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401)—1989년 11월 첫째일요 법회(65분)
(1/4)----------------
흉중하애부하증(胸中何愛復何憎)이리요 자괴인전백불능(自愧人前百不能)이로다
나무~아미타불~
제차현성공안외(除此現成公案外)에 차무불법계전등(且無佛法繼傳燈)고
나무~아미타불~
흉중(胸中)에 하애부하증(何愛復何憎)이요. 가슴 가운데에 무엇을 사랑하고 다시 무엇을 미워할 것이 있느냐. 자괴인전백불능(自愧人前百不能)이다. 스스로 사람 앞에 백 가지 능치 못한 것을 부끄러워할 뿐이다.
제차현성공안외(除此現成公案外)에, 이 현성공안(現成公案)허는 일 밖에 이것을 제(除)해 놓고,
차무불법계전등(且無佛法繼傳燈)이다. 무슨 불법의 등(燈)을 계승해서 전해 내려가는 그럴 것이 뭐 있느냐? 오직 현성공안 할 뿐이지, 현성공안(現成公案) 하는데 전심전력을—몸과 목숨을 거기에 다 쏟을 뿐이지, 불법의 등을 전(傳)하고, 안 전(傳)하고 한 거기에 대해서 무슨 생각을 둘 것이 있느냐?
수행자는 애착을 가지고 누구를 사랑할 것도 없고 또 미워할 것도 없어. 미워하는 마음, 사랑하는 마음이 있으면 벌써 생각이 도 닦는데 철저하지 못한 증거고,
또 보조국사의 『진심직설(眞心直說)』에 보면 자기의 수행의 경지가 얼마만큼 왔는가? 정말 공부가 상당히 깊은 지경에 왔나 안 왔느냐? 그것을 스스로 점검을 해 볼라면 마음속에 미워하고 사랑하고 하는 증애심(憎愛心)이 얼마만큼 심한가, 또는 그것이 완전히 떨어졌는가? 이것을 증험(證驗)을 해보라 그러셨거든.
그러니 수행자가 오직 생사무상(生死無常)함을 요달하고 그 본참공안(本參公案)에 정진해 나가는 사람이 무슨 사랑할 것이 있으며 미워할 것이 있느냐.
다만 부끄러운 마음이 자기는 백 가지도 능(能)치 못해. 아무것도 능(能)한 것이 없는 거. 오직 내가 나를 찾는 화두(話頭)에 대한 간절(懇切)한 의심을 거각하는 이외는 아무것도 헐 줄을 모르고 누구 앞에 내세울 것이 없어야 하는 거야.
그래서 만공 스님께서도 ‘썩은 나무둥치가 되어야 도업(道業)을 성취하느니라’
무엇도 잘하고 이것도 잘하고 저것도 잘하고 능한 것이 많으면 자연히 그런 데에 끄달리게 되고, 그런 데에 끄달리게 되면은 공부하는데 많은 시간을 빼앗기게 되니까, 아무것도 능치 못한 바보 천치.
그래서 다못 사람 앞에 부끄러워한 마음, 무량겁을 내려오면서 과거의 모든 불보살과 성현들은 진즉 이 일대사(一大事)를 요달해 가지고 생사해탈을 해서 중생교화를 하시는데 나는 오늘날까지 왜 도업을 성취 못했던가? 그러한 부끄러움.
그러기 때문에 제차현성공안외(除此現成公案外)에, 이 현성공안, 현성공안(現成公案)이라 하는 것은 지금 공안이라 하면 화두를 공안이라 그러는데, 이거 문헌상에 오른 것이 지금 천칠백 공안이다, 천칠백 화두라, 이렇게 일컬어지지만 문헌에 오르지 않은 공안까지 하면은 몇만 개가 될는지 몇십 만 개가 될는지 모르고,
또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낱낱이 돌멩이나 한 포기의 풀이나 하늘에 반짝이는 저 수많은 하나하나의 그 별들, 나무의 이파리, 뭐 벌레, 눈으로 볼 수 있는 거, 귀로 들을 수 있는 거,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거, 일체 삼라만상두두물물이 낱낱이 그 나름대로 하나의 공안이여.
근데 우리 중생은 삼라만상을 볼 때에 그놈을 눈으로 보면은 그리 끄달려서 집착심을 낸다든지 번뇌 망상이 일어나고, 귀로 무슨 소리를 들으면은 그 듣는 소리로 인해서 벌써 경계에 끄달리고 망상이 일어나고,
그렇지만 정말 귀로 들을 수 있는 자동차 소리, 바람 소리, 개 짖는 소리, 새 우는 소리 하나하나가 전부 나에게 주어진 하나의 공안이여. 사량분별로 따질 수 없는 공안으로 보여야 한다 그말이여.
