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666)—2002년(임오년) 부처님오신날 법어(34분)
(1/2) 약 17분.
(2/2) 약 18분.
(1/2)----------------
천상천하무여불(天上天下無如佛)이요 시방세계역무비(十方世界亦無比)로다
나무~아미타불~
세간소유아진견(世間所有我盡見)허되 일체무유여불자(一切無有如佛者)로다
나무~아미타불~
천상천하무여불(天上天下無如佛)이요 시방세계역무비(十方世界亦無比)라.
하늘 위 하늘 아래 부처님과 같은 분이 없고, 시방세계(十方世界)에 견줄만한 분이 없다.
세간소유아진견(世間所有我盡見)하되 일체무유여불자(一切無有如佛者)다.
세간에 있는 바를 내가 다 봤지만 부처님과 같은 분은 없습니다.
이 게송은 찬불게(讚佛偈)라 하는데—‘부처님을 찬탄하는 게송(偈頌)이다’ 그러는데, 이 게송은 누가 읊은 게송이냐 하면은 과거 저사불(底沙佛) 시대에 그 저사불 밑에서 석가 보살과 미륵 보살, 두 보살이 수행을 하고 있었는데, 그 석가 보살이 저사불을 찬양하는 게송입니다.
이 게송을 읊되 저사(底沙) 부처님의 삼십이상(三十二相)과 팔십종호(八十種好)를 갖추신 그 거룩하고 거룩한 찬란한 그 모습을 보고 읊으신 게송입니다.
한 발을 내디디고 한 발은 또 들고 있을 때 너무 그 황홀한 모습을 보고 이 게송을 읊기를 칠일칠야(七日七夜)를 일심불란(一心不亂)으로 찬양을 해서 읊었습니다.
일심불란으로 칠일칠야를 이 게송으로써 부처님을 찬탄한 그 공덕으로 구겁(九劫)을 건너뛰어 가지고 미륵 보살보다도 먼저 성불(成佛)을 하시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이 사바세계(娑婆世界)에 먼저 하생(下生)을 하시고 앞으로 56억 7천만 년 뒤에 미륵 부처님이 사바세계에 오시게 되는데,
이 게송이 바로 석가모니 부처님 자신이 저사부처님을 찬양하는 게송인데, 부처님 열반하신 뒤 삼천년이 되도록 우리는 그 부처님께서 읊으신 그 게송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을 찬양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유서 깊은 이 게송으로써 오늘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이미 우리는 조실 스님께서—석가모니 부처님 인도 가비라(迦毘羅) 왕국에 태자로 태어나셔 가지고 사문유관(四門遊觀)을 하시다가 정거천인(淨居天人)의 그 게송을 들으시고 그리고서 성을 넘어서 출가하셔 가지고 육년 고행을 하시고 마침내 십이월 초팔일 동천(東天)에 떠오르는 샛별을 보시고 성불을 하신 데까지, 조실 스님께서 녹음을 통해서 우리에게 법문을 설해 주셨습니다.
‘부처님’은 인도 말로 붓다(Buddha)란 말인데, 붓다란 말은 ‘각자(覺者)’다, ‘깨달으신 성현’이다, 그런 뜻인데, 부처님께서 깨달으셔 가지고 그 깨달으신 진리를 열반하실 때까지 사십구 년 동안을 팔만사천법문으로써 우리 중생들에게 법문을 설해 주셨는데,
그 부처님의 위대함은 이 게송으로 또 찬양하고 억만년을 두고 찬양을 해도 부처님의 위대함과 우리 중생을 위하신 그 자비와 중생을 위해서 설하신 그 지혜,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그 지혜를 다 말로써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우리가 부처님을 찬양하는 것으로써 삼천년을 두고 사월 초파일을 행사를 진행하는데, 절절이 등불을 켜고 육법공양(六法供養)을 올리고 온갖 다양한 행사로써 초파일을 봉축을 하는데 하나의 연례행사로써 이어져 가고 있습니다.
마땅히 불제자(佛弟子)로서는 부처님의 그 위대하심을 찬양해야 하는 것이고, 찬양하고도 더이상 할 수가 없어야 하리라고 생각이 되지마는 우리는 찬양한 것만으로도 우리가 업장이 소멸이 되고 우리의 크고 작은 모든 소원을 성취하게 되리라고 산승(山僧)은 믿습니다.
그러나 부처님의 위대함을 찬양하고서 우리의 소원을—크고 작은 사바세계에 있어서 유루복(有漏福)을 성취하는 데에 그쳐서는 진실로 정법을 믿는 불자라고 할 수가 없으리라고 생각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과연 어떻게 해야 부처님의 덕을 찬양하고 나아가서 부처님의 법문을 믿고 실천해서 정말 부처님을 기쁘게 해 드리는 길이 무엇이냐? 이것에 대해서 잠깐 말씀을 하고자 합니다.
