것이 있고, 무엇을 더 깨달을 것이 있으시리오마는, 그 가부좌를 하고 앉는 자세 그 자체가 훌륭한 것입니다.

일체 마군(魔軍)이 엿보지 못하고, 일체 악신(惡神)이 근접을 못하고, 항시 25선신(善神)이 그 주위를 호위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정법을 믿는 사람, 불법을 믿는 사람은 어디 가서 앉던지—차를 타던지, 정거장에 대합실에 앉던지, 가정에서나 어디를 가더라도 항시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입니다.

의자에 앉아서도, 의자 위에서 가부좌를 틀기는 조금 어렵겠습니다마는 설사 가부좌는 안 하더라도 항시 허리를 쭉 펴고 머리끝과 회음부(會陰部)가 수직상에 놓여지도록 그렇게 자세를 바르게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자세 하나만 바르게 가져도 벌써 정신 상태가 딱! 근엄하게 되는 것입니다. 허리를 꼬부리고 그리고서 턱이 앞으로 나와 가지고 이렇게 앉으면 멀쩡한 사람이 바보처럼 보이고, 농판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허리를 쭉 펴고 앉기만 하면 일자무식(一字無識)일망정 남 보매 호락(瓠落)하게 보이지 아니하고 아주 그분은 보면은 학문도 많고, 수행도 있고, 인격자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속은 똥만 가득 들어갖고 남 보매 인격자로 보이라고 한 말씀이 아니라, 먼저 자세를 바르게 함으로써 정신이 딱! 차려지기 때문에 정신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육체를 먼저 바로잡으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도를 안 닦은 일반 세속 사람도 조금 뭐한 사람은 다 보면 자세가 훌륭하고, 앉은 자세나, 선 자세나, 그 자세가 바른 것입니다. 대학자나 또는 장군이나, 대실업가의 두목이나, 다 세속에 아무개 한 사람 보면은 자세가 바르고 늠름하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하물며 최상승법(最上乘法)에 의지해서 도를 닦은 사람이, 순(純) 그 바르고 근엄한 정신생활을 하는 수도인이 자세를 바르게 하지 아니한다고 해서야 말이 안 될 것입니다.

 

첫째, 자세를 바르게.

 

자세를 바르게 하라니까 너무 어깨에다 힘을 주고 목에다 힘을 주어가지고 그러라는 것이 아닙니다. 단정하게 몸을 가지면서도 어깨의 힘을 빼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에 힘도 빼야 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는 그 요령을 터득을 해야 합니다.

 

단정하게 앉으면서도 헛심, 쓸데없는 힘을 뺀다고 하는 것은 조금 어렵지만 자기가 자기를 항시 요렇게 가늠해 보고 살펴보면서 어깨의 힘도 빼고, 목의 힘도 빼.

 

힘을 빼면서도 단정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면 그 자세가 너무너무 두 어깨의 선이라든지, 앞에서 보나 옆에서 보나, 뒤에서 볼 때 너무너무 훌륭한 것입니다. 아름답기조차 하는 것입니다. 근엄하면서도 엄숙하고 그러면서도 너무너무 그 두 어깨의 선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것입니다.

 

그 요령을 터득하지 못하고 너무 힘을 주어가지고 뻣뻣하게 앉아 있으면 영판 그것이 부자연스럽고 공부하는 데에도 얼마 못 가서 피로를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바르게 앉는 법에 대해서 항시 스스로 잘 살피면서 또 잘 아는 분에게 점검을 받아서 어디가 잘못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교정을 받는 것도 대단히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이 됩니다.(41분28초~61분46초)

 

 

 

(4/4)----------------

 

좌선(坐禪)에 들어갈 때에 좌우로 몸을 흔들어서 차츰차츰 이렇게 한가운데에다 중심을 잡는 것.

 

그리고 포행을 한다든지, 방선(放禪)할 때 일어설 때에도 느닷없이 갑자기 불끈 일어서서는 아니되는 것입니다.

