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1~800/(701~725)2016. 8. 3. 05:40
>>> 용화선원 법문 유튜브에서 보고 듣기 --->유튜브로 바로가기


(No.706)—2006(병술년) 동안거 결제 법어(06.12.05) (41)

(1/2) 약 20분.  (2/2) 약 21분.


(1/2)----------------


월원불유망(月圓不逾望)하고  일중위지경(日中爲之傾)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정전백수자(庭前柏樹子)  독야사시청(獨也四時靑)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오늘 결제일을 맞이해서 수원 용주사 중앙선원, 위봉사 위봉선원, 승련사 승련선원, 대전 세등선원 복전선원, 회룡사 선원, 그러고 각지 토굴 사암에서 비구·비구니·사미·사미니·청신사·청신녀, 형제 자매 도반 여러분들이 용화사 법보선원에 모여서 결제(結制) 법요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금방 결제 법어는 전강 대종사(田岡大宗師) 조실 스님의 녹음법문(錄音法門) 통해서 우리가 결제 중에 어떻게 정진을 해야 것인가에 대해서 감동 깊게 법문을 들었습니다.

산승이 더이상 여러분에게 말씀은 없습니다마는 기왕 우리 도반들이 이렇게 모이셨으니 노바심(老婆心)으로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법문을 듣고 결제에 들어가면 누구를 막론하고이번 철은 정말 일대사(一大事) 위해서 열심히 정진(精進) 하리라 다짐은 하실 것입니다.


그러나 다짐하는 마음가짐은 대단히 좋으나식사를 적게 먹어서 혼침(昏沈) 막으리라, 먹고 싶은 대로 잔뜩 먹으면 졸음이 올테니까 있으면 적게 먹고 졸음을 쫒으리라이런 생각을 수도 있을 것이고,

방선(放禪) 시간이라도 말을 하다 보면 자연히 잡담이 나오게 되고, 잡담을 하다 보면 이런 저런 쓸데없는 생각이 일어날 수도 있을 테니까 아주 입을 닫거나, 입을 아주 묵언을 하지 않드라도 있으면 말을 적게 하리라이러한 다짐을 하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대단히 좋은 생각이고 어떻게든지 해서라도 알뜰하게 착실히 정진을 할라고 마음을 먹은 것은 발심(發心) 사람이면 그런 마음을 일으킬 수가 있습니다마는육체를 고통을 줌으로해서 정진에 유익하게 하리라이러한 생각은 지혜롭지 못한 생각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육체라 하는 것은 기계와 같아서, 아주 정밀한 기계와 같아서 적당한 기름을 쳐줘야 하고 기계를 적당하게 지혜롭게 조정을 해야 기계가 돌아가고 기계의 목적을 달성을 해서 무슨 물품을 생산해 것입니다.

육체도 과식하고 너무 영양을 많이 섭취하고 그래서는 안되겠지마는 적당하니 먹고 저작(咀嚼) 해서 먹고 그래야지, 잠도 최소한도로 만큼 주어야지 잠을 억지로 놓으면 이튿날 정진을 정진 중에 자꾸 졸음에 빠져가지고 오히려 성성(惺惺)하게 화두가 들릴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 참으로 정진을 잘할 수가 있느냐?

용을 쓰고, 눈썹을 찌푸리면서 용을 쓰고 그렇게 하는 것이 그것이 올바른 정진이 아니고 자세는 바르게 하되 너무 용을 써서는 아니된 것입니다.


자리에 모이신 분은 구참(久參) 스님네들도 많이 계시고 구참 청신사 청신녀도 계실 것입니다마는 자리에는 처음으로 나온 승가대학을 졸업하고 처음으로 발심을 해서 나오신 분도 상당수 있기 때문에 초학자(初學者)들을 위해서 이런 노바심절(老婆心切)에서 말씀을 드린 것이니 그렇게 이해하시를 바랍니다.


해태(懈怠) 떨어지지 아니해야 그것이 정진이고, 해태의 반대말이 정진인 것입니다.

정진이라 하는 것은 용을 쓰고, 밥을 먹고, 잠을 자고 송곳으로 무릎을 찌르면서 혼침을 졸음을 쫓고 모다 그런 것도 방편이 수가 있겠습니다마는 진정한 정진이라 하는 것은 지나치게 육체를 들볶고 그러한 것이 아닙니다.


공양(供養)하는 시간에 씹어서 적당히 공양을 하되 공양을 씹으면서도 떠억 화두(話頭) 잡드리 하고, 소지(掃地) 때에도 화두를 들고 잡드리를 하고, 포행을 때에도 화두를 들고 잡드리 하고,

일체 잡담 쓸데없는 말하는 데에 참섭(參涉) 아니허되 다른 사람이 말을 하거나 말거나 자기가 거기에 끌려들어가지 아니하면 되는 것이지, 남이 말하고 남이 하는 것에 대해서 구태여 시비를 일으키고 그럴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과거에 조사(祖師) 스님네 어록(語錄) 보면 3일만에도 깨달은 분도 있고, 7일에 깨달은 분도 있고, 백일에 깨달은 분도 있고, 3년에 깨달은 분도 있고, 10년에 깨달은 분도 있어서 이런 것은 과거에 전생부터서 어떻게 닦아왔느냐 그런 것도 작용이 되려니와,

금생에 어떻게 정진을 왔으며 어느 선지식의 지도하에 했느냐, 어떠한 도반들을 만나서 정진을 했느냐, 어떠한 상황에서 어떻게 정진을 했느냐, 모다 그런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이 되어가지고 그래가지고 일대사(一大事) 해결하는 것입니다마는.


과거에 어느 분이 그렇다고 해서자기도 그와 똑같이 해서 단시일(短時日) 내에 요절을 내리라이러한 생각은 어리석은 생각이라고 됩니다.

날짜야 시간이야 달이 걸리건, 년이 걸리건 그것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아니하고, 당장 또는 오늘 또는 당장 시간, 생각을 어떻게 잡드리 하느냐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올바르게 잡드리 하면 그렇게 해서 하루, 이틀, , 그렇게 해서 뒤에 해제를 맞이하게 되는 것입니다. 달이 어떻게 생각 생각을 잡드리 했느냐가 그것이 중요한 거지, 시간을 그렇게 크게 문제삼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조 홍인(五祖弘忍)대사의 법문에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조사들은 일대사를 해결했는데 나는 오늘날까지 생사 문제를 해결을 못했느냐? 이런 데에 대한 신심(信心) 분심(憤心) 대해서, 그리고 화두를 타고 정진을 사람은 의심(疑心), 자기 마음으로부터서 그런 문제를 해결하리라고 하는 정성심(情誠心) 일어나야 한다 것입니다.