경(經)에 말씀하시기를 ‘중생이 만약 그 정성이 안으로부터서 발(發)하지 아니하면 삼세에 과거 현재 미래의 삼세에 항하사(恒河沙) 모래 수와 같은 그런 모든 부처님을 만나 뵌다 하더라도 그 부처님이 능히 어떻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자기가 속에서부터서 능동적으로 신심(信心)과 분심(憤心)이 속에서 터져 나와야지 그렇지 않으면 억만 부처님을 친견한다 하더라도 부처님이 그 사람을 어떻게 해 볼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런 말씀도 하시고,
‘중생이 자기 마음을 깨달라서 자기가 자기를 제도하는 것이지, 부처님이 능히 중생을 제도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렇게 말씀도 하셨습니다.
이 경의 말씀을 인용하시면서 오조(五祖) 홍인 대사께서는 최상승론(最上乘論)이라고 하는 법문을 통해서 『만약 부처님이 능히 중생을 제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과거의 모든 부처님이 항하사 모래 수와 같이 한량이 없으신데 무슨 까닭으로 우리는 오늘날까지 성불을 못하고 이렇게 생사윤회를 하고 있겠느냐?』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다못 정성이 안으로부터서 능동적으로 터져 나오지 아니한 까닭에 과거에 무량 부처님이 출세하셨음에도 불구하고 한량없는 법을 설하셨음에도 불구하고 고해(苦海)에 침몰하고 우리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오조 스님께서 말씀을 하시고 『노력하고 노력할지어다. 부지런히 자기의 본마음을 찾아서 잠시 동안도 잊어서는 아니 되느니라』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런 말씀을 통해서 보면 부처님의 위대하심과 그 덕을 찬양하는 데에 그치지 말고, 부처님께서 열어주신 일러주신 그 깨달음으로 가는 길을 그 목적을 향해서 끊임없이 노력을 해야 할 일이 우리에게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왕궁의 부귀를 버리시고 설산에 들어가셔서 6년 고행을 하시고 그래 가지고 깨달으신 그 법을 우리가 믿고 그것을 실천하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그래서 부처님께서 마지막 사라쌍수(沙羅雙樹) 간(間)에서 열반하실 때 유언으로써 무슨 말씀을 하셨느냐?
“나는 어진 의원과 같아서 사람들의 병에 따라서 병을 잘 진단을 해 가지고 좋은 약을 일러줬지만 좋은 약을 다 가르켜줬지만 먹고 안 먹는 것은 의원의 허물이 아니니라”
또 “나는 잘 인도(引導)하는 사람과 같아서, 바른길로 안내하는 사람과 같아서 사람들을 바른길로 일러주었지마는 그 말을 듣고 행하지 아니 하면 그것은 인도하는 사람의 허물이 아니니라” 마지막에 이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러한 유교경(遺敎經)에 있는 말씀과 또 오조 스님께서 인용하신 경전의 말씀과 오조 스님의 그 말씀을 다 통합해서 생각해보건대—우리는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을 보유하고 있고 그것이 유네스코에서 세계의 보물로 이렇게 지정을 받았습니다.
그런 좋은 경전을 가지고 있고 또 고려대장경 연구소에서 CD롬으로 그것을 다 완성을 해가지고 컴퓨터를 통해서 각 가정에서도 그 경전을 다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경전으로써 교리로써만 알고, 학문으로써만 연구하고, 실지로 그것을 깊이 믿고 실천을 해서 우리가 깨달음을 얻지를 못한다면 그 좋은 법문도 휴지에 지나지 아니할 것입니다.
아무리 유네스코에서 세계의 보물로 지정했다 하더라도 그것만 가지고서 중생이 생사해탈(生死解脫)을 하게 되지는 못할 것입니다.
생사해탈로 나아가는 길잡이는 될지언정 직접 우리가 그 안내에 의해서 목숨 바쳐서 부처님께서 설산에서 고행 수행하듯이, 역대조사(歷代祖師)가 그렇게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하듯이 우리도 그렇게 정진을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마침내 생사해탈을 못하고 말 것입니다.(처음~16분41초)
(2/2)----------------
오늘 부처님오신날을 맞이해서 이렇게 도량 법당 안과 법당 밖에 수만 개의 등불을 찬란하게 켜서 부처님의 탄신을 이렇게 축하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법당 안과 밖에 많은 사부대중(四部大衆)이 운집(雲集)을 해서 이 법요식을 갖고 있습니다.
마땅히 그래야 할 것이고 그렇게 하는 것은 참 좋은 일이고 우리가 한마음 한뜻으로 부처님의 탄생을 찬양을 하고 그래야 하겠는데,
우리는 오늘을 기해서 정말 특별한 마음을 내서 과거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자기를 반성하고 또 참회하고 그리고 정말 신심을 돈독히 하고 분심을 내서 불법을 닦아가는데, 팔만대장경에 있는 수행하는 길 깨달음으로 가는 길이 중생의 근기(根機)에 따라서 갖은 방법으로 설해 놓으셨습니다.
그러나 오늘 산승은 용화사의 전강 조실 스님의 법을 믿고 닦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가장 조실 스님께서 팔십 평생을 한결같이 설하시고 찬양하신 그 법(法), 그리고 산승도 역시 그 법을 믿기 때문에 간략히 한 말씀하겠습니다.