깨달은 분상에는 그 자체는 그것이 전부가 진여(眞如)요, 비로자나(毗盧遮那) 법신(法身)이요, 진리요, 깨달음의 경지겠지만,
깨닫지는 못했으나 정법(正法)을 믿고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하는 수행자의 입장에서는 무슨 소리를 듣던지, 무슨 색상(色相)을 보던지, 무슨 생각이 속에서 일어나던지, 일체 삼라만상 두두물물이 다 공안으로써 현성(現成)이 된다. 현성(現成)된 공안(公䅁)이다.
다못 그렇게 나갈 뿐이지. 거기에다 ‘불법(佛法)이다, 무슨 조사의 전등을 계승해야 한다’ 그러헌 생각도 이 현성공안하는 이 자리에 와서는 그것도 번뇌요 그것도 망상이여.(9분42초)
방금 조실 스님의 녹음법문을 통해서 십우송(十牛頌)—10가지의 소를 찾는 게송에 대한 그 심우송(尋牛頌)에 대한 법문을 들었습니다.
우리의 그 마음자리를 ‘소’에다가 비유해 가지고 고인(古人)들이 게송(偈頌)을 읊은 것입니다.
그런데 그 보리심(菩提心)을 발해 가지고, 발심(發心)을 해 가지고 견성(見性)해서 중생 교화하는 데까지 10단계로 노나서 게송으로 읊은 것인데 그 게송에 따라서 고인들은 또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것이 많이 여러 가지 종류의 게송도 나오고, 여러 가지 종류의 그것에 의한 그림도 나오고, 요새는 달력 캘린더에도 그런 그림이 나와서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지고 있습니다마는,
첫째, 제일의 심우(尋牛)—'찾을 심(尋)'자, '소 우(牛)'자—‘소를 찾는다. 심우(尋牛)’ 그 단계는 보리심을 발하는 위치여.
우리는 언제 생겨날 때가 없는, ‘언제 그 마음자리가 생겨났다’하고 헤아려 볼 수 없을 만큼 우주세계가 생겨나기 이전에부터서 있었던 그 '마음 소'인데,
그 '마음 소'를 부처님도 가지고 계시고, 모든 삼세제불과 역대조사도 그 '마음 소'를 다 가지고 계시고, 우리의 중생도 가지고 있고, 심지어 개·소·돼지·미물에 짐승·벌레까지라도 그 자리를 다 가지고 있다 그말이야.
근데 우리는 그것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잊어 버렸어. 가지고 있으면서도 까마득해 모르고 살고 있다 그말이여. 그러니 부처님의 법, 조사의 법문에 의지해서 잃어버렸던 그 마음 소를 찾는다 그말이여.
그 마음, 진여불성 자리를 찾는 것을 그 ‘소를 찾는다’고 해서 심우(尋牛)라 그러는데, 보리심을 발(發)해야 그때부터서 '마음 소'를 찾기 시작한 거다 그말이여.
그래 아까 조실 스님께서 첫 번째 읊으신 게송이 바로 그 '마음 소' 찾는 데에다가 두고 읊으신 게송인데, 그 게송이 중국의 그 곽암(廓庵) 선사라고 하는 도인이 읊으신 게송입니다.(13분12초)
그 다음에 가서 견적(見跡)이거든. 자취를 봐. 소를 찾아서 인자 집을 떠나 가지고 그 소를 찾으러 그 산이 험하고 물이 넓고 하는 것을 꺼리지 아니하고 그 소를 찾으러 방방곡곡이 다니는데 그 참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고통이 막심을 하다그말이여.
근데 그렇게 찾아다니다 보니 발자취를 발견을 했어. 발자취를 발견한 것을 두 번째 견적이라 그러는데,
그리고 세 번째가 견우(見牛)고—소를 보고, 또 소를 본 다음에는 득우(得牛)—소를 붙잡는 거여.
그리고 다섯 번째 가서 목우(牧牛)여. 소를 먹이는 거여. 길들여서 먹여.
그러니 처음에 소를 찾을랴고 하는 그 보리심을 발한 것도 대단히 어려운 것입니다. 지금 세계 50억 인구가 있다 하지마는 정말 그 '마음 소' 찾으려는 마음을 낸 사람이 과연 몇 사람이나 되겠습니까?
