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600/(576~600)2021. 1. 25. 15:22

 

 

((No.587-2))—1997년 동안거 해제 법어(97.02.22) (39분)

 

587-1(1997년 동안거해제:약21분).mp3
다운로드
587-2(1997년 동안거해제:약18분).mp3
다운로드

 

(1) 약 21분. (2) 약 18분.

(1)------------------

 

산월투창백(山月投窓白)이요  계성입호명(溪聲入戶鳴)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욕식구년묵(欲識九年默)인댄  수향차중명(須向此中明)이니라

나무~아미타불~

 

산월(山月)이 투창백(投窓白)인데,  계성(溪聲)이 입호명(入戶鳴)이로구나.

산 달이 창에 비추어 흰데, 시냇물 소리가 방안으로 들어와 울리는구나.

 

욕지구년묵(欲知九年默)인댄, 달마대사(達摩大師)가 9년 동안 소림굴(少林窟)에서 묵묵히 앉아 계신 그 뜻을 알고자 할진대는, 수향차중명(須向此中明)이라. 모름지기 이 가운데를 향해서 밝힐지니라.

 

이 가운데가 무엇이냐?

산월(山月)이 투창백(投窓白)이요, 계성(溪聲)이 입호명(入戶鳴)하는 바로 그 가운데를 향해서 달마대사 9년 묵무언(默無言) 하신 뜻을 밝힐지니라. 서산대사(西山大師)의 게송입니다.

 

 

오늘은 정축년(丁丑年) 정월 대보름날인데, 병자년(丙子年) 삼동안거(三冬安居) 해제일(解制日)이고 또 백일기도 회향 법회날입니다. 병자년 해제일을 맞이해서 대중은 조실(祖室) 스님, 전강선사(田岡禪師)의 법문(法門)을 녹음을 통해서 경청(敬聽)을 했습니다. 해제 법문은 조실 스님의 법문을 통해서 충분히 들었습니다.

산승(山僧)이 올라와서 해제 법문을 하러 올라온 것이 아니라 여기에는 여러 선원에 도반들, 선배 후배들, 여러 스님네 선객(禪客)들이 참석을 하셨고, 또 용화사 대중과 시민선원 · 보살선방 대중을 비롯해서 여러 신남신녀(信男信女) · 형제자매들도 참석을 하셨습니다. 원장으로서 몇 마디 조도(助道)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해제(解制)라 하는 것은, 원래 인도(印度)에서는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기 때문에 우기(雨期)가 아닌 때에는 나무 밑에나 돌 위나, 모다 인연 따라서 모다 흩어져서 각자 걸식(乞食)을 하면서 정진(精進)을 하다가, 비가 오는 장마철이 되면은 한데에서 기거(起居)를 할 수가 없으니까, 기원정사(祇園精舍)라든지 죽림정사(竹林精舍)라든지 또는 모다 그런 여러 군데 정사(精舍)에서 비를 피하느라고 결제(結制)를 했고,

중국에 와서는 기후가 겨울철에는 추우니까 어쩔 수 없이 그 설한(雪寒)을 피하기 위해서 겨울철 결제도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역시 마찬가지로 여름 석 달 · 겨울 석 달을 하안거(夏安居) · 동안거(冬安居)를 이렇게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해제(解制)날에는 자자일(自恣日)이라 해서, '스스로 자(自)' 자, '방자할 자(恣)' 자, 방자(放恣)하단 말은 '뜻대로' '마음껏' 그런 뜻인데, 스스로 무엇을 마음껏 하느냐?

석 달 동안 지내는 동안에 규칙(規則)에 위반되는 언행이 있던가, 법규(法規)에 어긋나는 행동이 있으면 그것을 자기 스스로 마음속으로 참회(懺悔)할 뿐만 아니라, 대중한테 "내가 지난 석 달 동안 지내면서 잘못된 점이 있으면 자비(慈悲)로써 기탄없이 지적을 해 주십시오" 전부 한 무릎을 땅에다 대고 한 무릎은 세우고서 합장하고서 대중한테 자청(自請)을 했던 것입니다.

 

그것이 '자자(自恣)'인데, 그것을 부처님은 안 하시고 가만히 계시고 대중만 시키시는 것이 아니고, 부처님 자신부터서 맨 먼저 이 자자(自恣)를 하셨습니다.