약국에 수백 가지, 수천 가지 약들이 있지만 자기에게 맞는 그리고 가장 자기의 병을 낫을 수 있는 약은 그 많은 약을 다 먹음으로써 병이 낫는 것이 아니라, 가장 자기 체질에 맞고 자기가 믿어지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서 그 병에 맞춰서 약을 먹어야 효과를 보는 것처럼,
산승이 믿는 또 조실 스님께서 평생에 선양하신 그 법을 오늘 말씀을 드리는데, 혹 여러분들은 이미 그 법에 의해서 열심히 공부하신 분도 있고, 수행을 해 가지고 상당한 지경에까지 이르신 그런 구참 수행자도 있을 것입니다마는 부처님과 같이 그러한 지경에까지 이르기 전에는 득소위족(得少爲足)을 해서는 아니 된 것입니다.
자기 나름대로 어떤 지경에 이르렀다 해도 그것이 구경(究竟)의 깨달음이 아니면 우리는 그것에, 자기의 이르른 경지에 만족을 해서 아니 되는 것입니다. 득소위족을 하면은 공부는 그 이상 나아갈 수가 없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참나’를 찾는 법, ‘참나’라고 하는 것이 과연 무엇이냐?
우리가 ‘나’하면은 자기의 성명(姓名)을 댈 것입니다. 성명은 임시로 붙여놓은 이름에 지나지 못하고 이름은 몇십 가지를 가질 수도 있고 몇천 개의 이름도 가질 수가 있을 것입니다마는 그 이름이 문제가 아니라,
정말 이 몸뚱이를 끌고 다니는 이 소소영령(昭昭靈靈)한 주인공—눈으로 볼래야 볼 수 없고, 손으로 잡을래야 잡을 수도 없고, 우리의 생각으로 아무리 알려고 해도 알 수가 없는 그러한 주인공이 이 몸뚱이를 끌고 다니고 있습니다.
이 몸뚱이는 지수화풍(地水火風)으로 이루어져서 시절인연(時節因緣)이 돌아오면 이 몸을 버리고 또 다른 몸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그 몸이 ‘사람의 몸을 받아야 도를 닦기에 가장 좋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천당이 좋아도 한량없는 고통을 받지 않고 즐거운 낙(樂)만 받는다고 해도 그것으로써 깨달음에 이르는 것이 아니고, 받을 만큼 복이 다하면 다시 또 떨어져서 인간 세계에 떨어지거나, 축생·아귀·지옥에 떨어지는 것이어서 천당에 가는 것도 우리의 구경의 목적지가 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비록 살아가는데 생로병사가 있다 하더라도 인간 세상에 태어나야 고통도 있고 낙도 있고 해서 거기서 무상(無常)을 깨닫고 도를 이룰 수가 있기 때문에 과거에 모든 성현들이 인간 세상에 태어나서 생사해탈을 하고 나아가서 고통 받는 중생을 제도하시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나이가 젊은 사람도 있고 나이가 많은 분도 있습니다마는 크고 작고 간에 병이 없는 사람이 거의 없고 결국은 설사 건강하다 하더라도 그래서 오래 산다 하더라도 백년을 넘기가 어렵습니다.
부자 빈부귀천, 재색식명수(財色食名睡) 오욕(五欲)을 마음껏 누리게 된다 하더라도 그것은 잠시 꿈에 봉황새를 타고 저 옥황상제가 있는 천국에 올라간 거와 같아서 꿈 깨고 나면은 아주 평범한 다시 본래 자기 살던 곳으로 눈을 떠보면 그 자리에 가 있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꿈에 천상에 가면 무엇 하며, 꿈에 금은보화를 산더미처럼 소유하면 그것이 또 어디에다 쓸 것입니까? 이 사바세계에서 많은 재산, 많은 명예와 권리와 지위 부귀를 누린다 하더라도 꿈에 부귀를 얻은 것이나 조금도 차등이 없는 것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 그것은 믿을 것이 못되고 언젠가는 자기 몸으로부터서 재산도 떠나고 명예와 권리도 떠나게 되고, 자기 생전에 그런 것이 다 망하고 결국은 감옥에도 가고 사형도 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이 사바세계의 오욕(五欲)이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왕궁의 부귀를 버리시고 출가하셔서 그래서 도를 닦아서 성불(成佛)을 하시게 된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사실은 진묵겁(塵墨劫) 전에 다 성불을 해 마치신 그러한 성현이지마는 우리 중생들에게 인생이 무상하다고 한 것을 몸소 보여주시고 도를 닦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주시기 위해서 사바세계에 오신 그러한 부처님인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우리는 정말 부처님의 일생에 대해서 잘 경전을 통해서 잘 알고 철저하게 무상을 깨닫고서 우리는 한 생각 한 생각, 한 걸음 한 걸음, 행주좌와 어묵동정을 통해서 선지식(善知識)의 지시에 따라서 역대조사의 법문에 의해서 이만큼 건강할 때 철저히 정진을 해서 이 목숨이 다하기 전에 생사해탈의 단계에 이르러야 할 것입니다.