다행히 우리는 천육백 년 전에 불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가지고 고구려·백제·신라를 거쳐서 또 고려, 해서 오늘날까지 이렇게 천육백 년의 역사가 있기 때문에,
한국으로 태어난 사람은 이 불교에 인연이 있어서 우리는 이렇게 여기에까지 왔으나 그러한 국가적으로 역사적으로 그런 불교와 인연이 없는 나라 사람들은 꿈에도 생각지도 못할 일인 것입니다.
그렇게 소를 열심히 찾다 보면은 그 자취를 발견하게 되고 그 자취를 따라서 나아가다 보면은 결국은 소가 거기에 있기 마련인 것입니다. 그 소를 본 다음에는 그놈을 붙잡을라고 하면 도망치거든.
그놈을 잘 어떻게 해서 지혜와 인내와 방편으로써, 그놈을 잘해서 접근을 해 가지고 그놈을 재치있게 붙들어야지, 소를 저 먼 밑으로 소 봤다고 해서 막 지혜없이 쫓아가서 어거지로 잡을라고 하면 그 소가 도망가 버리고 말 것이다 그말이여.
참선도 역시 그 바른 선각자의 바른 지도하에 여법하게 정진을 해야 되지, 자기 멋대로 아무렇게나 우격다짐으로 막 몰아붙인다고 해서 이것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 소를 본 다음에는 그것을 잘 붙들고, 붙든 다음에도 그놈을 참 지혜롭게 요령있게 소를 잘 먹여야지, 붙들어만 놨다고 해서 그걸 아무렇게나 놔두면 다시 또 도망쳐 버릴 것이고.
무엇을 먹는가? 어떻게 이 소를 잘 다스려 나가는가? 그것을 참 정성을 다해서 잘 소를 먹이고 거두어 나가야 그 소가 토실토실 살이 찌고 번질번질하니 기름져서, 그 소가 농사도 짓고 병도 안 나고 그 소를 인자 맘대로 참 잘 길러 가지고,
여섯 번째 가서 그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집으로 돌아와서 외양간에다 딱 묶어 놓고 잘 먹이는데, 얼마동안 잘 먹이다 보면,
일곱 번째 가서 망우존인(忘牛存人)이거든. 소를 잊어버리고 사람만 있어. 인자 잘 먹여서 외양간에다 해 놓으니까 소가 길이 들어서 도망가질 않으니까, 소에 대한 인자 관심을 놔 버리고 딱 주인만 있는 거지.
'소에 대한 생각'은 인자 아주 길이 잘 들여있고, 편안하게 외양간에 길들여져서 있으니까, 이것도 다 공부해 나가는 절차를 거기에다 그렇게 비교를 하는 것입니다.
쉬웁게 말하자면은 이 길을 들이는 과정에서는, 화두를 열심히 열심히 애를 써서 열심히 들다 보면은 화두를 들지 안 해도 제대로 의단(疑團)이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들리는 과정, 그놈을 거쳐서 나중에 공안을 타파해 가지고 확철대오를하거든.
확철대오를 하면은 일체처 일체시에서 깨달음의 경지가 낭연독존하며—원각대지(圓覺大智)가 낭연독존(朗然獨存)한 경지에 이르르거든. 무수이수(無修而修)거든. 닦음이 없이 닦는 거거든.
그리고 여덟 번째 가서는 인우구망(人牛俱忘)이거든. 사람과 소를 완전히 다 잊어버리거든.
그래서 '집에 돌아와 가지고 소는 잊어버리고 사람만 있는 것[忘牛存人]'은 잊어버리고 그 다음에 사람과 소를 둘 다 잊어버린 것은 보리(菩提)를 이룬 위치다.
또 '소를 잊어버리고 사람만 있는 것[忘牛存人]'은 소승(小乘)에서는 아공(我空)의 경계를 그렇게 표현을 했다 그러고, 그 다음에 인우구망(人牛俱忘)의 자리는 대승의 경지에서 말하는 보리를 이룬 경지에다가 비유해서 그렇게 했다고 고인은그렇게 해설을 합니다.
그리고 아홉 번째 와서 이 반본환원(返本還源) 이것은 열반의 경지에 들어간 것이다, 이렇게 말하고. 이것은 대승이나 소승이 다 같이 그렇게 보는 것입니다.
열 번 째 가서 수수입전(垂手入廛) 손을 드리고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서 중생계로 나아가는 것인데.