그러면 그 대중 가운데에 제일 부처님 다음으로 윗자리에 앉은 가섭 존자(迦葉尊者)라든지 또는 수보리 존자(須菩提尊者)나 목련 존자(目蓮尊者)와 같은 제일 웃자리에 앉은 부처님 제자가 부처님을 일으켜 드리면서 "세존(世尊)께 무슨 잘못이 있겠사옵니까?"

그렇게 해서 부처님 다음으로 또 가섭, 다음 부처님 제자가 그와 같이 대중에게 물으면 아무 대답이 없으면 지적할 것이 없으니까 다음 분으로 넘어가고, 잘못이 있으면 자비로써 잘못을 지적을 하면서 대중이 많이 모일 때는 자정(子正)이 넘도록 그러한 법요식이 매우 경건하고 엄숙하게 진행이 되었던 것입니다.

 

원시경전(原始經典)에 보면은 너무도 엄숙하고 경건해서 가슴이 벅차고 콧잔등이 시큰허도록 그렇게 엄숙하게 이 자자(自恣) 법요식(法要式)이 진행이 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아마 총림(叢林)에서는 이런 법요식이 진행이 되고 있으리라고는 생각이 됩니다마는, 왜 그런 자자 법요식을 거행을 했냐 하면은 석 달 동안 여러 대중들이 그렇게 모여서 지내니 크고 작은 문제점이 있을 수가 있었겠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자기 스스로도 반성(反省)하고, 대중이 지적을 해 주면 바로 그 자리에서 조끔도 숨김없이 감사한 마음으로 대중 앞에 자기의 잘못을 참회하고, 발로참회(發露懺悔)를 하고 새로운 결심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석 달 동안 잘못이 있었어도 그것을 덮어놓고 우물쭈물 그럭저럭 지낸 것이 아니고, 반드시 이 자자회(自恣會)를 통해서 지적할 것은 도반들이 자비심으로 지적을 해 주고, 그것을 감사한 마음으로 받아들여서 참회를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조그만한 잘못을, 큰 잘못을 그 철 해제날 깨끗이 참회를 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또 정진(精進)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결제(結制) 해제(解制)라고 하는 것이 특별한 뜻이 있어서 결제 해제를 한 것이 아니고, 기후 관계로 해서 더위와 비와 눈, 추위를 피하기 위해서 그 공부하는 과정상 그런 결제 해제를 한 것뿐이지, 우리 정진(精進)해 나가는 내용에 있어서는 결제 해제가 있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결제 동안에는 부처님을 위시(爲始)한 모든 부처님 제자들이 한군데서 모여서 지내니까 그래도 언행을 조심하고 모다 규칙에 의해서 엄숙하니 지내다가 해제를 하면 각자 인연(因緣) 따라서 흩어져 가지고 동서남북으로 흩어지고, 흩어지게 되니까 자칫 잘못하면 그럭저럭 산만하게 지낼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자자회를 통해서 참회를 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발심(發心)을 해서 공부를 하자는 뜻이지, '해제 했으니까 걸망 지고 아무데나 자유롭게 지내자' 이것이 아닙니다.

훨씬 더 결심을 다지고 분심(憤心) 발심(發心)을 해 가지고 결제 중보다도 더욱 마음을 가다듬고 정진을 하는데 이 해제(解制)의 자자(自恣) 법요식이 꼭 필요했던 것입니다.

 

서산(西山) 스님의 『선교석(禪敎釋)』, 선(禪)과 교(敎)를 비교해서 판단하는 글이 있는데, 그것이 『선교석(禪敎釋)』이라 한 글입니다.

거기에 보면, 학자소참활구(學者所參活句)는, 선학자(禪學者)가 참구(參究)하는 그 활구(活句), 화두(話頭)는 여일단화(如一團火)하야, 한 무더기 불덩어리와 같애서, 근지즉요각면문(近之則燎却面門)이라. 섣불리 잘못 가까이하다가는 얼굴을 확! 태워 버리게 된다 이거거든.