좌우로 몸을 흔들어서 준비 운동도 하고, 다리도 앞으로 뻗어서 주무르기도 하고, 발목도 이리저리 돌려서 발목 운동도 하고, 이렇게 한 다음에 살며시 이렇게 두 손을 땅에다 짚고서 조용하게 일어나 가지고 기동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갑자기 불끈 일어나 가지고는 달음박질을 친다든지, 높은 데서 뛰어내린다든지, 이런 것은 한 시간 내지 두 시간을 조용하게 앉았다가 갑작스런 운동으로 변하게 되면 피나 심줄이나 근육이 놀래기도 하고, 때로는 발을 헛디뎌서 미끄러지거나 발목을 삐는 수도 있고.

 

그리고 정진은 앉아서만 하고 일어서면 아니한 것이 아니라, 앉아서 공부하다가 일어서더라도—일어서서 걷거나, 일을 하거나 하더라도 앉았을 때 공부하던 그 의단(疑團)이 고대로 유지가 되도록 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럴랴면 자연히 앉은 자세에서 서는 자세로 옮길 그 한계선이 언제든지 중요한 것입니다.

앉았을 때까지는 잘되다가 불끈 일어서는 찰나에 놓쳐 버리기도 하고, 뭘 가만히 앉았다 무슨 소리가 딱! 들어오는 찰나에 화두를 놓치기도 하고, 뭘 보다가 딱! 놓치기도 하고.

 

그래서 한 생각에서 다음 생각으로 옮기는 그 즈음 새, 어떤 행동에서 다른 행동으로 옮길 때에 그 중간 경계, 그런 데서 우리는 화두를 놓치는 수가 많기 때문에 그러할 때 딱! 그 경계에 속지 아니하고 화두를 이어서 관조(觀照)할 수 있게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다 한 철, 두 철, 공부를 해 나가는 데 있어서 스스로 터득되어질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자세를 바르게 한 다음에는 호흡을 바르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호흡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이 죽었나 살았나를 볼려면은 그 호흡이 끊어졌느냐, 안 끊어졌느냐? 그것을 보면 죽었느냐, 살았느냐를 알 수 있을 만큼 호흡은 바로 생사(生死)와 직결되는 것입니다.

 

(선생님 오셨나? 이해창 선생님)

 

그래서 이 호흡을 뱃속에서는 배꼽을 통해서 숨을 쉰다고 하고, 태어나면 그때부터서 인자 코로 숨을 쉬게 되는데, 숨쉬기 시작해 가지고 숨을 못 쉬게 되면 그때는 인자 금생(今生)이 끝나는 것입니다.

밥은 하루 이틀 내지 한 달, 두 달, 석 달을 굶어도 안 죽습니다. 그런데 호흡은 3분 내지 5분만 딱 숨을 못 쉬게 하거나 안 쉬면 죽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요가라든지 그런 특별한 훈련을 쌓은 사람은 일주일씩도 숨을 안 쉬고 물속에 가만히 들어앉았다가 나중에 나와도 다시 또 살아나기도 하고, 인자 그러한 특수한 훈련을 쌓은 사람은 그럴 수도 있다고 합니다마는, 일반적으로는 5분 내지 10분만 숨 못 쉬게 하면 금방 죽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만큼 호흡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어서 누구나 무심 속에 다 살아 있는 동안에는 호흡을 하지만 올바른 호흡을 한다고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입니다.

 

전부 다 가슴으로 호흡을 하는데, 수행을 하는 사람은 배로 호흡을 해야 해.

마음이 딱 중심이 잡혀서 안정이 되면 저 호흡하는 선이 밑으로 내려가고, 마음이 들뜨거나 중심을 잃거나, 긴장하고 초조하고, 몸에 병이 나거나 열이 있거나, 그러면은 호흡은 차츰차츰 위로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편안할 때는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면서 호흡을 하다가 갑자기 놀래거나, 분을 내거나, 흥분해서 놀래거나 하면은 배로 호흡을 안 하고 가슴으로 호흡으로 하고, 가슴으로 씩쌕 씩쌕 하면서 가슴으로 호흡을 하는데, 차츰차츰 또 그 분한 생각이 가라앉고 안정이 되면 가슴 벌떡벌떡한 것이 없어지면서 호흡이 밑으로 내려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의식적으로 숨을 들어마시면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 배가 홀쪽해지도록 의식적으로 배를 내밀었다 또 홀쪽하니 했다 해서, 계속 호흡 들어마실 때는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쉴 때는 배를 차츰차츰 홀쪽하니 해서 등허리가 딱 붙도록 해서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것을 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라’ 이것입니다.