이런 10가지 단계로 보리심을 발(發)해 가지고 도업(道業)을 성취해서 보림(保任)을 다 완성을 한 다음에 중생을 교화하러 나가는 그러한 단계를 10가지로 이렇게 구분한 것인데.(처음~21분37초)
(2/4)----------------
대단히 그 '마음 소'를 찾는 경계를 그 '소' 찾는 경계에다가 비유해서 이렇게 게송을 읊고 또 그림을 이렇게 그려서 많은 사람들에게 도를 닦아가는 데에 퍽 이해하기 쉽고 재미스럽게 표현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방금 조실 스님께서는 첫 번째 제일 심우(尋牛) 단계와 두 번째 자취를 보는 견적(見跡)의 단계만을 게송으로 읊으시고 그것에 대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우리가 지금 그러한 심우송(尋牛頌)을 자세히 따져보는 것도 퍽 뜻있는 일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단계는 어디까지나 이 '마음 소'를 찾기 위해서 화두를 들고 주삼야삼(晝三夜三)에 앞과 뒷이 콱 맥힌 상태에서 의단으로 공안을 참구(參究)해 나가는 그 단계, 그것이 매우 중요한 단계인 것입니다.
그래서 방금 산승이 읊은 그 게송이 ‘불법(佛法)이다. 전등(傳燈)을 계승한다’ 그러한 생각도 일으키지 말고, 다못 자기의 공안—본참공안(本參公案)만을 위해서 행주좌와 어묵동정 간에 공부를 지어 가는데,
공부를 지어 가는데 있어서 고인(古人) 공안 상에 복탁(卜度)하고 망령되이 해석을 가하지 말아라. 비록 낱낱이 해석을 해 가지고 그럴싸한 해답을 얻었다 할지라도 '참나'를 깨닫는 일과는 아무 교섭이 없다.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다.
공안을 갖다가 사량분별로 따져서 이것은 무슨 최초구다, 이것은 말후구(末後句)다, 이것은 제삼구(第三句)다, 이것은 제2구다, 이것은 체(體)다 용(用)이다, 체용동시(體用同時)다, 이런 식으로.. 이것은 본분이다 신훈이다.
옛날에 강사나 또는 의리선을 하는 사람들은 공안을 낱낱이 그렇게 분석하고 따져 가지고 그렇게 결론을 내리고서 그 공안을 다 깨달은 것처럼 그렇게 여겼든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활구참선이 아니여. 그러한 식으로 백 천 공안을 다 따져서 결론을 내려 봤자 그것은 생사해탈도 아니고 견성성불도 아니여.
고인의 한 말씀 한 말씀이 마치 큰 불덩어리와 같아서 가까이 할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고 그렇거늘, 하물며 그 불 속에 어떻게 앉거나 누울 수가 있겠는가?
공안을 가지고 이리 따지고 저리 따지고 비교하고 분석하고 그래 가지고 어떤 분별심으로 결론을 내린 것은 마치 불덩어리에 훨훨 타는 무서운 불길 가까이 가 가지고 그것을 만져 볼랴고 그러고 또 그 속에 들어갈려고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느냐 이거거든.
그 공안 속에, 크게 나누고 작게 나누고 논상논하(論上論下) 이러쿵 저러쿵 체(體)다, 용(用)이다, 체용동시(體用同時)다, 신훈이다, 본분이다, 일구·이구·삼구다, 이렇게 따진 것이 다 분대분소(分大分小)하고 논상논하 한 것이거든.
이러면 그것이 상신실명(喪身失命)—벌써 수행자로써 공안을 갖다가 의리(義理)로 따지고 사량분별로 이렇게 따지는 짓을 하는 것은 벌써 생명을 잃어버린 것이여.
조실 스님께서 항상 말씀하신 것은 이 공안을 가지고 사량분별로 따진 것을 극히 엄격하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 까닭이 바로 공안은 큰 불덩어리와 같아서 가까이하면은 수행자로서의 생명을 잃어버려.
공안을 그런 식으로 따져서 무슨 공안을 대하든지, 법문을 듣던지, 어록을 보던지, 보면은 자기 나름대로 이러쿵이러쿵 따져서 결론을 내려. 조실 스님께서는 그것을 말씀하시기를 사견종자(邪見種子)라 그랬습니다.
사견(邪見) 삿된 종자, 삿된 견해를 가진 씨알머리다 그거거든. 사견종자는 암만 해봤자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어.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다” 일러주면 “예, 알았습니다”그래 놓고는 금방 다음에 또 사견을 내거든.