도(道)라고 하는 것은 지극히 평범한 것이어서 머리를 깎고 출가를 하거나, 머리를 깎지 아니하고 세속에서 살거나,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알고, 몸이 아프면 끙끙 앓을 줄 알고, 부르면 대답할 줄 알고, 발로 걸어 다니고 앉었다 섰다 할 수 있을 만큼 이만큼 건강하면,
바로 ‘이뭣고?’를 통해서 항상 자기를 찾고 바른 방법으로 열심히만 찾으면 누구라도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부처님을 비롯한 역대 선지식들이 다 설하셨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나이가 많거나 적거나 남자이거나 여자이거나 빈부귀천을 따질 것도 없고, 머리가 좋고 나쁜 것도 따지지 말고 항상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가?’
팔만대장경에 화엄경을 비롯해서 많은 경전이 있지만 경전의 뜻을 정말 옳게 이해하고 보면 ‘자기의 마음을 자기가 찾아서 스스로 깨달으라’는 말 밖에는 딴 말씀이 없는 것입니다.
모두가 다 근기가 약한 사람을 위해서 방편(方便)으로 설하셨지만 그런 법문도 옳게 알고 보면 결국은 자기를 깨달으란 말로 귀결(歸結)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 부처님 오신날을 기해서 언제나 이 법상에 올라올 때마다 한결같이 그런 말씀을 여러분께 해 드렸습니다마는 오늘도 그 말로써 말씀을 맺고자 합니다.
개개면전명월백(箇箇面前明月白)이라 인인각하청풍취(人人脚下淸風吹)로다
나무~아미타불~
타파경래무영적(打破鏡來無影迹)이라 일성제조상화지(一聲啼鳥上花枝)로다
나무~아미타불~
개개면전명월백(箇箇面前明月白)이여. 모든 사람 낱낱이 그 사람 얼굴 앞에는 밝은 달이 환하니 떠있다 그말이여.
인인각하청풍취(人人脚下淸風吹)요. 사람 사람마다 그 다리 밑에는 맑은 바람이 불고 있다.
휘황창 달 밝은 밤에 어떤 사람 앞에만 그 달이 밝은 것이 아니고, 시원하게 바람이 불 때에는 모든 사람 얼굴에 다 바람이 부는 것이지, 특수한 사람에만 부는 것이 아니다.
그 말은 모든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에게는 다 부처가 될 수 있는 자성(自性)의 진여불심을 다 가지고 있다는 말이고, 다시 나아가서 말하면 모든 사람마다 다 법신불(法身佛)이 다 이 몸뚱이 속에 계시다 그 말씀이여. 어떤 특수한 사람만 법신불이 계시고 특수한 사람만이 진여불성(眞如佛性)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말이여.
타파경래무영적(打破鏡來無影迹)이여. 그 거울을 타파해 버리면—그 거울이라 하는 것은 중생의 팔식(八識) 속에 무량겁으로부터서 오면서 거기에 녹음 녹화된 온갖 번뇌와 망상, 그리고 부처님의 경전의 말씀, 성현의 말씀, 말로써 다 형언할 수 없는 것들이 다 팔식 속에, 무의식 속에 녹음 녹화가 되어 있는데 우리는 ‘이뭣고?’ 화두를 함으로써 그놈을 갖다 타파해 버려야 하는 것입니다.
타파함으로써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달으면 저 나뭇가지 위에 새 우는 소리가 바로 진리를 설파(說破)하는 말로써 자기에게 와 닿게 될 것입니다.
진리는 절대로 먼 데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앉았을 때나, 서있을 때나, 걸어갈 때나, 누웠을 때나, 어떠한 생각이 일어날 때—좋은 생각이건, 나쁜 생각이건, 슬픈 생각이건, 무슨 생각이 일어날 때 일어나는 그 생각에 즉해서 다음 생각으로 옮겨가기 전에 바로 ‘이뭣고?’로, ‘이뭣고?’를 챙김으로 해서 깨달음과 진리와 자기가 하나 되는 길이 바로 거기에 있다는 것을 명심을 하시고,
오늘 초파일을 기해서 이 법을, 이 최상승법(最上乘法)을 철저히 믿고 일 분, 일 초도 딴 생각[別念]이 일어날 기회를 주지 말고 자기를 찾는 공부를 열심히 하심으로 해서 진정으로 부처님의 은혜를 갚는 길이 여기에 있고,
부처님께서 왕궁의 부귀를 버리시고 출가해서 설산에서 도를 깨달으신 그 뜻이 바로 우리 몸에서 실천이 되도록 해 주시기를 당부 드리면서 말씀을 맺고자 합니다.
오늘 이 자리에 모이신 여러 법보가족 여러분! 형제자매 여러분! 여러 도반들!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해서 등불을 켜고 이 법요식을 같이 한 이 인연으로 무량겁(無量劫) 업장(業障)이 소멸(消滅)되시고, 그리고 크고 작은 유루복도 다 성취를 하시고, 나아가서는 참나를 깨달아서 한 사람도 빠짐없이 세세생생(世世生生)에 불회상(佛會上)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을 합시다.(16분51초~34분25초)(끝)
----------------(1/2)
*찬불게(讚佛偈) ; 부처님을 찬탄하는 게송.