활구공안(活句公案)에는 무불법조착지처(無佛法措着之處)라. 불법(佛法) 도리(道理)도 거기에다가는 어리댈 수가 없는 것이고, 지유대의(只有大疑)하야 여열염긍천(如烈焰亘天)이라. 다못 알 수 없는 큰 의심(疑心)만이 있어서 마치 훨훨 타는 맹렬한 불덩어리가, 불꽃이 하늘을 찌를 것 같아야 할 것이다.

 

아까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도 아주 간곡히 말씀을 해 주셨지마는, 활구참선(活句參禪)은 사량분별(思量分別)과 복탁(卜度)으로 이리저리 의리(義理)로 따져서 알아 들어가는 공부가 아니여. 거두절미(去頭截尾)하고 콱 맥혀야, 알 수 없는 맥힌 의심(疑心)으로 정진을 해 나가야 하는 것이여.

알 수 없는 의심(疑心) 이외의 생각은 『화엄경』에 말씀, 『법화경』 『금강경』에 말씀이라도 그런 불교의 교리(敎理)나 도리(道理)를 가지고 이게 비교하고 분석하고 따져서 적용을 하고 그런 것이 아니여. 다못 알 수 없는 의심으로만 나가야 그 공부가 옳게 되어가는 것이다.

 

그렇게 해 가다 보면 처음에는 온갖 망상(妄想)이 일어나고 혼침(昏沈) 산란(散亂)이 일어나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에 대한 의심으로, 의심을 거각(擧却)해 나가면, 언젠가는 들지 않아도 제절로 화두가 터억 독로하게, 의심(疑心)이 독로(獨露)하게 된다 이거거든.

순일무잡(純一無雜)해서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어서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에도 일여(一如)하게 되고, 몽중(夢中)에서도 그 순일무잡한 의단(疑團)이 계속이 되면은 머지않아서 어떠한 찰나에 의단을 타파(打破)하게 된다 그 말이여. 홀약타파칠통(忽若打破漆桶)하게 된다 그말이여. 알 수 없는 의심, 콱! 맥혀서 알 수 없지마는 그 의심으로 나가다 보면 어떠한 찰나간에 통 밑구녘 빠지듯이 탁! 의심을 타파하게 된다 이거거든.

 

사량분별로는 절대로 그런 경계가 오는 것이 아니고,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나갈 때 터져. 풍선을 불 때 머리카락 바늘구녕만 있어도 아무리 불어도 그 풍선은 빵빵해지지도 않고, 빵빵해지지 않기 때문에 팡! 하고 터지는 수가 없어. 꽉 맥힌 풍선이라야 불고 불고 더 불어서 더이상 커질 수 없을 때 그 풍선이 터진 것과 비슷하다 그 말이여.

이로(理路)가, 이치 길이 있고 말 길이 있고 더듬어 들어갈 것이 있는 그러한 참선은 의리선(義理禪)이요 사구선(死句禪)이라 영원히 깨달을 분(分)이 없는 것입니다. 알 수 없는 의심(疑心).

그래서 고인(古人)이 말씀하시기를, 「소의지하(小疑之下)에 소오(小悟)하고, 의심이 작으면 작은 깨달음을 얻고, 큰 의심하에 대의지하(大疑之下)에 대오(大悟)라, 큰 의심 밑에 크게 깨달음이 있다 하시고, 무의지하(無疑之下)에 무오(無悟)라, 의심이 없는 공부는 깨달음이 없다」고 하신 것이여.

 

타파칠통(打破漆桶)을, 홀연히 타파칠통을 하면은 기네 아니네 붙일 수가 없어. 백천법문(百千法門)과 무량묘의(無量妙義)를 불구이원득(不求而圓得)이니라. 백천법문(百千法門)과 한량없는 묘(妙)한 진리를 구하지 않아도 원만(圓滿)하게 깨닫게 된다. 『선교석』에 그러한 법문이 있고.

 

오조(五祖) 홍인대사(弘忍大師)의 『최상승론(最上乘論)』이라고 하는 법문에 보면은 '수행하는 사람은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수행을 해 나가야 하느냐?' 아주 구체적으로 말씀을 해 놓으셨습니다.