어쨌든지 공안을 참구하는데 가서는 앞뒤가 끊어져 버려야 하거든. 꽉 맥혀서 오직 의단만이 독로(獨露)하도록 그렇게 잡두리를 해 가야 그래야 그 사람이 공안을 타파하고 자기의 본래면목을 깨닫게 되는 것이여.
그리고 또 하나, 공부하는 사람이 주의할 것은 불가심문축구(不可尋文逐句)여. 글을 찾고 글귀를 쫓는 거여. 그것이 공부하다가 답답하고 암만해도 안 되고 하면은 뭐 전등, 염송, 기타 조사어록 모다 이런 것을 뜨적뜨적 하며 행여나 거기서무슨 좋은 해결이 나올까?
워낙 해도 해도 안 되고 가슴은 답답해서 못 견디게 그렇게 답답하니까 혹 그런 것을 보면 좀 후련하고 시원해지는 맛이 있어서 그런 것을 다 볼라고 그러고,
또 그런 어록 속에 기언묘구(奇言妙句) 기특한 말과 묘한 글귀가 있으면 그런 것을 마음속에 기억을 하고, 이런 것은 다맛 아무 이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부에 큰 장애가 된다.
진실로 공부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이러한 짓을 하지 말아라.
그 공부가 안 되고, 암만해도 공부가 진취가 없고, 해 갈수록 답답하기만 하고, 앉아서도 답답하고 서서도 답답하고, 추호도 어떤 그 공부가 잘된다고 하는 그런 시원한 대목이 없으니까 대단히 말로써 표현할 수가 없지마는, 그 답답하고 꽉맥히고 이 단계가 이러한 경지가 공부하는 사람에게는 대단히 중요하고도 좋은 경계라 그랬습니다.
대혜 스님도 그러한 경지야말로 깨달음에 나아갈 수 있는 아주 중요한 단계니까, 거기에서 번뇌심을 내지 말아라. 번뇌심을 내지 말고 거기에서—그 답답하고 답답한 그런 경지에서 선용기심(善用其心) 잘 그 마음을 잡드리를 해 가지고, 화두를 놓치지 말고 참구를 잘 해가면 반드시 깨달음에 이를 것이다. 고인이 한결같이 당부하신 말입니다.(31분53초)
그리고 공부하는 사람은 이 비량(比量)—이것과 저것을 비교허고 공안을 이 공안과 저 공안을 비교허는 거야.
그래 가지고 마음을 가져서, 이 공안 저 공안에 대해서 마음을 가지고 거기에서 주박(湊泊)을 혀. 그걸 따지고 그놈을 가지고 속으로 속 살림을 해 나가는 거여. 이렇게도 생각해 보고 저렇게도 생각하고. 이것은 그렇게 하면은 도(道) 하고는점점 더 멀어지는 거야.
공안을 가지고 이렇게 따지고 저렇게 따지고, 이놈과 저놈을 비교허고, 이런 것인가 저런 것인가 사량분별로 복탁(卜度)하고 이런 것은 56억 7천만 년 뒤에 미륵불이 출생허실 때까지 이르러도 그 사람은 참 깨달음과는 아무 교섭(交涉)이 없다.
그래서 이 활구참선을 허는 사람은 마치 은산철벽(銀山鐵壁) 속에 갇혀 있는 거와 같애서, ‘다못 어떻게 허면 이 사방이 은산철벽으로 둘러서 나갈래야 나갈 수가 없는데 어떻게 허면 여기서 빠져나갈까?’ 오직 그 활로(活路)를 찾는 그 한가지 일만이 문제가 되야 해.
그래서 그 활로를 찾는 방법이 「이 뭣고?」거든. 「이뭣고?」
아까 조실 스님께서는 판치생모 화두를 말씀허셨는데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고 했는고?」, 무자 화두를 허신 분은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이뭣고」 화두를 허신 분은 「이 뭣고?」
오직 그 화두 한 마디, 한 의심만을 향해서 의단이 독로허도록 이렇게 잡드리를 해 나가야 해. 답답허면 답답헐수록 그렇게 해 나가고, 아무리 공부가 안되면 안될수록에 그렇게만 해 나가야 돼.