그 배가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데 우리의 의식을 거기다 두고서 호흡을 하면 우리의 생각이 아랫배 단전(丹田) 부위에 우리 의식이 고리 집중이 되게 되는 것이고, 우리의 의식이 아래로 집중이 되면 우리 몸안에 있는 기(氣), 기(氣)도 밑으로 내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머리로 무엇을 골똘히 생각하면 피도 머리로 모일 뿐만이 아니라, 우리 몸안에 있는 기(氣)도 머리로 모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엇을 막 깊이 생각하고 그러면은 상기(上氣)가 되고, 머리가 띵해지고 피로를 느끼게 되고, 눈도 벌게지고 뒤통수를 만져 보면 뜨끈뜨끈하고 그러거든.

 

단전호흡(丹田呼吸)을 30분, 1시간 이렇게 하고 난 뒤에 몸을 만져 보면 아랫배는 뜨뜻하고, 뒤통수를 만져 보면 시원하거든. 그것은 더운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고 시원한 물 기운은 위로 올라가는 증거인 것입니다.

 

이 수승화강(水昇火降), 시원한 물 기운은 위에로 올라가고, 더운 불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게 하는 것.

물이라 하는 것은 원래 위에서 밑으로 흘러내리고, 불은 밑에서 위로 타오르는 것이 그 원래 가진 성질이지만, 우리가 의식적으로 우리의 정신을 배꼽 밑에 단전에다가 집중을 함으로써 우리의 불 기운은 밑으로 내려가서 아랫배가 뜨뜻해지고, 시원한 물 기운은 위로 올라가서 머리가 시원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몸을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몸안에 있는 온갖 독소를 그 호흡을 통해서 밖으로 배출해 버리고 그래서 몸은 가벼워지고, 정신은 안정이 되면서 맑아지게 하는 그러한 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 당시부터 수행하는 사람에게 이 수식관(數息觀)을 시키고, 대대로 내려오면서 단전호흡을 익혀서 수승화강을 하게 해서 육체적인 건강과 정신적인 안정과 청정을 유지함으로써, 도 닦아 가는 데에 부작용—상기병(上氣病) 같은, 소화불량이나 혈액 부조화한 그러한 병을 예방하고 도업(道業)을 장애 없이 빨리 성취하도록 하셨던 것입니다.

 

금년 여름에 보살선방에 백여섯 분이 방부(房付)를 들여서 항시 칠팔십 명이 그렇게 참 엄격한 규율 속에서 그렇게 참 정진들을 모다 애쓰고 계시는데, 이 자세를 바르게 하고, 호흡을 바르게 하고, 나아가서 세 번째 가서는 화두(話頭)를 어떻게 의심(疑心)하느냐?

 

이 화두를 의심하는 방법, 이것이 또한 간단하지만 참 이것이 어려운 것입니다.

 

한 철, 두 철, 세 철, 3년, 5년, 10년을 해도 이 화두를 참으로 올바르게 화두를 참구(參究)하고, 관조한다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이것은 한 말로 ‘이렇게 하는 것이 좋다’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법문을 듣고 고대로 또 하고, 고대로 하면서 또 법문을 듣고 해서 스스로 많은 노력, 스스로 그것을 공부해 나가는 요령—급하지도 않고 너무 늘어지지도 아니하며, 그 요령을 스스로 터득을 해야 합니다.