단능착파의(但能着破衣)하고, 다맛 능히 헤어진 옷을 입고, 누데기 옷이죠. 누데기 옷이라 하니까 헌옷도 찢어서 헝겊을 대 가지고 조작으로 누데기 옷을 만들어라 그러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새 옷을 입지 말라'고 하시고, 새 옷을 누가 해 오면 거기다가 괴색(壞色) 물을 들여 가지고 쪼가리, 헌 쪼가리를 어느 옷 끝에다가 그것을 기우라 하셨습니다. 그것은 헌옷이라고 하는 표식(表式)이죠.

무명옷이면 무명옷, 기지옷이면 기지옷, 새 옷이면 새 옷, 인연 따라서 생긴 대로 입어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무슨 천이 되었건 먹물 옷을 들여서 그렇게 입고.

손추손(飱麤飱)하며, 밥은 거칠은 음식을 먹어라. 꼭 맛있고 좋은 그런 음식만을 취할 것이 아니라, 보리밥이면 보리밥, 잡곡밥이면 잡곡밥, 밥이면 밥, 죽이면 죽, 국수면 국수, 식단이 나온 대로 그냥 그것을 먹으라 그거거든. 입는 것과 먹는 것에 대한 말씀을 그렇게 하시고.

 

마음가짐은 요연수본진심(了然守本眞心)하야, 요연(了然)히는, 확실하게 근본 참마음을 지켜라 그거거든. 근본 참마음이 무엇이냐?

우리의 마음은 본래청정(本來淸淨)한 것이고, 더 보태고 뺄 것이 없는 진여불성(眞如佛性)이 내게 있다고 하는 것을 확실히 믿어야 하는 거여.

그 '근본 마음을 확실히 지킨다'고 하는 것은 참선 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요건이 되는 것입니다. 그 마음이 있기 때문에 이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믿게 되고, 선지식(善知識)을 찾게 되고, 선지식의 말 한마디로 그것을, 그 화두(話頭)를 가지고 생사해탈(生死解脫)할 때까지 그걸 밀고 나가는 것이여.(처음~20분45초)

 

 

 

 

(2)------------------

 

양치불해어(佯癡不解語)하면, '거짓 양(佯)' 자, '어리석을 치(癡)' 자.

속은 환-하지. 뭐 바보가 아니고 멀쩡하니까 환하겠지만, 거짓 어리석은 척하라 말이여. 바보 노릇을 하라 그거거든. 말귀도 못 알아들은 것처럼 바보가 되라 그 말이여.

 

어디 가서, 참선 선방(禪房)에 가서 똑똑한 체하고, 잘난 체하고, 유식한 체하고, 수완이 있는 것처럼 뽐내고 그러란 것이 아니고, 방부(房付)를 들이고 정진을 들이면 아무것도 모르고 그저 목탁 치면 가서 아무 말없이 공양하고, 목탁 치면 가서 소지(掃地)하고 운력하고, 속이 있는지 없는지, 바보인지 천치인지, 무식한지 유식한지, 전혀 옆에 사람도 모르게 완전히 숙맥(菽麥)이 되라 이거거든.

그렇게 지내는 것이 최생기력이능유공(最省氣力而能有功)이라. 가장 기력(氣力)은 덜면서도 능히 공(功)이 있다. 가장 힘은 덜 들이면서도 수행을 철저하게 하고 큰 깨달음을 얻는 데는 가장 효과적이다 이거거든.

 

세속(世俗)에서는 유식한 척하고, 잘난 척하고, 똑똑한 척해야 남이 알아주고, 높은 자리에 벼슬도 하고 좋은 데에 취직도 하고 벌어묵고 살고 남이 알아줘야 하겠지만, 출가(出家)해서 도(道)를 닦는 마당에는 돈을 벌기 위해서 똑똑해야 합니까? 명예와 지위 · 부귀 · 권리를 얻기 위해서 똑똑해야 하는 것이냐 그말이여.

바보 천치가 되어서 열심히 정진하면 가는 곳마다 밥이 있고. 공부하다 얼어 죽은 사람 없어요. 이왕 출가해서 도(道)를 닦을 바에는 청춘도 버리고 인생도 버리고, 이 세상에 안 태어난 셈 치고 오조 홍인대사의 『최상승론』의 법문과 같이 그렇게 해야 과연 정진(精進)하는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이것입니다.