그러한 정성심이 마음으로부터서 일어나지 아니하면, 속마음으로부터서 일어나지 아니하면 진실한 발심이 아니고 진실한 분심이 아닌 것입니다.

정말 진실한 정성이 마음으로부터서 일어나면 저절로 신심과 분심이 한목 일어나서 화두를 들라고 하지 해도 저절로 터억 화두가 드러난다. 이러한 오조 스님이 직접 화두란 단어는 사용하지 아니했지마는 그러한 법문을 하셨습니다.


그래서 법문 끝에다맛 해어진 옷을 입고 거친 음식을 먹고 요연(了然) 수본진심(守本眞心) 하되 양치불해어(佯癡不解語)하면양치(佯癡) 하는 것은거짓 ()’, ‘어리석을 ()’ 양치입니다.

거짓 ()’, ‘병들 ()’ 양병(佯病)이라 하면 사실은 병이 났는데 병이 것처럼 거짓 꾀병을 앓는 것을 양병이라 하는데, 실지는 바보도 아니고 어리석지도 않지마는 바보 노릇을 하는 것입니다. 어느 정도 바보 노릇을 하냐 하면은 말귀를 알아들은 것처럼 바보 노릇을 하라 이것입니다.


선방에 가지고 똑똑한 하고 잘난 하고 그래가지고 시비(是非) 하고 그래서 옆에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들고 대중을 소란케 하고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양치(佯癡) 아니라 진짜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선방에 와서는내가 과거에 좋은 훌륭한 대학을 나왔거나, 과거에 무슨 자랑할만한 경력이 있거나 무슨 말을 잘하거나 외국어를 잘하거나, 수단이 있어서 무슨 일을 처리하고, 무슨 재주가 있어서 뭣을 그림이나 글씨를 그리고, 물건을 만들고...’ 그런 생각을 버리고, 출가한 뒤에 선방에 나온 지가 여러 철이 되어서 구참이 되거나 그런 생각도 버리고,

오직 말귀도 알아들은 바보가 되어 가지고, 거짓 바보가 되어가지고 하루 하루를 그렇게 지내고 달을 그렇게 지내서, 그러면서 속으로는 떠억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 거각(擧却) 해서 퍼뜩 잊어버리면 챙기고, 놓치면 챙기고 해서, 그렇게 해서 누구하고 잡담 겨를도 없고.


밥이 맛있거나 없거나 반찬이 맛이 있거나 말거나, 밥이면 , 찰밥이면 찰밥, 국수면 국수, 라면이면 라면, 그저 원주 별좌 공양주가 정성껏 해다 올리면 그저 죽비() 따라서 공양을 들되 숟갈을 들고 밥을 뜨고, 저분으로 반찬을 들고 것이 이것이 전체가 화두를 드는 의심속에서 그렇게 하되,

어떻게 밥을 먹었는지 말았는지, 밥이 맛이 있는지 없는지, 그렇게 철을 하루 하루를 지내면 반드시 의단(疑團) 독로(獨露)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 되어서 마침내는 의단을 타파(打破)하고 자기의 본각(本覺), 본성(本性) 깨닫게 것입니다.


이렇게 거짓 바보 노릇을 하면서, 말귀도 알아들은 바보 노릇을 하면서 이렇게 정진(精進) 해야 기력(氣力) 적게 소모하고서도 정진에 크게 () 있으니 이렇게 정진한 사람을 과연 대정진인(大精進人)이라고 수가 있는 것이다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오조 스님 당시에 화두라고 하는 간화선법(看話禪法) 없었으나 그때 화두라고 하는 것이 있었다면 오조 스님께서는 아까 전강 조실 스님께서 말씀하시듯 산승(山僧) 지금 말한 것처럼 화두를 어떻게 거각을 하라고 분명히 말씀을 하셨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이렇게 정진을 한다면 달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는 사이에 달이 지나가서 정말 정진하는 사람으로서의 기틀이 달을 지내고 나면 자리가 잡혀 나갈 것입니다.

여러분에게 내가 오늘 부탁을 드리는 것은 이런 마음가짐으로 정진을 하시기를 간곡히 부탁을 하고.(처음~1944)



(2/2)----------------


선원에 주지 스님이나 선원장이나 삼직(三職) 스님네나 원주·도감·별좌·공양주·채공을 맡으신 그런 분들은 정말 선방 방부 들인 스님네가 구참이 되었건, 새로 나오신 신참이 되었건 어떤 분이 오셨거나 간에 반드시 최상승법(最上乘法) 의해서 생사 문제를 해결하려고 오신 견성성불(見性成佛) 하는 후보자가 오셨다지금은 확철대오(廓徹大悟) 못했다 하더라도 반드시 확철대오 해서 불법을 선양하고, 새로운 부처님이 탄생하실 그런 분들이라 생각하고 정성을 다해서 외호(外護) 주시를 부탁을 하고,


그렇게 함으로 해서 선방이 정말 장애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선신(善神), 불보살(佛菩薩)들이 항상 도량(道場)에서는 왕림하셔서 호념(護念) 주실 것이고, 선신들도 외호를 잘해 주시리라고 믿습니다.


비록 전라도·경기도·충청도 이렇게 장소는 멀리 떨어져 있어도 선원마다 그러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외호 대중이나 정진하는 스님네가 그렇게 정진을 하신다면 바로 자리에 모여서 아까 법회가 시작하기 전에 동안 우리가 죽비를 치고 입선(入禪) 했습니다마는,

여러 멀리 떨어져 있는 도량에 계시더라도 우리가 시간 맞춰서 도량에서 조실 스님의 법문을 들으면서 불보살이 항상 호념해 주신 가운데에 그렇게 정진을 한다고 그런 마음가짐으로 지내시기를 바래고, 그런 마음가짐으로 지내면 반드시 우리는 어데서라도 자리에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됨으로 해서 우리는 사람도 낙오자가 없고, 탈선한 사람이 없고 그러기 위해서 결제(結制) 이렇게 날씨도 춥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리에 우리는 모이게 것입니다.