『본생경(本生經)』에서 말하기를, 아주 먼 과거에 저사(底沙)라는 부처님이 계셨는데, 그때 두 사람의 보살이 있었으니, 한 사람은 석가(釋迦) 보살이라 했고 또한 한 사람은 미륵(彌勒) 보살이라 했다.
어느날 저사불께서 두 보살을 관찰해 보시니, 지혜의 면에서는 미륵 보살이 앞서 있으나 중생 교화의 면에서는 석가 보살이 앞서 있어서, 저사불은 석가 보살로 하여금 속히 부처를 이루게[成佛] 하기 위하여 설산에 올라가 보굴(寶窟) 속에서 화광삼매(火光三昧, 火定)에 드셨다.
이때 석가 보살이 산에 올라가 약을 캐고 있었는데, 저사불께서 보굴 속에 앉아 화광삼매에 들어 밝은 광명을 내뿜는 것을 보자, 그 거룩한 모습에 어찌 할 수 없어—들었던 발을 내려놓고 또 다른 발을 들어서 걸어가지를 못하고—한 발을 들은 채로 합장하고, 환희하며 믿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부처님을 향하여 일심으로 우러러 뵙되 잠시도 눈을 깜박이지 않고 7일 낮과 7일 밤을 있었다.
여기에서 그 칠일칠야(七日七夜) 시일이 지나가면서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하였다.
천상천하무여불(天上天下無如佛) 천상천하에 부처님 같으신 이 없으시고
시방세계역무비(十方世界亦無比) 시방세계에서도 견줄 이 없도다.
세간소유아진견(世間所有我盡見) 세상에 존재하는 것, 내 모두 보았으나
일체무유여불자(一切無有如佛者) 그 어느 것도 부처님에 비할 바 아니네.
이 게송을 ‘부처님을 찬탄하는 게송’이다 해서 찬불게(讚佛偈)라 하는데, 7일 7야 동안 세존(世尊)을 자세히 관하되[諦觀] 조금도 눈을 깜박이지 않으시니, 이로 인해 아홉 겁(九劫)을 뛰어넘어 91겁 만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를 얻으셨다.
[참고] [대지도론(大智度論)] (4권) '初品中菩薩釋論第八' 참고. [전등록 2] (동국역경원) p133 참고.
*시방세계(十方世界) ; 온 세계. 사방(四方 동•서•남•북)과 사유(四維 동북•동남•서남•서북)와 상하(上下)에 있는 무수한 세계.
*저사불(底沙佛) ; 산스크리트어 Tisya. 부처님 이름. 불사(弗沙)·보사(補沙)라고도 함. 명(明)·원만(圓滿)·귀숙(鬼宿)이라 번역한다.
*삼십이상(三十二相) ; 부처님이 갖추고 있다는 32가지의 뛰어난 신체의 특징. 몸이 금빛이다, 손가락이 길다, 두 눈썹 사이에 흰 털이 있다, 발바닥에 두 개의 바퀴 모양의 무늬가 있다 등등.
*팔십종호(八十種好) ; 부처님과 갖추고 있는 80가지의 작은 특징. 얼굴 빛이 화평하여 웃음을 먹음은 것, 목이 둥글고 아름다운 것 등등.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인토(忍土) · 감인토(堪忍土) · 인계(忍界)라고 한역.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중생들을 교화하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가 모두 사바세계이다.
*가비라(迦毘羅) 왕국 ; ‘석가모니(釋迦牟尼, Śākyamuni)’의 아버지 슈도다나왕(Śuddhodāna ; 淨飯王)이 다스리던, 인도와 지금 네팔 남쪽 국경 근처에 있던 석가족의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 ; 迦毘羅) 나라를 말함.
*사문유관(四門遊觀) ; 사문출유(四門出遊)라고도 한다. 석가모니부처님이 싯다르타 태자 때에 가비라성의 동•남•서•북 4문으로 나가 다녔는데, 동문 밖에서는 늙은이를 보고, 남문 밖에서는 병든 이를 보고, 서문 밖에서는 죽은 사람을 보고, 북문 밖에서는 출가수행자를 보고, 생로병사의 고통을 해결하려고 출가 수행에 뜻을 두었다.
*정거천인(淨居天人) ; 정거천(淨居天)에 사는 성자, 신. 그냥 정거천(淨居天)이라고도 함.
*정거천(淨居天) ; 불환과(不還果)를 증(證)한 성자가 살아야 할 곳으로 색계 제사선천(色界第四禪天)의 무번천(無煩天), 무열천(無熱天), 선현천(善現天), 선견천(善見天), 색구경천(色究竟天)을 통틀어 일컬음. 단지 성인만이 있는 곳이기 때문에 오정거천(五淨居天)이라고 함. 여기에 사는 성자, 즉 신들까지도 정거천(淨居天)이라고 한다.