 

산승(山僧)이 처음에 출가(出家)할 때, 규정에 의해서 일주일 만에 고암(古庵) 스님과 전강 조실 스님을 모시고 계(戒)를 받고, 계를 받고 며칠 동안 '도량석(道場釋), 천수(千手)는 외어야 하고, 예불(禮佛)드리는 것은 외어야 한다'고 그래서 그것을 며칠 동안에 그것을 외우고, 목탁 치는 법도 조실 스님한테 나주(羅州) 다보사(多寶寺) 나한전(羅漢殿)에서 일주일간을 기거하면서 그걸 대충 다 배웠습니다. 그걸 배워는 놓고는 한번도 불공(佛供) 한번도 해 보지도 않고 바로 묵언(默言)을 했습니다.

 

뭐 '군대 안 갈라고 묵언(默言)했다'고 무슨 불교신문엔가 그런 말이 났는데, 그때는 병역법(兵役法)이 없었습니다. 군인에 간 사람은 국방경비대(國防警備隊)라 해 가지고 자원한 사람에 한해서 갔지 병역법이 없었어요. 훨씬 몇 해 뒤에사 병역법이 생겼는데.

나는 그때 묵언(默言)을 시작한 것은 아주 일생 동안을 바보 천치 농판이 되어 가지고 안 태어난 셈 치고 그저 조실 스님 모시고 그렇게 일생을 지낼라고 마음을 먹었었는데, 조실 스님의 명령에 의해서 한 10년 그러다가 묵언을 텄습니다마는, 지금 생각으로서는 조실 스님 명령을 안 하시고 이런 원장(院長)이라고 하는 직책도 맽기시지 안 했으면 저는 훨씬 더 좋았으리라고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말씀이 나왔습니다마는, 이 '조실(祖室)'이라 하는 것은, 불조(佛祖)와 같은 법력(法力)과 불조와 같은 도력(道力)과 불조와 같은 원력(願力)과 불조와 같은 덕행(德行)과 시절인연(時節因緣)과 지연(地緣)과 복력(福力)을 다 갖추고, 나아가서 건강(健康)까지도 갖추어야 조실(祖室)이라고 하는 직책(職責)을 가지고 부처님의 지혜(智慧) 법등(法燈)을 높이 들어서 모든 후배 도반들에게 봉사(奉仕)를 하는 직책입니다.

지금 열거한 그런 여러 가지의 힘을 갖추지 못하고, 되나캐나 조실(祖室)이라고 한다고 해서... 그것은 자기가 죽는 길이며, 대중(大衆)을 죽이는 것이며, 불법(佛法)을 망하는 일이라고 산승은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전강(田岡) 대종사(大宗師)는 우리가 존경하는 만공(滿空) 스님의 제자이신 고봉(高峰) 스님, 또 만공 스님의 제자이신 금봉(錦峰) 스님, 그러한 스님께 들은 바로는, "말세에 어떻게 그런 사람이 태어났을까? 만공 스님도 꼼짝을 못했거든. 그 혜(慧)가 빠르기를 번갯불과 같았다" 그런 큰스님이 그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금봉 스님께는 내가 직접 들었고, 고봉 스님께는 내가 직접은 듣지 못하고 그 말을 가깝게 모신 시자(侍者)를 통해서 그 말씀을 전해 들었습니다.

 

전강 조실 스님은 무슨 일을 처리한 데에는 두서(頭緖)가 없으셨고, 모도 참 '제삼자(第三者)가 어떻게 생각할 건가? 내가 이러한 행동을 하면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전혀 그런 것을 고려하시지 않고 하고 싶은 대로 하셨습니다.

그래서 조실 스님을 믿지 않는 사람은 뭐 이러쿵저러쿵, '돈 얘기를 많이 하시네 어쩌네' 녹음법문에도 돈 얘기도 많이 하신 것은 사실이나, 그 돈을 참 좋아하시고 그러시는 것 같애도, 내가 30여 년을 모신 바로는 전혀 돈을 모르셨습니다. 좋아하시기는 하면서도 전혀 그걸 모르셨고.