어찌 생각하면 교통도 위험하고 그러니 각기 있는 절에서 정진을 하지 이렇게 오시지 말라고 그렇게 말씀을 드리고 싶지마는 그래도 도반들이 이렇게 모이고 보니산승도 멀리서 모다 정진을 하리라 결제도 하리라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고, 그러나 이렇게 모여서 직접 여러분을 상면 하고 같이 조실 스님 법문을 듣고 산승이 이렇게 여러분께 간곡히 부탁을 드리게 되니 산승도 대단히 마음에 감격스럽고 결제하는 보람이 있습니다.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에 의해서 우리는 철을 어떻게 정진을 해야 것인가에 대해서 충분히 들었고, 산승이 조실 스님을 대신해서 여러분께 이렇게 부탁을 드리게 되니,

아까 월원불유망(月圓不逾望)이요, 달이 둥글어지면 보름달이 되면은 그날부터서 차츰차츰 적어져서 결국은 조각달이 되어가다가 결국은 없어지는 거고,

해가 아침에 동쪽에서 떠서 차츰차츰 올라와서 하늘 중천(中天) 이르게 되면 그대로 중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내감에 따라서 차츰차츰 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입니다.(日中爲之傾)


달과 해만 그런 것이 아니라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고대로 있는 것은 가지도 없습니다. 삼라만상 모든 것은, 세계에는 성주괴공(成住壞空) 있어서 이루어지면은 잠시동안 머물러 있다가 차츰차츰 변해가지고 무너져서 결국은 언젠가는 없어져 버리는 거고,

우리의 육체도 부모로부터서 태어나면 조그만한 어린아이가 차츰차츰 젖을 먹고 밥을 먹고 커서 어른이 되고 사십 오십이 되면은 차츰차츰 장년(壯年) 되어가지고, 오십 육십이 되면은 주름살이 생기고 흰머리가 나고 해서 눈도 침침해지고 귀도 어두워지게 되고 병이 나면은 결국은 죽게 됩니다. 사람도 늙지 않고 병들지 않고 죽지 않은 사람은 사람도 없습니다.


그러니 우리의 마음은 어떻습니까?

무슨 생각이 일어나면 생각이 좋은 생각이건, 궂은 생각이건 간에 생주이멸(生住異滅)생각이 일어나면 잠시 생각이 있다가 다른 생각으로 옮겨가지고 결국은 생각은 꺼지고, 그리고 생각이 일어나면은 생각이 일어났다가 변해가지고 생각이 꺼지게 됩니다.


그런 것이 바로 무상(無常) 것이요, 그러한 생각이 결국은 생사윤회(生死輪廻) 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속에 우리는 현재 놓여있습니다.

그러한 속에 놓여 있으면서 우리는 생사(生死) 속에 있으면서 생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가(出家) 했고 불법을 믿고 오늘 자리에 모이셨습니다.


어떻게 하면 생사 속에서, 성주괴공 속에서, 생주이멸 속에서 영원을 살아가려는 길이 무엇이냐? 영원함을 깨닫는 방법이 무엇이냐?

이것이 바로 부처님의 법문(法門)이요, 조사(祖師) 법문이요. 바로 화두라고 하는 것이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인 것입니다.


화두라 하는 것은 글을 통해서 자기가 선택할 수도 있겠습니다마는 반드시 자기가 믿는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서 지시를 받아가지고 화두 하나를 가지고 참구(參究) 나가는데,

아까 조실 스님께서 말씀하신 활구참선(活句參禪) 사구참선(死句參禪), 활구와 사구는, 의리(義理) 이론적으로 따져 들어가는 것은 그것이 아무리 교리적으로 따졌거나 철학적으로 따졌거나 따져 들어간 것은 그것은 사구(死句) 하는 것입니다.


없는 의심, 따져들어가는 것이 없이 없는 의심으로만이뭣고?’이뭣고?’ 판치생모(板齒生毛) 판치생모, 정전백수자(庭前柏樹子) 정전백수자,

이뭣고?’ 무자(無字) 화두를 하신 분은어째서 () 했는고?’ 판치생모를 하신 분은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없는 의심! 맥혀서 없는 의심을 () 나가야지 알아 들어가는 것이 있거나, 보여지는 것이 있거나, 사량분별로 가는 것은 백만겁을 해도 그것은 바른 깨달음에 도달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발심해서 처음 선방에 나온 신참(新參) 학자는 점에 대해서 각별히 유의를 해야 것입니다.

한번 화두를 탔으면 아무리 안되어도 고대로 나가고 나가야지, 화두가 안된다고 해서 다른 화두를 들고 보거나 다른 스님네한테 가서 다른 화두를 가지고 해볼랴고 하는 그런 생각은 어리석은 생각이 되는 것입니다.


비유를 들어서 샘을 파는데 1m, 2m 파고들어가도 물이 나온다고 해서 자리를 옮겨서 파고, 파다가 미터 파고들어가서 안되면 옮기고 하면 사람은 년을 판다 하드라도 수백 개의 우물을 판다해도 좋은 물은 얻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처음에, 그래서 샘을 때에는 자리를 잡아야 합니다. 자리를 잡아서 물이 나올 있는 수맥(水脈) 아는 그런 사람을 청해 가지고 어느 장소에다 파면 좋은 물이 나오겠는가?

자리를 ! 잡았으면 5m, 10m, 20m, 50m, 100m라도 파고들어가서 마침내 암반이 나오면 암반을 뚫어야 속에서 가뭄을 타지 않고, 춘하추동 아무리 가뭄이 들더라도 증감이 없이 한결같은 좋은 물을 얻어서, 많은 좋은 물이면서 많은 물을 얻어서 년을 먹어도 상관이 없고 몇십 년을 먹어도 변함이 없는 그런 물을 얻듯이 화두를 참구해서 참선을 하는 사람도 그러헌 진실하고 독실한 그런 발심과 원력(願力)으로 정진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참선이라 하는 것이 결코 수월하고 그런 것이 아닙니다. 정말 생명을 바칠만한 그러한 신심(信心) 분심(憤心) 의단(疑團)으로 가야, 삼요(三要) 갖추어 나가야지 하나만 빠져도 그것이 이루어질 수가 없는 것입니다.


달은 둥글어도 보름달도 기울어지고, 해는 정오가 지내면은 서쪽으로 기울어 가고 그러되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 독야사시청(獨也四時靑)이다. 정전백수자는, 앞에 잣낭구는 춘하추동 사시절에도 변함이 없이 홀로 푸르구나이런 고조사(古祖師) 게송(偈頌) 읊었습니다.


이런 한결같은 마음으로 동안을 정진하시기를 바래고, 자리에는 법문만 듣고 자기 토굴(土窟) 들어가서 정진을 헐라고 하는 분도 있고, 가정에서 생활하면서도 정진헐라고 하는 그런 신도님들도 계실 것입니다.

방부를 들이고 선방에 지내시거나, 결제에 참석을 하고 가정에서 직장에서 정진을 하거나 간에 이렇게 조실 스님의 법문과 산승의 간절한 간곡한 부탁드리는 말씀을 명심을 하고 지내시면 어데서 지내시거나 항상 우리는 선방에서 지내는 것이 되는 것이므로 그렇게 지내시기를 바랍니다.