*육법공양(六法供養) ; 향, 등, 꽃, 과일, 차, 쌀 등 여섯 가지 중요한 공양물을 말한다. 향은 해탈향(解脫香)이라고 해서 해탈·공덕을 상징하고, 등(燈)은 반야등(般若燈)으로 지혜·광명을 상징하고, 꽃은 만행화(萬行花)로 수행·장엄을 상징하고, 과일은 보리과(菩提果)로 깨달음을 상징하고, 차는 감로다(甘露茶)로 부처님의 가르침의 공덕과 이익을 상징하고, 쌀은 선열미(禪悅米)로 수행의 기쁨을 상징한다.
*유루복(有漏福) ; 평범한 범부 중생이 지은 복(福)—부귀영화, 명예, 권리, 오욕락 따위의 복으로, 유루(有漏)—샘이 있는, 번뇌 또는 고를 더욱 증장시키는—의 복이어서 한도(限度)가 있어 영원성이 없고 영원히 믿을 것이 못된다.
*항하사(恒河沙) ; [불교] 갠지스 강(Ganges江)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수히 많은 수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신심(信心) : ①‘내가 바로 부처다’ 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이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을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②‘올바르게 열심히 참선을 하면 나도 깨달을 수 있다’는 믿음. 진리에 대한 확신.
*분심(憤心) : 억울하고 원통하여 분한 마음.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왜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수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최상승론(最上乘論) ; 1권. 5조 홍인대사(弘忍大師)의 저술.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청정한 불성(佛性)을 확인하여 잘 지키는 수심(守心)을 강조한 저술.
*사라쌍수(沙羅雙樹) : 북부 인도의 구시성(拘尸城 kuśinagara) 서북쪽으로 흐르는 발제하(跋提河 Ajitavati) 물가, 사라수 여덟 대가 둘씩 마주 서 있는 것을 말한다.
부처님께서는 이 사라쌍수 사이에 머리를 북쪽으로 향하고 오른쪽 겨드랑이를 밑으로 해서 입멸하시니, 그 숲이 하얗게 변하였다. 그리하여 학의 숲(鶴林, 鶴樹)이라고도 하게 되었다.
*바른길 ; ①이치에 맞고 정당한 참된 도리. ②굽지 않고 곧은 길.
*유교경(遺敎經) ; 부처님께서 열반하실 때 설한 최후의 가르침을 적은 경전.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역대조사(歷代祖師) ; 석가세존(釋迦世尊)으로부터 불법(佛法)을 받아 계승해 온 대대의 조사(祖師).
*용맹정진(勇猛精進) ; 두려움을 모르며 기운차고 씩씩한 그리고 견고한 의지로 한순간도 불방일(不放逸)하는, 열심으로 노력하는 정진.
----------------(2/2)
*사부대중(四部大衆) ; 불문(佛門)에 있는 네 가지 제자. 곧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참고] 우바새—upasa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같은 말=靑信士,靑信男,信男,信士,居士,近事男,近善男,善宿男) 원래의 말뜻은 모시는 사람. 받들어 모시는 사람. 출가수행자를 모시고, 신세를 지므로 이렇게 말한다. 우바이—upasika의 음역. 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여자. (같은 말=靑信女,近事女,近善女,近宿女)
*운집(雲集 구름 운/모일 집) ; 구름(雲)처럼 모인다(集)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근기(根機 뿌리 근/베틀 기)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중생의 소질이나 근성. 보통 근기의 차등을 상근기, 중근기, 하근기로 구분한다.
*득소위족(得少爲足) ; 작은 것을 얻어 가지고 만족을 삼는다.
*구경(究竟 궁구할 구/마칠·다할 경) ; 어떤 과정의 마지막이나 막다른 고비. 그 위에 더 없음. 최고의 경지. 궁극에 도달함.
*소소영령(昭昭靈靈) ; 한없이 밝고 신령함. 소소(昭昭)도 영령(靈靈)도 함께 밝은 뜻. 밝은 모양. 진여(眞如), 법성(法性), 불심(佛心)을 의미하는 말.
*시절인연(時節因緣) ; 시절이 도래(到來)하고 인연이 합쳐지는 기회. [참고]시절(時節)—어떤 시기나 때. 도래(到來)—어떤 기회나 시기가 닥쳐옴. 기회(機會)—어떠한 일, 행동을 하기에 가장 좋은 때.
*무상(無常) ; 모든 현상은 계속하여 나고 없어지고 변하여 그대로인 것이 없음.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것. 변해감. 덧없음. 영원성이 없는 것.
세상의 모든 사물이나 현상들이 무수한 원인(因)과 조건(緣)의 상호 관계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그 자체 독립적인 것은 하나도 없고, 인연(因緣)이 다하면 소멸되어 항상함[常]이 없다[無].
*성불(成佛 이룰 성/부처 불) ; ①세상의 모든 번뇌를 끊고 해탈하여 불과(佛果)를 얻음. 곧 부처가 되는 일을 이르는 말이다. ②석존이 붓다가야에서 깨달음을 연 것. ③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것. 혹은 분명하게 완전히 깨달은 것이라는 뜻.
*진묵겁(塵墨劫) ; 티끌[塵]이 쌓여 먹[墨]이 될 만큼의 오랜 시간[劫].
*선지식(善知識) ; ①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좋은 지도자. 훌륭한 지도자. 바르게 이끄는 사람. ②좋은 벗. 마음의 벗. 선우(善友).