 

스스로 터득한다니까 선지식(善知識)도 필요 없고, 자기 혼자 어디 돌굴이나 토굴에 가서 막 해제끼면 되냐 하면 그게 아니에요. 반드시 선지식의 지도를 받되, 받아 가지고 하면서도 스스로 그 묘한 의관(疑觀)을 얻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 묘한 의심관이라 하는 것은 도저히 어떻게 말로써 설명해 가르켜 줄 수가 없습니다. 자기가 일구월심(日久月深) 항시 면면밀밀(綿綿密密)하게 의심해 가고 관해 가고, 그 자세와 호흡과 화두를 이렇게 삼위(三位)가 일체(一體)가 되도록 잘 조정을 해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필경에는 그 묘한 의심관인 것입니다.

그 의심관, 관(觀)이라 하는 것도 일종의 생각이지만 ‘생각 없는 생각’을 관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는데, 막연하게 어떤 관이 아니라 이 활구참선(活句參禪)은 ‘의심(疑心)의 관’이라야 돼.

 

 

옛날에는 해가 떨어지려고 할 때, 서산에 지려고 할 때, 저 수평선에 해가 지려고 할 때에 그 큰 맷방석만한 해가 땅에 질락말락 할 때 그 빨갛고 아름다운 거—해가 중천에 있을 때는 눈이 부셔서 볼 수가 없는데, 해가 질 무렵에는 눈이 부시질 않고 그 아름답고 벌건 굉장히 큰 그 해를 볼 수가 있습니다.

 

그 아름다운 해를 한참 보는 것입니다. 마지막 딱 떨어져서 안 보일 때까지 한 시간 내지 두 시간을 눈이 부시지 아니할 때부터서 그것을 관하기 시작해가지고 마지막 질 때까지 관찰하고서, 그다음에는 밤새 그 눈을 감으나 뜨나 그 찬란하고 아름다운 둥그런 해를 관(觀)하는 것입니다.

 

눈을 감고서도 보이는 것이 그것이 관(觀)인 것입니다. 눈을 뜨나 감으나 상관없이 항시 있는 것이 그것이 관인데, 그것을 갖다가 일관(日觀)이라 그러거든. 해를 관하는 수행법이여.

 

밤새 그 둥근 해를 갖다가 관하고 그 이튿날 하루 종일 관하다가, 또 그 이튿날 해 질 때 다시 또 그 관을 해서, 그 관을 다시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또 밤새 관하고 그 이튿날 관하고, 그 다음 날 해 질 때 관하고 해서 평생 동안을 그렇게 인자 관을 해 나가는데, 이것도 하나의 수행 방법입니다.

 

이러한 그 일관이라든지 또 달을 관하는 관법이라든지, 아까 백골관이라든지, 여러 가지 관법(觀法)이 있는데, 이 참선도 하나의 ‘의심의 관법’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면서도, 일부러 화두를 들려고 하지 아니해도 저절로 그 의심관이 터얻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그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처음에는 ‘이뭣고?’ ‘이뭣고?’하지만 나중에는 ‘이뭣고?’ 안 해도 알 수 없는 의심이 터억—그 해가 질 때 봐두었던 그 둥근 해가 밤에도 고대로 보이고 그 이튿날도 고대로 환하게 보이듯이 의심관이 그렇게 되어야 하거든.

 

그렇게 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일주일을 가지 못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하게 되고, 일체 천칠백 공안을 일관도천(一串都穿)하게 되고.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과 역대조사(歷代祖師)의 면목을 사무쳐 보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 사리불 존자와 아나율 존자의 그 굳은 결심, 우리도 그러한 결심이 투철해야 할 것이고 또 바른 스승의 지도를 받아서 끝내는 자기 스스로 터득한 그 의심관으로써 자기의 정진의 마지막 고비를 넘긴다면, 누구라도 그만한 결심과 그만한 바른 스승을 만나서 바르게 그리고 자기의 정신과 육체의 온갖 힘과 정성을 다 바쳐서 다듬어 나간다면 누구라도 자기의 면목을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파유조(一把柳條)를 수부득(收不得)하야 화풍탑재옥난간(和風塔在玉欄干)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한아름 버드나무 가지를 거두어 잡지 못해서, 바람과 함께 옥난간에다 걸어 두노라.