오늘은 백일기도 입제일입니다 백일기도에 동참하신 분들도 날마다 와서 기도는 못하시더라도 가정에서도 결제에 동참하셨고, 백일기도에 동참을 하셨으니 정진과 기도하는 마음으로 동안을 지내시고 건강하게 그렇게 지내시고 알뜰히 정진하시고 내년 정월 보름날 해제 자리에 건강한 모습으로 만나게 되기를 바래면서 말씀을 맺고자 합니다.



운주천부동(雲走天不動)이요  주행안불이(舟行岸不移)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본시무일물(本是無一物)이라  하처기환비(何處起歡悲)리요

나무~아미타불~


운주천부동(雲走天不動)이요, 구름은 바람에 따라서 달아나고 있지마는 위에 하늘은 움직임이 없고,

주행안불이(舟行岸不移), 배는 물결따라 흘러가고 있지마는 양쪽 기슭은 움직임이 없구나.


본시무일물(本是無一物)인데  하처기환비(何處起歡悲)리요.

본래 물건도 없거늘 어느 곳에 기쁨과 슬픔을 일으키리요.

이조 때에 도인이신 편양 언기(鞭羊彦機)선사의 게송입니다.


세상은 나라도 여당과 야당 모다 신문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마는 모든 것이 한결같지 않고 어수선하고 복잡하고 세계가 도처에서 전쟁을 하고 사람이 죽고 모다 실험을 하고 모다 복잡합니다.


그러나 자리에 모이신 여러 도반들은 뉴스를 듣거나 신문을 보거나 걱정이 안되신 바는 아니겠으나 그렇게 복잡하드라도 속에서 조실 스님 법문을 녹음으로라도 들으시면서 열심히 정진을 하고 자기가 맡은 일을 착실히 하고, 착실히 하는 가운데 화두를 들고 정진한다면,

구름이 지나가도 하늘이 움직임이 없고, 배가 지내가도 양쪽 기슭은 움직임이 없듯이 산천초목이 춘하추동에 따라서 잎이 피고 꽃이 피었다 가을이 되면 단풍이 져서 떨어지고 겨울이 되면은 흰눈이 내리드라도 잣나무는 푸르름을 지키듯이,


사바세계(娑婆世界) 속에서도 정법을 믿는 여러 도반들은 생사 무상 속에서 화두를 들고 착실히 하루 하루를 지내간다면 거기에는 언제나 부처님이 출현을 하신 것이고, 거기에는 항상 조사 스님이 우리를 위해서 눈에 보이는 채찍질을 주시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로병사 속에서 생사가 없는 영원을 살아가는 길이 우리 앞에는 열리게 되는 것입니다.(1944~4017)()



----------------(1/2)


*(게송) 월원불유망~’ ; [청허당집(清虛堂集)] (서산휴정, 西山 休靜) ‘草堂咏栢(초당영백, 초당에서 잣나무를 읊음)’ 게송 참고.

*결제(結制 맺을 /만들·법도 ) ; 참선 수행하는 안거(安居) 들어감. 하안거는 음력 4 15일에 결제하며, 동안거는 음력 10 15일에 결제한다.

*전강선사 ; [용화선원 법문듣기]에서 ‘역대 스님 약력참고.

*전강선사 녹음법문(錄音法門) ; 전강 스님께서 후학을 위해 참선법(參禪法) 핵심으로 설한 법문이 700 시간 분량이 녹음되어 있다. 중에는 『전강선사 일대기』 『몽산법어』 『초발심자경문』 등이 있다. 용화선원(녹음실)에서 전강선사 송담스님의 모든 법문을 mp3 파일로 구할 있습니다.

*노바심 ; 노파심(老婆心). 노파(老婆) 자식·손자를 애지중지 하듯이, 스승이 수행자에게 나타내는 자비심. 친절심(親切心). 파심(婆心)이라고도 .

*일대사(一大事) ; 매우 중요하거나 아주 . 삶과 죽음, 생사(生死) .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 인간으로서의 완성.

『법화경』 방편품에諸佛世尊, 唯以一大事因緣故, 出現於世  모든 부처님은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때문에 세상에 출현한다라고 것에서 유래.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한 목적은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보이고, 지혜를 발휘하여 모든 중생을 깨닫게 하고 구제하는 이다.

*정진(精進) : [] Virya  음을 따라 비리야(毘梨耶毘離耶) • 미리야(尾利也)라고도 쓴다。보살이 수행하는 바라밀(六波羅蜜) 하나。순일하고 물들지 않는(純一無染) 마음으로 부지런히 닦아 줄기차게 나아가는 것이다。그러나 닦는 생각[] 닦는 [] 있어서는 된다。함이 없이 하는 것이 정진이다.

*혼침(昏沈 어두울 /잠길 ) ; ①정신이 미혹(迷惑)하고 흐리멍덩함. ②좌선할 정신이 맑지 못하여 잠에 빠지거나 무기공(無記空) 떨어진 상태.

*방선(放禪) ; 좌선을 하거나 불경을 읽는 시간이 되어 공부하던 것을 쉬는 . 몸을 쉬는 가운데서도 마음은 항상 본참화두를 들고 있어야 한다.

*발심(發心) ; ①위없는 불도(佛道=菩提=眞理)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菩提心] 일으킴[]. ②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 초발의(初發意), 신발의(新發意), 신발심(新發心), 초심(初心), 발의(發意) 등이라고도 한다. 갖추어서 발기보리심(發起菩提心), 발보리심(發菩提心)이라고 한다.

*저작(咀嚼 씹을 /씹을 ) ;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음.

*성성(惺惺) ; ①정신이 맑고 뚜렷함. 정신을 차림. 총명함. ②화두에 대한 의심이 또렷또렷한 .

* ; [주로용을 쓰다 구성으로 쓰여]무리하게 어떤 일을 해내려고 마음을 몰아 애써서 한꺼번에 내는 .

*구참(久參 오랠 /참구할·참여할 ) ; 오랫동안에 걸쳐서 수행한 . 오랫동안 () 닦은 . 또는 그런 사람. 불법(佛法) 귀의한지 오래 되는 . 초학(初學) 상대어.

*초학자(初學者) ; ①처음 배우기 시작한 사람. ②배워 익힌 지식이 얕은 사람.

*노바심절(老婆心切) ; 노파(老婆) 자식·손자를 애지중지 하듯이, 스승이 수행자에게 나타내는 자비심으로 지극히 친절(親切)하다는 .

*해태(懈怠 게으를 /게으를 ) : 게으름(행동이 느리고 움직이거나 일하기를 싫어하는 태도나 버릇).

*공양(供養) ; 절에서 음식을 먹는 .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잡드리 ; ‘잡도리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대책.

*소지(掃地 / ) ; ①마당() . 또는 일을 맡은 사람. ②청소.