*이뭣고(是甚麼 시심마) : ‘이뭣고? 화두’는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을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 ‘이뭣고?’하고 그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그 자리)를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 ‘이것이 무엇인고?’ 이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 ‘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는 일곱 자(字)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이, 뭣, 고’ 석 자(字)이다. ‘이뭣고?(이뭐꼬)'는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그 뜻은 그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을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해 왔다.
*방편(方便 방법·수단 방/편할 편) ; ①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끌어가기 위해 일시적인 수단으로 설한 가르침. 중생 구제를 위해 그 소질에 따라 임시로 행하는 편의적인 수단과 방법. 상황에 따른 일시적인 수단과 방법. ②교묘한 수단과 방법.
*귀결(歸結) ; 의논이나 행동 따위가 어떤 결론이나 결과에 도달함. 또는 그 도달한 결론이나 결과.
*(게송) ‘개개면전명월백~’ ; [소요당집(逍遙堂集)] (한글대장경169, 동국대학교역경원) p100 ‘순 상인(淳上人)에게’ 게송 참고.
*법신불(法身佛) ; 절대적 지혜의 지고한 상태, 즉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부처님(佛).
*진여(眞如) ; ①차별을 떠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②궁극적인 진리. ③모든 분별과 대립이 소멸된 마음 상태.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 ④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불성(佛性) ; ①모든 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부처가 될 수 있는 소질·가능성. ②부처 그 자체. 깨달음 그 자체.
*제팔식(第八識) ; 팔식(八識) 가운데 여덟 번째인 아뢰야식(阿賴耶識)을 말함.
[참고] 〇아뢰야식(阿賴耶識) ; 과거의 인식, 경험, 행위, 학습 등에 의해 형성된 인상(印象)이나 잠재력, 곧 종자(種子)를 저장하고, 육근(六根)의 지각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원적인 심층의식.
아뢰야(阿賴耶)는 산스크리트어 ālaya의 음사로, 거주지·저장·집착을 뜻함. 식(識)은 산스크리트어 vijñāna의 번역. 아뢰야(阿賴耶)를 진제(眞諦)는 a(無)+laya(沒)로 보아 무몰식(無沒識), 현장(玄奘)은 ālaya로 보아 장식(藏識)이라 번역.
〇팔식(八識) ; 유식설(唯識說)에서 분류한 8가지 마음 작용.
인간의 모든 마음 활동을 8가지로 분류한 것이 8식(八識)이다.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8식(八識) 가운데 앞의 5가지 식(識), 곧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을 전5식(前五識)이라 하고, 그리고 第六 意識(제6의식), 第七 末那識(제7말나식), 第八 阿賴耶識(제8아뢰야식)이라 한다.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설파(說破) ; 어떤 내용을 분명하게 드러내어 말함.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화두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딴 생각 ; 별념(別念). [몽산법어]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에서.
〇做工夫호대 着不得一絲毫別念이니 行住坐臥에 單單只提起本叅話頭하야 發起疑情하야 憤然要討箇下落이니라. 若有絲毫別念하면 古所謂雜毒이 入心하야 傷乎慧命이라하니 學者는 不可不謹이니라
공부를 짓되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을 두지 말지니, 가고 멈추고 앉고 누우매 다못 본참화두(本叅話頭)만을 들어서 의정을 일으켜 분연히 끝장 보기를 요구할 것이니라. 만약 털끝만치라도 딴 생각[別念]이 있으면 고인이 말한 바 ‘잡독(雜毒)이 마음에 들어감에 혜명(慧命)을 상한다’하니, 학자는 가히 삼가지 않을 수 없느니라.
余云別念은 非但世間法이라 除究心之外에 佛法中一切好事라도 悉名別念이니라. 又豈但佛法中事리요 於心體上에 取之捨之 執之化之가 悉別念矣니라
내가 말한 딴 생각[別念]은 비단 세간법만 아니라 마음을 궁구하는 일 외에는, 불법(佛法)중 온갖 좋은 일이라도 다 딴 생각[別念]이라 이름하느니라. 또 어찌 다만 불법중 일뿐이리오? 심체상(心體上)에 취하거나[取], 버리거나[捨], 집착하거나[執], 변화하는[化] 것이 모두 다 딴 생각[別念]이니라.(p164-166)
〇做工夫호대 不得將心待悟어다. 如人이 行路에 住在路上하야 待到家하면 終不到家니 只須行하야사 到家오 若將心待悟하면 終不悟니 只須逼拶令悟요 非待悟也니라
공부를 짓되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지 말라. 마치 사람이 길을 가매 길에 멈춰 있으면서 집에 이르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집에 이르지 못하나니, 다만 모름지기 걸어가야 집에 도달하는 것과 같아서, 만약 마음을 가져 깨닫기를 기다리면 마침내 깨닫지 못하니, 다만 모름지기 애써서 깨닫게 할 뿐이요, 깨닫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니라.(p163-164)
〇做工夫호대 不得求人說破이니 若說破라도 終是別人底요, 與自己로 沒相干이니라. 如人이 問路到長安에 但可要其指路언정 不可更問長安事니 彼一一說明長安事라도 終是彼見底요, 非問路者의 親見也이니라. 若不力行하고 便求人說破도 亦復如是하니라
공부를 짓되 다른 사람이 설파(說破)하여 주기를 구하지 말지니, 만약 설파(說破)하여 주더라도 마침내 그것은 남의 것이요, 자기와는 상관이 없나니라.