 

오늘 일요법회 법어를 마쳤습니다. (61분47초~79분2초)(끝)

 

 

 

[법문 내용]

 

(게송)좌간백운청수성~ / 사리불과 목련의 전생 인연 / 사리불의 부정식(不淨食)과 아나율의 졸음 / 사리불과 아나율의 결심 / 사리불의 독사 몸을 받았던 과거와 진심(瞋心) 내는 여습(餘習) / 권아라한(權阿羅漢) / 사리불 두 제자의 백골관, 수식관 뒤바뀐 수행 / 부처님의 혜안(慧眼).

 

(게송)법왕권실영쌍행~ / 도를 닦고자 할진대는 먼저 급히 바른 스승을 찾아야 할 것이다 / 도(道)는 자기가 자기를 사무쳐 버리는 것 / 신심, 분심, 의심 / 바른 자세, 단전호흡, 수승화강(水昇火降)으로 육체적인 건강과 정신적인 안정과 청정을 유지 / 일관(日觀) / 묘한 의심관(疑心觀) / 참선도 하나의 ‘의심의 관법(觀法)’

 

 

부처님의 십대제자나 육조 스님까지 삽삼조사(卅三祖師)는 다 전생에 불보살이 그런 화현(化現)으로 나타나가지고, 부처님의 법(法)을 등등상속(燈燈相續)해서 전해 내려왔다고 하는 말씀도 있기는 하지만.

그래서 삽삼조사는 아라한이지만 권아라한(權阿羅漢)입니다. 실지로 다생(多生)에 닦은 것이 겨우 아라한 밖에는 안 된 것이 아니고, 불보살 화현이 그 부처님의 법을 전해 내려오기 위해서 권(權)으로, 방편으로 아라한의 몸으로 출세를 하신 것으로 우리는 믿고 있습니다마는.

 

세속에 사업을 한다든지, 무슨 학문을 연구를 해서 학자가 된다든지, 무슨 예술가가 된다든지, 사업가가 된다든지, 무엇을 어떠한 방면으로 하더라도 그러한 모질고 모진 그러한 무서운 굳은 결심이 있어야 그 가지가지 난관을 극복을 하고, 어떤 어려운 일을 닥치고, 두 번 실패, 세 번, 네 번, 다섯 번을 실패하더라도 끝까지 물고 늘어져서 그 일을 성취하고야만 말겠다고 하는 그러한 굳은 결심이 아니고서는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거든, 하물며 우리가 이 무량겁 업을 극복을 해가지고 생사해탈(生死解脫)을 하는 이 도(道)에 있어서는 더 말할 것이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취지에서 볼 때에 아나율 존자나 그 사리불 존자의 부처님 말씀 한마디에 그렇게 매서운 결심을 하고, 부처님이 아무리 설득을 하고 꾸짖어도 끝까지 두 눈이 멀 때까지 잠을 자지 아니한다든지, 국왕이 와서 청하고, 수달장자가 와서 청해도 소용이 없고 끝까지 공양에 응하기까지 아니한 그런 것은 우리 말세 중생들에게 그런 굳은 결심을 갖게 하기 위한 하나의 본보기로 그러한 것을 보여주시지 아니 했는가, 이렇게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사리불아! 네가 두 제자를 지도하는데 있어서 방법이 거꾸로 되었느니라. 한 사람은 세탁업을 하던 사람이고, 한 사람은 쇠붙이를 다루는 성냥간을 하는 사람인데, 쇠붙이를 다루는 성냥간 하는 사람에게는 응당 호흡을 세는 수식관을 시켜야 옳고, 세탁업을 하던 사람에게는 백골관을 시켜야 할 것인데, 너는 꺼꾸로 성냥간하는 쇠붙이 다루는 사람에게는 백골관을 시켰고, 또 세탁소업을 하는 사람에게는 수식관을 시켰어.

꺼꾸로 시켰기 때문에 그 수행 방법과 그 사람과의 인연이 맞지 아니해서 그렇게 피골이 상접하도록 정진을 했건마는 도업(道業)은 성취하지 못하고 마침내 사악(邪惡)한 소견을 일으켜서 정법을 비방하게 만들었느니라”

 

그렇게 사리불을 꾸짖으시고, 그 두 백골관하던 사람과 수식관하던 사람에게 이런 설법을 해서 언하(言下)에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하게 하셨던 것입니다.