*참섭(參涉 참여할·간여할 /건널·관계할 ) ; 남의 일에 참견하여 아는 체함.

*요절을 내다 ; ‘어떤 뜻한 일을 끝마치다 강한 표현.

*오조 홍인대사[용화선원 법문듣기]에서 ‘역대 스님 약력참고.

*신심(信心) : 내가 바로 부처다따라서 부처는 밖에서 구하는 것이 아니요, 일체처 일체시에 언제나 몸뚱이 끌고 다니는 주인공, 소소영령한 바로 이놈에 즉해서 화두를 거각함으로써 거기에서 자성불(自性佛) 철견을 해야 한다는 믿음. 올바르게 열심히 참선을 하면 나도 깨달을 있다 믿음. 진리에 대한 확신.

*분심(憤心)억울하고 원통하여 분한 마음.

과거에 모든 부처님과 도인들은 진즉 확철대오를 해서 중생 제도를 하고 계시는데, 나는 여태까지 일대사를 해결 못하고 생사윤회를 하고 있는가. 내가 이래 가지고 어찌 방일하게 지낼 있겠는가. 속에서부터 넘쳐 흐르는 대분심이 있어야. 분심이 있어야 용기가 나는 것이다.

*의심(疑心) :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 대해 없는 생각 막히는 .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고?’ ‘이뭣고?’ ‘이놈 무엇이길래 무량겁을 두고 없는 생사를 거듭하면서 오늘 지금 자리까지 왔는가? ‘대관절 이놈이 무엇이냐?’ 또는어째서 () 했는고?’ 또는조주스님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 했는고?’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 대한 의심이, 지어서 드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부터 저절로 들려지게 해야. 바른 깨달음은 없는 의단, 없는 의심에 막힌 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참화두(本參話頭) ; 본참공안(本參公案).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성심(情誠心 진심·성심·참마음 /정성·진실 /마음 ) ; 정성심(精誠心). 온갖 힘을 다하려는 진실되고 성실한 마음. 과거의 모든 부처님과 조사들은 생사 문제, 일대사(一大事) 해결했는데, 무슨 연고로 나는 아직도 생사 문제를 해결 못했나? 진실로 힘을 다하여 나의 생사 문제를 해결해야겠다는 마음.

*요연히(了然- 밝을 /그럴·명백할 ) ; 분명하고 명백하게.

*거각(擧却 /어조사 ) ; 화두를 든다. ‘화두를 든다’ ‘화두를 거각한다 말은 자신의 본참화두를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하는 것이다.

[참고] 송담스님 세등선원(No.09)—병진년 동안거 결제중 법어(76.12.26)에서.

〇화두를 먼저 이마로 의심을 하지 말고, 화두를호흡하는데 배꼽 [丹田] 숨을 들어마시면은 배가 볼록해지고 숨을 내쉬면은 배가 홀쪽해지는데, 배가 빵빵해졌다 홀쪽해졌다 허는 거기에다가 화두를 들고이뭣고~?’   ‘ 없는 생각()하는 그것이 화두를 드는 것이여.

*죽비( 대나무 /빗치개·통발 ) ; 예불이나 참선 정진할 죽비를 손바닥에 쳐서 소리를 내어 시작과 끝을 알리거나, 공양할 공양순서를 알리는데 쓰는 불교 용구.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덩어리 /홀로·오로지 /드러날 ) ; 공안화두에 대한 없는 의심(疑心) 덩어리() 홀로() 드러나다().

*타성일편(打成一片) : ‘쳐서 조각을 이룬다’. 참선할 화두를 들려고 해도 저절로 화두가 들려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일체처 일체시에 오직 화두에 대한 의심만이 독로(獨露) 순수무잡(純粹無雜) 경계.

*타파(打破) ; 화두의 생명은 의심입니다.

화두(話頭) 대한 의심(疑心) 관조(觀照) 나가는 , 없는 그리고 맥힌 의심으로 화두를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모든 번뇌와 망상과 사량심이 거기에서 끊어지는 것이고, 계속 의심을 관조해 나감으로 해서 이상 의심이 간절할 수가 없고, 이상 의심이 커질 없고, 이상 깊을 없는 간절한 의심으로 가슴속이 가득 차고, 세계가 가득 차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경지에 이르면 화두를 의식적으로 들지 않어도 저절로 들려져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밥을 먹을 때도 화두가 들려져 있고, 똥을 때에도 화두가 들려져 있고, 차를 때도 화두가 들려져 있고, 이렇게 해서 들려고 해도 저절로 들려진 단계. 심지어는 잠을 때에는 꿈속에서도 화두가 들려져 있게끔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로 6, 7일이 지나면 어떠한 찰나(刹那) 확철대오(廓徹大悟) 하게 되는 것입니다. 항아리에다가 물을 가뜩 담아놓고 항아리를 돌로 내려치면은 항아리가 바싹 깨지면서 물이 터져 나오듯이, 그렇게 화두를 타파(打破)하고, ‘참나 깨닫게 되고, 불교의 진리를 깨닫게 되고, 우주의 진리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참선법 A’ 에서]

*본각(本覺) ; 본래 갖추어져 있는 깨달음. 부처님의 본래의 깨달음.

*본성(本性) ; 상주불변한 절대의 진실성. 본래의 모습. 본체. 불성(佛性)

*간화선(看話禪) ; () 화두(話頭) 준말이다. 간화(看話)화두에 대한 없는 의심을 본다[]’ 말로써, 선지식으로부터 화두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막힌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 나가 화두를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화두를 ()해서, 화두를 통해서 확철대오하는 간화선을 전강 조실스님과 송담스님께서는최상승법(最上乘)’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고 말씀하신다.

*산승(山僧) ; 스님이 자신을 겸손하게 일컫는 .



------------------(2/2)


*삼직(三職) ; 주지(住持) 돕는 직책. 총무, 교무, 재무를 말함.

*최상승법(最上乘法)=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간화선(看話禪) ; 더할 나위 없는 가장 뛰어난 가르침.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꿰뚫어 보아[] 깨달아 부처가 [成佛].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 깨달음.

*외호(外護) ; 불법(佛法) 세상에 널리 퍼뜨리는데 힘이 되도록 수행하는 사람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 보호하는 것을 내호(內護)라고 한다. 내호와 외호를 합하여 이호(二護)라고 한다.

*선신(善神) ; 불법(佛法) 그것을 믿는 이들을 보호하는 .

*도량(道場) : 사찰. [] bodhimandala 도를 닦는 곳이란 말이다. 습관상도량으로 발음한다.

*호념(護念) ; 불보살이 선행을 닦는 중생을 잊지 않고 보살펴 주는 .