마치 사람이 장안으로 가는 길을 물으매 다만 그 길만 가리켜 주기를 요구할지언정 다시 장안의 일은 묻지 말지니, 저 사람이 낱낱이 장안 일을 설명할지라도 종시(終是) 그가 본 것이요, 길 묻는 사람이 친히 본 것은 아니니라. 만약 힘써 수행하지 않고 남이 설파하여 주기를 구하는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p180-181)
*무량겁(無量劫) ;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시간이나 끝이 없는 시간. 劫과 刧는 동자(同字).
*업장소멸(業障消滅)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생긴 장애[業障]가 사라져 없어짐[消滅]. 죄업소멸(罪業消滅).
*세세생생(世世生生) ; 많은 생애를 거치는 동안. 태어날 때마다. 세세(世世)토록.
*불회상(佛會上) ; 부처님(佛)의 회상(會上). 부처님 계시는 곳.
[주요 내용]
찬불게(讚佛偈) / 깨달음으로 가는 정진이 우리의 할 일 / 오조(五祖) 홍인 대사의 최상승론(最上乘論) / 유교경(遺敎經)에 있는 말씀 / 사람 몸 받아야 도 닦기에 가장 좋다 / 사바세계의 오욕(五欲)은 꿈 / (게송)개개면전명월백~ / 팔만대장경도 결국은 자기를 깨달으란 말로 귀결.
[주요 문구]
〇‘부처님’은 인도 말로 붓다(Buddha)란 말인데, 붓다란 말은 ‘각자(覺者)’, ‘깨달으신 성현’이다.
〇오조(五祖) 홍인 대사께서는 최상승론(最上乘論)이라고 하는 법문을 통해서 『만약 부처님이 능히 중생을 제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과거의 모든 부처님이 항하사 모래 수와 같이 한량이 없으신데 무슨 까닭으로 우리는 오늘날까지 성불을 못하고 이렇게 생사윤회를 하고 있겠느냐?』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다못 정성이 안으로부터서 능동적으로 터져 나오지 아니한 까닭에 과거에 무량 부처님이 출세하셨음에도 불구하고 한량없는 법을 설하셨음에도 불구하고 고해(苦海)에 침몰하고 우리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오조 스님께서 말씀을 하시고 『노력하고 노력할지어다. 부지런히 자기의 본마음을 찾아서 잠시 동안도 잊어서는 아니 되느니라』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〇부처님의 위대하심과 그 덕을 찬양하는 데에 그치지 말고, 부처님께서 열어주신 일러주신 그 깨달음으로 가는 길을 그 목적을 향해서 끊임없이 노력을 해야 할 일이 우리에게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왕궁의 부귀를 버리시고 설산에 들어가셔서 6년 고행을 하시고 그래 가지고 깨달으신 그 법을 우리가 믿고 그것을 실천하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〇비록 살아가는데 생로병사가 있다 하더라도 인간 세상에 태어나야 고통도 있고 낙도 있고 해서 거기서 무상(無常)을 깨닫고 도를 이룰 수가 있기 때문에 과거에 모든 성현들이 인간 세상에 태어나서 생사해탈을 하고 나아가서 고통 받는 중생을 제도하시게 되는 것입니다.
〇팔만대장경에 화엄경을 비롯해서 많은 경전이 있지만 경전의 뜻을 정말 옳게 이해하고 보면 ‘자기의 마음을 자기가 찾아서 스스로 깨달으라’는 말 밖에는 딴 말씀이 없는 것입니다. 모두가 다 근기가 약한 사람을 위해서 방편(方便)으로 설하셨지만 그런 법문도 옳게 알고 보면 결국은 자기를 깨달으란 말로 귀결(歸結)이 되는 것입니다.
〇진리는 절대로 먼 데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앉았을 때나, 서있을 때나, 걸어갈 때나, 누웠을 때나, 어떠한 생각이 일어날 때—좋은 생각이건, 나쁜 생각이건, 슬픈 생각이건, 무슨 생각이 일어날 때 일어나는 그 생각에 즉해서 다음 생각으로 옮겨가기 전에 바로 ‘이뭣고?’를 챙김으로 해서 깨달음과 진리와 자기가 하나 되는 길이 바로 거기에 있다는 것을 명심하라.
'601~700 > (651~675)'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663)—2002년 동안거해제 법어(02.02.6) (29분) (0) | 2017.06.17 |
---|---|
(No.675)—2003년 부처님오신날(03.05.08) (21분) (0) | 2017.04.12 |
(No.653)—2001년(신사년) 하안거결제 법회(01.5.8)(33분) (0) | 2016.01.13 |
(No.661)—전강선사 27주기 추모재(02.01.14)(20분) (0) | 2016.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