돈을 가지고 계시면서도 그 돈을 함부로 쓰시지도 않고 고스란히 다 예금을 해 놓고 열반(涅槃)하시면서 나에게 그것을 다 전(傳)하고 가셨습니다. 그것으로 대전에 불양답(佛糧畓)을 사놨다가 그것을 팔아서 여기 용궁장, 이 터를 사서 지금 시민선원도 하고 또 주차장도 하고 요긴하게 쓰고 있습니다마는.

 

좋아하신 것 같애도 전혀 애착심(愛着心)이 없었고, 그것을 하시기를 말년에 자꾸 그 통장을 나를 주실려 그러고, 나보고 자꾸 법상(法床)에 올라가라고 하셨지만, 저는 극구(極口) 그것을 사양을 했습니다.

 

"조실 스님, 돈은 조실 스님 쓰시고 싶은 대로 쓰십시오. 병든 수좌(首座)들에게 약값도 주시고 여비(旅費)도 주시고 마음대로 쓰시지 그걸 뭐하러 그걸 저한테 전할라고 하십니까? 제가 능력이 있으면 조실 스님이 돈을...."

"그걸 내가 나 쓸라고 내가 돈을 모인 것이 아니다. 너를 위해서 내가, 돈을 내가 모인 것이다" 그런 말씀을 하시길래.

 

"저, 제가 힘이 있으면 조실 스님이 돈을 전해 주시지 안 해도 내가 얼마든지 하는 것이지, 돈 가지고 하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그렇게 말씀을 드리니까,

"니가 참 내 뜻을 모르는구나" 하시고, 그렇게 참 섭섭하게 생각을 하셨습니다.

 

내가 주변이 없어서 신도한테 '돈 내라' 그런 얘기도 잘 못하고, 또 구변(口辯)이 없어서 설법(說法)도 잘 못하고, 또 내가 그런 아까 말한 바와 같이 그러한 여러 가지 능력, 힘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조실(祖室)을 안 하고, 조실 스님께서 열반을 하셨어도 우리가 조실 스님 법문에 의지해서 공부하면, 우리가 조실로, 살아계신 조실(祖室)로 모시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이러한 것은 여담(餘談)입니다마는, 오늘 이런 말씀을 올릴 수밖에 없어서 이 자리를 빌려서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여러분께서는, 조실 스님께서 (당신) 열반하신 뒤를 걱정을 하셔 가지고, 열반하시기 전 한 10년 이래로 마치 녹음기(錄音器)가 나와 가지고 그 녹음기를 통해서 날마다 대중을 앞에 놓고 그 기력(氣力)이 없으심에도 불구하고 녹음을 해 놓으셨습니다.

당신 「일대기(一代記)」에 대해서도 하셨고, 『초발심자경(初發心自警)』이나 『몽산법어(蒙山法語)』나 『선가구감(禪家龜鑑)』이나 또 이 닥치는 대로 후배 우리들을 위해서 많은 요긴(要緊)한 법문(法門)을 남겨 놓으셨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이 해제일을 맞이해서 조실 스님의 사자후(獅子吼)를 우리는 다같이 듣게 된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삼천년 전에 열반(涅槃)하셨지마는, 우리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을 교주(敎主)로 모시고 불교(佛敎)를 믿고 이렇게 신앙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전강 조실 스님께서 22년 전에 열반하셨지만, 조실 스님의 녹음법문(錄音法門)을 통해서 이렇게 우리는 꼭 생존 시에 하신 법문과 같이 우리는 경건하고 엄숙하게 법문(法門)을 들을 수가 있습니다.

 

조실 스님 지난 추모재 때도 간략히 언급을 했습니다마는—제방(諸方)에 다른 선원(禪院)은 나는 모르겠습니다. 어떠한 스님을 조실로 모시건 다 그 문중에서 존경할 만한 법력(法力)이 있는 스님을 조실로 모시리라고 생각이 됩니다마는,