*입선(入禪) ; 참선 수행(좌선) 들어가는 , 좌선(坐禪) 시작하는 . 참선(좌선)수행.

*중천(中天 ·한가운데 /하늘 ) ; 하늘의 한가운데.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성주괴공(成住壞空) : 세상의 모든 것은 크나 작으나 변화의 과정을 밟게 된다。곧 성립되어 가는 과정, 안정(安定)하여 진행하는 과정, 쇠퇴하여 가는 과정, 멸망하여 없어지는 과정이 반드시 있게 된다。모든 물질도, 우리 몸도 사회도, 국가도, 세계 전체도 그렇게 된다。이것을 성주괴공(成住壞空)이니, 생주이멸(生住異滅)이니, 생로병사(生老病死) 하는데, 원인은 우리의 마음 속에 생각이 없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기 때문이다.

*무상(無常) ; 모든 현상은 계속하여 나고 없어지고 변하여 그대로인 것이 없음. 온갖 것들이 변해가며 조금도 머물러 있지 않는 . 변해감. 덧없음. 영원성이 없는 .

세상의 모든 사물이나 현상들이 무수한 원인() 조건() 상호 관계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자체 독립적인 것은 하나도 없고, 인연(因緣) 다하면 소멸되어 항상함[] 없다[].

*생사윤회(生死輪廻 /죽을 /바퀴 /빙빙돌 ) : 사람이 어리석음[無明]으로 인한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육도(三界, 六途)에서 났다가[] 죽고[] 났다가 죽는 것이 바퀴[] 돌듯이[] 반복함.

[참고] 송담스님(No.389)—89(기사년) 부처님오신날 법어(89.05.12)에서.

중생의 번뇌심(煩惱心) ‘ 생각일어날 새로 태어난 것이고, 번뇌가 꺼질 죽는 , ‘우리의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것이 바로 (), () 것입니다.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그것이 원인이 되어서 생사윤회를 하는 것이어서, ‘ 몸뚱이 살아있으면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하는 자체가 바로 생사심(生死心)이요, 생사심이 바로 생사윤회(生死輪廻) 것입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천 만의 생각이 일어났다 없어지고, 생각이 일어났다 없어집니다.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 모르는 사람은 죽었다 깨어날 때마다 () 더하고, 점점 고통이 심한 윤회를 거듭할 것입니다마는, 활구참선법을 믿는 사람은 생각이 일어날 이뭣고?’ 자신의 본참화두(本參話頭) 드는 것입니다.

이뭣고?’ 한마디 본참화두를 거각(擧却) , 우리의 마음속에 탐진치(貪瞋痴) 삼독(三毒) 물리치고, 업장소멸이 되고, 진리를 향해서 나아가게 됩니다.

*삼계(三界) ; 불교의 세계관으로 중생이 왕래하고 거주하는 가지 미혹한 세계.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 중생의 마음과 생존 상태를 단계로 나눈 .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이른다.

*육도(六途, 六道) ; 중생이 선악(善惡) ( : 의지에 기초한 행위) 의하여 생사 윤회하는 여섯 가지의 세계. 지옥도(地獄道),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 아수라도(阿修羅道), 인간도(人間道), 천상도(天上道) 있다.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 )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 진리에 이르는 .

*조사(祖師) : 11파의 선덕(先德)으로서 후세 사람들의 귀의 존경을 받는 스님。 보통은 11파를 세운 스님을 부르는 말。 ②선가에서는 달마스님을 말한다。 ③불심종(佛心宗) 깨달아서 이를 전하는 () () 상응(相應)하는 도인.

*선지식(善知識) ; ①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좋은 지도자. 훌륭한 지도자. 바르게 이끄는 사람. ②좋은 . 마음의 . 선우(善友).

*참구(參究 헤아릴 /궁구할 ) ; ①다못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 ②선지식의 지도 아래 참선하여 화두(공안)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이뭣고(是甚 시심마) : ‘이뭣고? 화두 천칠백 화두 중에 가장 근원적인 화두라고 있다. 육근(六根) • 육식(六識) 통해 일어나는 모든 생각에 즉해서이뭣고?’하고 생각 일어나는 당처(當處 어떤 일이 일어난 자리) 찾는 것이다.

표준말로 하면은이것이 무엇인고?’ 말을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은이뭣고?(이뭐꼬)’.

이것이 무엇인고?’ 일곱 ()지만, 경상도 사투리로 하면, , ()이다. ‘이뭣고?(이뭐꼬)' '사투리'지만 말이 간단하고 그러면서 뜻은 속에 들어있기 때문에, 참선(參禪) 하는 데에 있어서 경상도 사투리를 이용을 왔다.

*판치생모(板齒生毛) ; 화두(공안) 하나.

어떤 스님이 조주 스님께 묻되, “어떤 것이조사서래의입니까?  (如何是祖師西來意)”하니 답하시되, “판치생모(板齒生毛)니라.” 하셨다. , 「어떤 것이 달마조사가 서쪽에서 뜻입니까?,「판치에 털이 났느니라.」라고 하는 화두.

그러면 조주 스님은 어째서판치생모 했을까?   화두도무자화두와 같이판치생모 뜻이 있는 것이 아니고판치생모라고 말씀하신 조주 스님께 뜻이 있는 것이니, 학자들은 조주 스님의 뜻을 참구해야 한다. “어째서 했는고?” 하는 것과어째서판치생모 했는고?” 하는 것은 조금도 다름이 없는 것이다. [언하대오(言下大悟)에서] (용화선원) p53.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 ; 화두의 하나. 조주선사(趙州禪師, 778-897)에게 스님이 와서 묻기를, “어떤 것이 조사가 서쪽에서 뜻입니까? (如何是祖師西來意)”라고 했을 , 조주선사가 대답하기를, “ 앞에 있는 잣나무니라라고 데서 유래한 화두이다.

*무자(無字) : 화두. 어느 스님이 조주(趙州) 스님께 묻되 「개도 불성(佛性) 있읍니까 없읍니까?」하니, 조주스님이 답하되 「무()」라 하시니 「준동함령(蠢動含靈) 불성이 있는데 어째서 ()라고 했는고?」하는 참선할 참구(叅究)하는 칠백 공안 중의 하나.

[참고]  [언하대오(言下大悟)에서] (용화선원) p52~53.

무자화두하는 학자들이여, 조주 스님의라고 하신 의지가 있는 것이 아니다.  기실(其實) 엉뚱한 곳에 있는 것이니 제발 조주 스님의 뜻을 찾으려고 애쓸지언정  ‘무자(無字)’ 떨어져서 광음을 헛되이 보내지 않기를 재삼 부탁하노라.