 

아까 말씀드린 사리불이 두 제자—쇠붙이를 다루는 성냥간 하던 사람이나, 세탁업을 하던 사람, 그 두 사람을 갖다가,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이 사람에게 백골관을 시키나, 저 사람에게 백골관을 시키나, 누구나 수식관은 하면 다 좋을 것이고, 누구나 백골관 하면 다 좋을 것 같이 느껴질 것입니다마는.

부처님의 혜안(慧眼)으로 볼 때에는 그 조그마한 터럭끝 만한 차이로서 도를 깨닫고, 깨닫지 못하고, 때로는 마침내는 사견(邪見)까지 발동을 하게 된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것을 꿰뚫어 보시게 되는 것입니다.

 

달마 스님께서 『혈맥론(血脈論)』에 ‘이 도를 닦고자 할진대는 먼저 급히 바른 스승을 찾아야 할 것이다’ 바른 스승만 만나서 그 앞에 위법망구(爲法忘軀)적으로 몸과 목숨을 다 바칠 수 있는 그러한 바른 스승만 우리가 만난다면 도(道)는 바로 거기에 다 도를 이룬 것이나 마찬가지여.

 

소를 끌어다가 맑고 깨끗한 물 있는 데다가 대준 거와 같아서, 소는 주인이 끌어다가 갖다가 대주면 믿고 꿀꺽 꿀꺽 꿀꺽 양껏 먹으면 되는 것입니다. 주인을 믿기 때문에 주인이 갖다가 끌어다가 대준 물이라면 마음놓고 먹을 수 있듯이, 바른 스승 또 내가 믿어지는 스승이라면 한마디 밖에는 더이상이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여러 말이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한마디가 전부고, 일생의 수도(修道)가 도 닦는 것이 바로 거기에 다 있는 것입니다.

 

그 선지식을 참으로 깊이 믿고 목숨 바쳐서 믿을 수 있다면, 입으로 법을 설하지 아니해도 먼빛으로 거동만 봐도 온통 화두(話頭)가 독로(獨露)하게 되고, 신심이 돈발(頓發)하게 되고. 웃거나, 울거나, 방귀를 뀌거나, 똥을 싸서 뭉게거나 그것이 하나도 허물로 보이지 아니하고 다못 신심이 돈발하고,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에 온통 몸과 마음이 한덩어리가 되어버린 것 뿐인 것입니다.

 

선지식(善知識)이 무엇을 많이 가르켜 주고, 말을 많이 해 주고 그런 것이 아닙니다. 선지식이 무엇을 할 말이 있겠습니까?

이 도(道)라고 하는 것은 자기 안에 있는 것을 자기가 한번 탁! 봐 버리면 되는 것이지, 무슨 어려운 이론을 연구하고 무슨 그러한 공부가 아니라, 자기가 자기를 사무쳐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철저하게 믿지 않고서는 이것은 이룰 수가 없는 것입니다.

 

좌선 자세를 바르게 하라니까 너무 어깨에다 힘을 주고 목에다 힘을 주어가지고 그러라는 것이 아닙니다. 단정하게 몸을 가지면서도 어깨의 힘을 빼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에 힘도 빼야 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는 그 요령을 터득을 해야 합니다.

단정하게 앉으면서도 헛심, 쓸데없는 힘을 뺀다고 하는 것은 조금 어렵지만 자기가 자기를 항시 요렇게 가늠해 보고 살펴보면서 어깨의 힘도 빼고, 목의 힘도 빼.

 

힘을 빼면서도 단정하고, 단정하면서도 힘을 빼면 그 자세가 너무너무 두 어깨의 선이라든지, 앞에서 보나 옆에서 보나, 뒤에서 볼 때 너무너무 훌륭한 것입니다. 아름답기조차 하는 것입니다. 근엄하면서도 엄숙하고 그러면서도 너무너무 그 두 어깨의 선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것입니다.