우리 이 용화사와 전강 조실 스님을 믿는 사람들은 언제까지라도 조실 스님 이상 가는 대도인(大道人)이, 앞에 말한 그런 여러 가지 법력(法力)과 도력(道力)과 원력(願力)과 덕행(德行)과 복력(福力)을 다 갖추신 그런 대도사가 나온다면 물론 불조(佛祖)의 혜명(慧命)을 이어받아서 조실로 추대된들 무슨 허물이 있겠습니까마는, 그러지 못한 사람이 함부로 조실의 이름을 띠는 것은 자기를 위해서나 대중을 위해서나 우리 정법문중(正法門中)을 위해서 삼가해야 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우리는 과거에 참 숙세(宿世)에 깊은 인연(因緣)이 있어서 오늘 이 자리에서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들으면서 해제 법요식을 갖게 된 것을 산승은 대단히 감격스럽고 감사하게 생각하는 바입니다. 오늘 해제는 했지마는, 어느 산중(山中)에 가서 또 방부(房付)를 들인다 하더라도, 지난 한철보다도 훨씬 더 알차고 짬지게 정진(精進)을 하셔서 도업(道業)을 성취하기를 바랍니다.

 

 

금생(今生)에 약불종사어(若不從斯語)하면  후세당연한만단(後世當然恨萬端)하리라

나무~아미타불~

일파유조(一把柳條)를 수부득(收不得)하야  화풍탑재옥난간(和風搭在玉欄干)이로다

나무~아미타불~

 

금생(今生)에 약불종사어(若不從斯語)하면  후세(後世)에 당연한만단(當然恨萬端)하리라

금생에, 오늘 이렇게 전강 조실 스님 법문을 듣고 산승(山僧)이 이렇게 간곡히 말씀을 드렸는데, 그리고 서산(西山) 스님의 법문과 5조(五祖) 홍인대사(弘忍大師)의 법문을 소개를 했습니다마는, 이런 말씀을 깊이 명심(銘心)을 하고 따르지 아니하면, 후세에 한(恨)이 만단(萬端)이나 될 것이다 이것입니다.

 

일파유조(一把柳條)를 수부득(收不得)하야, 한 줌 버들가지를 거두어 얻지 못해서, 거두어 잡지 못해서, 바람과 함께 옥난간(玉欄干)에 맺어두노라.

 

백일기도에 동참하신 분은 오늘 회향(回向)을 맞이했습니다. 회향을 맞이해서 소원을 모다 성취하고 보람 있는 새해를 맞이해서 또 열심히 법문 듣고 그 법문에 의해서 알뜰하게 생활을 통해서 정진을 하시기를 부탁을 합니다.(20분47초~39분19초) (끝)

 

 

 

 

[법문 내용]

 

(게송)산월투창백~ / 결제(結制) 해제(解制), 하안거(夏安居) · 동안거(冬安居)의 기원 / 자자(自恣)는 해제 중에 훨씬 더 결심을 다지고 분심(憤心) 발심(發心)을 해 가지고 결제 중보다도 더욱 마음을 가다듬고 정진을 하자는 뜻.

 

서산(西山) 스님의 『선교석(禪敎釋)』 법문, 오조(五祖) 홍인대사(弘忍大師)의 『최상승론(最上乘論)』 법문 / 송담 스님의 10년 묵언 / '조실(祖室)'이라 하는 것은, 불조(佛祖)와 같은 법력(法力)과 불조와 같은 도력(道力)과 불조와 같은 원력(願力)과 불조와 같은 덕행(德行)과 시절인연(時節因緣)과 지연(地緣)과 복력(福力)을 다 갖추고, 나아가서 건강(健康)까지도 갖추어야 조실(祖室)이라고 하는 직책(職責)을 가지고 부처님의 지혜(智慧) 법등(法燈)을 높이 들어서 모든 후배 도반들에게 봉사(奉仕)를 하는 직책

 

만공 스님의 제자이신 고봉(高峰) 스님과 금봉(錦峰) 스님의 전강 조실 스님에 대한 말씀 "말세에 어떻게 그런 사람이 태어났을까? 만공 스님도 꼼짝을 못했거든. 그 혜(慧)가 빠르기를 번갯불과 같았다" / 전강 조실 스님께서 후배들을 위해 많은 요긴한 녹음법문을 남기셨다 / 용화사에서 조실(祖室)로 전강 스님을 모시는 이유 / (게송)금생약불종사어~, 일파유조수부득~.