무자화두 지어감에 좋은 비유 설화가 있으니 옛날 중국 당나라에 천하일색인 양귀비가 있었는데 현종의 애첩으로 궁성에 살고 있었다. 양귀비와 정부 안록산은 서로가 보고 싶어 견딜 지경이었다.


빈호소옥무타사(頻呼小玉無他事)  지요단랑인득성(只要檀郞認得聲)이로다

자주 소옥이를 부르는 것은 다른 일이 아니라 다못 낭군에게 소리를 알리고자 함이로다.


양귀비는 자기의 종인 소옥을 아무 없이 소리로 번이고 되풀이해서 자꾸 부른다.   양귀비는 소옥을 그렇게 부를까?  다만 낭군에게 자기의 음성을 들리게 하기 위함이다. 양귀비의 뜻이 소옥에게 있는 것이 아니고, 소옥을 통해서 자기의 음성을 안록산에게 알리는데 뜻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무자화두는무자 뜻이 있는 것이 아니고, “라고 말씀하신 조주 스님에게 뜻이 있는 것이니, ‘라는 말을 천착(穿鑿)하지 말고 말씀하신 조주 스님의 의지를 참구할지니라.

*의심관(疑心觀) ; 화두를 거각하여 없는 의심이 현전(現前)하면, 없는 의심을 성성하게 관조(觀照) 하는 .


[참고] 송담스님(세등선원 No.68)—정묘년 동안거 해제 법어(1988.01.17)(5분 59초)


처음에 공부를 모르는 사람은 힘을 써야 화두가 들리니까 힘을 써서 하기도 하고, 자꾸 숨을 들어마셨다 내쉴 때마다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 한번 하고 한참 있으면 화두가 없어져 버리니까, 부득이 숨을 내쉴 때마다어째서 판치생모라 했는고?’하고 자주자주 들을 밖에는 없지만,

, , 이렇게 가다 보면 그렇게 자주 들지 해도 화두가 들리게 된다 그말이여.


들려 있걸랑 화두를 다시 거기다 덮치기로 자꾸 들어 필요는 없는 것이여.

화두가 희미해져 버리거나, 화두가 없어지고 생각이 들어오거나 하면 그때 한번씩 떠억 챙기면 되는 것이지, 화두가 이미 들어져서 없는 의심이 있는데, 거기다 대고 자꾸 화두를 용을 쓰면서 자꾸 들어 싸면 그것은 아주 서투른 공부다 그말이여.


그렇게 순일하게, 화두를 들려고 해도 화두가 터억 들려서 의단(疑團) 독로(獨露)하걸랑, 독로한 의단을 성성(惺惺) 가운데 묵묵히 그것을 관조(觀照) 하는 거여. 없는 의심의 ()이여. 의심관(疑心觀).

거기에는 고요하다는 생각도 붙을 수가 없고, 편안하다는 생각도 붙을 수가 없고, 맑고 깨끗하다는 생각도 어떻게 거기다가 그런 생각을 붙일 수가 있냐 그말이여. 고요하고 맑고 깨끗하고 편안한 그런 생각에는 조금도 그런 생각을 두어서도 안되고, 그런 생각을 즐겨서도 안되고, 그런 생각을 집착해서도 안돼.


다맛 우리가 일은 없는 의단(疑團)만을 잡드리 나가는 거여. 너무 긴하게 잡드리를 해서도 안되고, 너무 늘어지게 해서도 안되고, () () 긴완(緊緩) 득기중(得其中) 해야 . 그것이 묘한 ()이라 말할 수가 있는 거여.


()이라 하는 것도 일종에 생각이지만, 생각없는 생각을 ()이라 하는 거여.

우리가 참으로 올바르게 화두를 들을 모르는 사람은 부득이 해서 생각을 일으켜 가지고 화두를 참구를 하는데, 일구월심 정진을 해서 참으로 바르게 화두를 참구할 아는 사람은 바로 ()으로 들어가는 거여. 관이란 생각없는 생각으로 생각하는 것을 관이라 그러는 거여.

조금도 늘어지지도 않고, 조금도 긴하지도 아니한() 의심(疑心) ()’으로 나가야 되는 거여.


1분의 백천 분의 1 같은 그런 짧은 시간도 생각을 일으켜서 일어나는 잡념을 물리칠라 것도 없고, 그렇게 화두가 순일하게 된다 해도 아주 미세한 생각은 이렇게 일어날 수가 있어. 일어나지만 그것을 일어나는 생각을 물리칠라고 생각을 내서는 아니되는 거여. 생각이 일어나더라도 일어난 채로 그냥 놔둬 버리고, 자기 화두만을 관해 나가면 생각은 자취없이 스쳐서 지내가 버리는 거여.


마치 앞으로 춥도 덥지도 않는 봄철이 돌아오겠지마는, 봄철에 도량이나 동산에 나가서 산책을 하면서 포행을 하면서 정진을 때에 춥지도 덥지도 않는 봄바람이 귓전에 스쳐간다고 해서 봄바람 때문에 화두가 도망갈 필요는 없거든.

그냥 귓전을 스쳐서 지내가고 옷자락이 팔랑거리거나 말거나 내버려둬 버리고, 나는 성성적적(惺惺寂寂)허게 의심의 () 단속해 나가는 것처럼, 일어나는 크고 작은 모든 번뇌가 일어난다 하드라도 그냥 놔둬 버려.


끝없이 일어났다가 없어지고 일어났다 꺼져 버리고, 내가 거기에 따라주지만 아니하고, 집착하지만 아니하고, 물리칠라고 하지도 말고, 그러면은 그냥 결에 일어났다가 제물에 그냥 스쳐가 버리는 거여.

그까짓 것은 내가 공부해 나가는 조금도 방해로울 것이 없는 것이여.

우리 활구참선을 하는 수행자는 승속(僧俗) 막론하고 화두를 올바르게 잡두리 나갈 줄만 알면,

어디를 가거나 선불장(選佛場)이요, 그게 바로 선방(禪房)이요, 공부처(工夫處) 그말이여.


[참고] 송담스님(No.256)—85 2 첫째 일요법회(85.02.03)(5분 57초)


금년 여름에 보살선방에 백여섯 분이 방부를 들여서 항시 칠팔십 명이 그렇게 엄격한 규율 속에서 정진들을 모다 애쓰고 계시는데 자세를 바르게 하고, 호흡을 바르게 하고, 나아가서 번째 가서는 화두(話頭) 어떻게 의심(疑心) 하느냐?

화두를 의심하는 방법, 이것이 또한 간단하지만 이것이 어려운 것입니다. , , , 3, 5, 10년을 해도 화두를 참으로 올바르게 화두를 참구(參究)하고, 관조한다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이것은 말로이렇게 하는 것이 좋다말하기가 어렵습니다.