 

정진은 앉아서만 하고 일어서면 아니한 것이 아니라, 앉아서 공부하다가 일어서더라도—일어서서 걷거나, 일을 하거나 하더라도 앉았을 때 공부하던 그 의단(疑團)이 고대로 유지가 되도록 해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럴랴면 자연히 앉은 자세에서 서는 자세로 옮길 그 한계선이 언제든지 중요한 것입니다.

 

앉았을 때까지는 잘되다가 불끈 일어서는 찰나에 놓쳐 버리기도 하고, 뭘 가만히 앉았다 무슨 소리가 딱! 들어오는 찰나에 화두를 놓치기도 하고, 뭘 보다가 딱! 놓치기도 하고.

그래서 한 생각에서 다음 생각으로 옮기는 그 즈음 새, 어떤 행동에서 다른 행동으로 옮길 때에 그 중간 경계, 그런 데서 우리는 화두를 놓치는 수가 많기 때문에 그러할 때 딱! 그 경계에 속지 아니하고 화두를 이어서 관조(觀照)할 수 있게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화두를 의심하는 방법, 이것이 또한 간단하지만 참 이것이 어려운 것입니다. 한 철, 두 철, 세 철, 3년, 5년, 10년을 해도 이 화두를 참으로 올바르게 화두를 참구(參究)하고, 관조한다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이것은 한 말로 ‘이렇게 하는 것이 좋다’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법문을 듣고 고대로 또 하고, 고대로 하면서 또 법문을 듣고 해서 스스로 많은 노력, 스스로 그것을 공부해 나가는 요령—급하지도 않고 너무 늘어지지도 아니하며, 그 요령을 스스로 터득을 해야 합니다.

 

스스로 터득한다니까 선지식(善知識)도 필요 없고, 자기 혼자 어디 돌굴이나 토굴에 가서 막 해제끼면 되냐 하면 그게 아니에요. 반드시 선지식의 지도를 받되, 받아 가지고 하면서도 스스로 그 묘한 의관(疑觀)을 얻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 묘한 의심관이라 하는 것은 도저히 어떻게 말로써 설명해 가르켜 줄 수가 없습니다. 자기가 일구월심(日久月深) 항시 면면밀밀(綿綿密密)하게 의심해 가고 관해 가고, 그 자세와 호흡과 화두를 이렇게 삼위(三位)가 일체(一體)가 되도록 잘 조정을 해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필경에는 그 묘한 의심관인 것입니다. 그 의심관, 관(觀)이라 하는 것도 일종의 생각이지만 ‘생각 없는 생각’을 관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는데, 막연하게 어떤 관이 아니라 이 활구참선(活句參禪)은 ‘의심(疑心)의 관’이라야 돼.

 

일관(日觀)이라든지 또 달을 관하는 관법이라든지, 아까 백골관이라든지, 여러 가지 관법(觀法)이 있는데, 이 참선도 하나의 ‘의심의 관법’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면서도, 일부러 화두를 들려고 하지 아니해도 저절로 그 의심관이 터얻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그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처음에는 ‘이뭣고?’ ‘이뭣고?’하지만 나중에는 ‘이뭣고?’ 안 해도 알 수 없는 의심이 터억—그 해가 질 때 봐두었던 그 둥근 해가 밤에도 고대로 보이고 그 이튿날도 고대로 환하게 보이듯이 의심관이 그렇게 되어야 하거든.

 

그렇게 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일주일을 가지 못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하게 되고, 일체 천칠백 공안을 일관도천(一串都穿)을 해.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과 역대조사(歷代祖師)의 면목을 사무쳐 보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 사리불 존자와 아나율 존자의 그 굳은 결심, 우리도 그러한 결심이 투철해야 할 것이고 또 바른 스승의 지도를 받아서 끝내는 자기 스스로 터득한 그 의심관으로써 자기의 정진의 마지막 고비를 넘긴다면, 누구라도 그만한 결심과 그만한 바른 스승을 만나서 바르게 그리고 자기의 정신과 육체의 온갖 힘과 정성을 다 바쳐서 다듬어 나간다면 누구라도 자기의 면목을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