 

 

결제(結制) 해제(解制)라고 하는 것이 특별한 뜻이 있어서 결제 해제를 한 것이 아니고, 기후 관계로 해서 더위와 비와 눈, 추위를 피하기 위해서 그 공부하는 과정상 그런 결제 해제를 한 것뿐이지, 우리 정진(精進)해 나가는 내용에 있어서는 결제 해제가 있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서산(西山) 스님의 『선교석(禪敎釋)』 법문, 「學者所參活句 如一團火 近之則燎却面門 無佛法措著之處 只有大疑 如烈焰亘天 忽若打破漆桶 則百千法門無量妙義 不求而圓得也」

 

오조(五祖) 홍인대사(弘忍大師)의 『최상승론(最上乘論)』 법문, 「但能著破衣 飱麤飱 了然守本眞心 佯癡不解語 最省氣力而能有功 是大精進人也」

 

고인(古人)이 말씀하시기를, 「소의지하(小疑之下)에 소오(小悟)하고, 의심이 작으면 작은 깨달음을 얻고, 큰 의심하에 대의지하(大疑之下)에 대오(大悟)라, 큰 의심 밑에 크게 깨달음이 있다 하시고, 무의지하(無疑之下)에 무오(無悟)라, 의심이 없는 공부는 깨달음이 없다」

 

이 '조실(祖室)'이라 하는 것은, 불조(佛祖)와 같은 법력(法力)과 불조와 같은 도력(道力)과 불조와 같은 원력(願力)과 불조와 같은 덕행(德行)과 시절인연(時節因緣)과 지연(地緣)과 복력(福力)을 다 갖추고, 나아가서 건강(健康)까지도 갖추어야 조실(祖室)이라고 하는 직책(職責)을 가지고 부처님의 지혜(智慧) 법등(法燈)을 높이 들어서 모든 후배 도반들에게 봉사(奉仕)를 하는 직책입니다.

지금 열거한 그런 여러 가지의 힘을 갖추지 못하고, 되나캐나 조실(祖室)이라고 한다고 해서... 그것은 자기가 죽는 길이며, 대중(大衆)을 죽이는 것이며, 불법(佛法)을 망하는 일이라고 산승은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전강(田岡) 대종사(大宗師)는 우리가 존경하는 만공(滿空) 스님의 제자이신 고봉(高峰) 스님, 또 만공 스님의 제자이신 금봉(錦峰) 스님, 그러한 스님께 들은 바로는, "말세에 어떻게 그런 사람이 태어났을까? 만공 스님도 꼼짝을 못했거든. 그 혜(慧)가 빠르기를 번갯불과 같았다" 그런 큰스님이 그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금봉 스님께는 내가 직접 들었고, 고봉 스님께는 내가 직접은 듣지 못하고 그 말을 가깝게 모신 시자(侍者)를 통해서 그 말씀을 전해 들었습니다.

 

전강 조실 스님께서 (당신) 열반하신 뒤를 걱정을 하셔 가지고, 열반하시기 전 한 10년 이래로 마치 녹음기(錄音器)가 나와 가지고 그 녹음기를 통해서 날마다 대중을 앞에 놓고 그 기력(氣力)이 없으심에도 불구하고 녹음을 해 놓으셨습니다.

당신 「일대기(一代記)」에 대해서도 하셨고, 『초발심자경(初發心自警)』이나 『몽산법어(蒙山法語)』나 『선가구감(禪家龜鑑)』이나 또 이 닥치는 대로 후배 우리들을 위해서 많은 요긴(要緊)한 법문(法門)을 남겨 놓으셨습니다

 

우리 이 용화사와 전강 조실 스님을 믿는 사람들은 언제까지라도 조실 스님 이상 가는 대도인(大道人)이, 앞에 말한 그런 여러 가지 법력(法力)과 도력(道力)과 원력(願力)과 덕행(德行)과 복력(福力)을 다 갖추신 그런 대도사가 나온다면 물론 불조(佛祖)의 혜명(慧命)을 이어받아서 조실로 추대된들 무슨 허물이 있겠습니까마는, 그러지 못한 사람이 함부로 조실의 이름을 띠는 것은 자기를 위해서나 대중을 위해서나 우리 정법문중(正法門中)을 위해서 삼가해야 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600개가 넘는 ‘(참선) 법문’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600 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