법문을 듣고 고대로 하고, 고대로 하면서 법문을 듣고 해서 스스로 많은 노력, 스스로 그것을 공부해 나가는 요령급하지도 않고 너무 늘어지지도 아니하며, 요령을 스스로 터득을 해야 합니다.

스스로 터득한다니까 선지식(善知識) 필요 없고, 자기 혼자 어디 돌굴이나 토굴에 가서 해제끼면 되냐 하면 그게 아니에요. 반드시 선지식의 지도를 받되, 받아 가지고 하면서도 스스로 묘한 의관(疑觀) 얻어야 하는 것입니다.


묘한 의심관이라 하는 것은 도저히 어떻게 말로써 설명해 가르켜 수가 없습니다. 자기가 일구월심(日久月深) 항시 면면밀밀(綿綿密密)하게 의심해 가고 관해 가고, 자세와 호흡과 화두를 삼위가 일체가 되도록 조정을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필경에는 묘한 의심관인 것입니다. 의심관, ()이라 하는 것도 일종의 생각이지만생각 없는 생각 관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는데, 막연하게 어떤 관이 아니라 활구참선(活句參禪)의심(疑心) 이라야 .


옛날에는 해가 떨어지려고 , 서산에 지려고 , 수평선에 해가 지려고 때에, 맷방석만한 해가 땅에 질락 말락 빨갛고 아름다운 해가 중천에 있을 때는 눈이 부셔서 수가 없는데, 해가 무렵에는 눈이 부시질 않고 아름답고 벌건 굉장히 해를 수가 있습니다.


아름다운 해를 한참 보는 것입니다. 마지막 떨어져서 보일 때까지 시간 내지 시간을 눈이 부시지 아니할 때부터서 그것을 관하기 시작해 가지고 마지막 때까지 관찰하고서, 다음에는 밤새 눈을 감으나 뜨나 찬란하고 아름다운 둥그런 해를 ()하는 것입니다.

눈을 감고서도 보이는 것이 그것이 () 것입니다. 눈을 뜨나 감으나 상관없이 항시 있는 것이 그것이 관인데, 그것을 갖다가 일관(日觀)이라 그러거든. 해를 관하는 수행법이여.


밤새 둥근 해를 갖다가 관하고, 이튿날 하루 종일 관하다가 다시 관을 해서, 관을 다시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밤새 관하고, 이튿날 관하고 관하고 해서 평생 동안을 그렇게 관을 나가는데, 이것도 하나의 수행 방법입니다.

이러한 일관이라든지 달을 관하는 관법이라든지, 아까 백골관이라든지, 여러 가지 관법(觀法) 있는데, 참선도 하나의의심의 관법이라 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하면서도, 일부러 화두를 들려고 하지 아니해도 저절로 의심관이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의단(疑團) 독로(獨露)하도록,

처음에는이뭣고?’ ‘이뭣고?’하지만 나중에는이뭣고?’ 해도 없는 의심이해가 봐두었던 둥근 해가 밤에도 고대로 보이고, 이튿날에도 고대로 환하게 보이듯이, 의심관이 그렇게 되어야 하거든.


그렇게 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 되면 일주일을 가지 못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하게 되고, 일체 천칠백 공안을 일관도천(一串都穿) .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 역대조사(歷代祖師) 면목을 사무쳐 보게 되는 것입니다.

*원력(願力) : ()하는 바를 이루려는 의지. 본원력(本願力)•숙원력(宿願力)•대원업력(大願業力)•서원(誓願)•행원(行願)이라고도 한다.

*토굴(土窟) ; 사전적인 원래의 뜻은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고 흙을 덮어 추위나 비바람만 가릴 정도로 임시로 지은 이나, 근래에 절에서 쓰이는 의미는 대중이 함께 거주하는사찰()’ 대비되는 의미로, 어떤 형태와는 관계없이 스님의개인의 수행 거처 말함.

*(게송) 운주천부동~’ ; 『편양당집(鞭羊堂集) (1) ‘차동림운(次東林韻)’ 참고.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세계. 현실의 세계. 인토(忍土) · 감인토(堪忍土) · 인계(忍界)라고 한역.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중생들을 교화하는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모두 사바세계이다.



[주요 내용]


(게송)월원불유망~ / 정진은 생각을 어떻게 잡드리 하냐?’ 가장 중요 / 최상승론 / 거짓 바보 노릇 / 참선은 생사속에서 영원을 살아가는 / 맥혀서 없는 의심을 () 나가야 / (게송)운주천부동~.



[주요 문구]


어떻게든지 해서라도 알뜰하게 착실히 정진을 할라고 마음을 먹은 것은 발심(發心) 사람이면 그런 마음을 일으킬 수가 있습니다마는육체를 고통을 줌으로해서 정진에 유익하게 하리라이러한 생각은 지혜롭지 못한 생각이라고 생각됩니다.


과거에 어느 분이 그렇다고 해서자기도 그와 똑같이 해서 단시일(短時日) 내에 요절을 내리라이러한 생각은 어리석은 생각이라고 됩니다.

날짜야 시간이야 달이 걸리건, 년이 걸리건 그것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아니하고, 당장 또는 오늘 또는 당장 시간, 생각을 어떻게 잡드리 하느냐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정말 진실한 정성이 마음으로부터서 일어나면 저절로 신심과 분심이 한목 일어나서 화두를 들라고 하지 해도 저절로 터억 화두가 드러난다.


어떻게 하면 생사 속에서, 성주괴공 속에서, 생주이멸 속에서 영원을 살아가려는 길이 무엇이냐? 영원함을 깨닫는 방법이 무엇이냐? 이것이 바로 부처님의 법문(法門)이요, 조사(祖師) 법문이요. 바로 화두라고 하는 것이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인 것입니다.


없는 의심! 맥혀서 없는 의심을 () 나가야지 알아 들어가는 것이 있거나, 보여지는 것이 있거나, 사량분별로 가는 것은 백만겁을 해도 그것은 바른 깨달음에 도달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참선이라 하는 것이 결코 수월하고 그런 것이 아닙니다. 정말 생명을 바칠만한 그러한 신심(信心) 분심(憤心) 의단(疑團)으로 가야, 삼요(三要) 갖추어 나가야지 하나만 빠져도 그것이 이루어질 수가 없는 것입니다.


사바세계(娑婆世界) 속에서도 정법을 믿는 여러 도반들을 생사 무상 속에서 화두를 들고 착실히 하루 하루를 지내간다면 거기에는 언제나 부처님이 출현을 하신 것이고, 거기에는 항상 조사 스님이 우리를 위해서 눈에 보이는 채찍질을 주시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로병사 속에서 생사가 없는 영원을 살아가는 길이 우리 앞에는 열리게 되는 것입니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