또 그렇게 해 나가다 보면, 머리가 개운하면서 화두를 들랴고 안 해도 화두가 터억 들리면서 그렇게 깨끗하고 조용하고 잘 들릴 때가 오되, 그럴 때라 하더라도 ‘아! 됐다. 이제 공부가 잘된다’ 그런 기쁜 마음을 내서는 안 돼. 그런 기쁜 마음을내면 금방 또 경계가 확 변한 거거든.
그래서 설사 공부가 좀 수월허게 화두가 잘 들리고 의심이 의단이 잘 순일허게 된다 하더라도 조금도 기뻐하는 마음을 내면 안 돼.
왜 그러냐 하면은 우리의 육근문두(六根門頭)에는 항상 마왕(魔王) 파순(波旬)의 권속이 육근문두에 와서 지키고 있거든. 그래 가지고 잠깐이라도 틈만 있으면 그 육근을 통해서 들어와 가지고 아주 내란을 일으킬라고 작정을 허는거여.
마치 한 국가도 이웃나라가 그 나라를 침범을 할라며는 항상 간첩을 보내 가지고 그 나라의 모든 것을 감시허다가, 감시허면서 계속 서로 이간(離間)을 붙이는 거여.
정부와 백성을 이간을 붙이고, 백성과 백성을 이간을 시키고, 신하와 임금을 이간을 시켜 가지고, 이간을 시켜서 싸움만 일어나면은, 그것이 바로 침범해서 그 나라를 갔다가 빼앗기가 가장 좋기 때문에,
그래서 그 나라가 이웃나라로부터서 침범을 안 받고 멸망을 안 할랴면은 어쨌든지 그 나라 백성이 서로 화합을 해야 하거든.
그 나라 백성이 화합이 돼 가지고 모두가 서로 믿고, 자기의 맡은바 소임을 열심히 허고 그러면은 그것이 바로 가장 나라를 위하고 국가 민족을 위하는 것이 되어서 외부에서 침범해봤자 도저히 성공을 못 허는 것이여.
우리 공부해 나가는 사람도 눈과 코와 입, 귀—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가 서로 눈은 자기의 역할이 따로 있고, 입은 입의 역할이 따로 있고, 또 각자 자기가 좋아하는 것이 따로 있고,
그러니 우리의 발심한 그 마음으로 주재(主宰)가 되아야, 육근(六根)이 심왕(心王)의 명령에 모두가 다 복종을 하고 합심해서 한 대사(大事)를 향해서 합심이 될 때에 도(道)도 이룰 수가 있는 것이여.
그런데 그놈이 흩어져 가지고 오욕락(五欲樂)에 빠지고 탐진치(貪瞋癡) 삼독심의 종이 된다면 도업(道業)은 성취허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국은 마군(魔軍)이의 함정에 빠지고 그 홀랑게에 걸려서 도업 이루기 커녕은 마군이의 종자가 되고마는 것이여.
그 마군이의 종자가 안 되고 법왕 권속이 되는 길은 마군이의 올개미가 무엇인가를 잘 알면은 그 올개미에 걸리지 않을 것이다. 그 올개미가 바로 사량분별이거든.
우리 공부하는 분상에는 사량분별이 가장 중요헌 것이야. 일체처 일체시에 알 수 없는 의단으로 그렇게 나가면은 마군이가 거기에는 발붙이지를 못하는거여.
꽉 맥히지 않고 알아 들어가고 이치 길이 있고 말 길이 있고 더듬어 들어 갈 것이 있으면 그것이 바로 마구니의 올가미에 걸려드는 것이여.(21분40초~39분36초)
(3/4)----------------
기래끽반냉첨의(饑來喫飯冷添衣)헌데 삼척지동야공지(三尺之童也共知)니라
나무~아미타불~
일개화두명역력(一箇話頭明歷歷)하면 여하개안자우치(如何開眼恣愚癡)리요
나무~아미타불~
기래끽반냉첨의(饑來喫飯冷添衣). 배고픔이 오면 밥을 먹고 추워지면 옷을 껴입어.
삼척지동야공지(三尺之童也共知)다. 이것은 삼척동자(三尺童子)도 다 함께 아는 바다 그말이여. 배고프면 밥 먹고 추우면 더운 옷을 껴입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알 수 있는 일이니,
일개화두명역력(一箇話頭明歷歷), 이 한 개의 화두가 성성적적(惺惺寂寂)허게 역역(歷歷)하게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허도록 이렇게 잡드리를 해 나가면,
여하개안자우치(如何開眼恣愚癡)리요. 어떻게 눈을 뜨고서 어리석고 어리석은 방자(放恣)의 우치(愚癡)에 빠질 것인가?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알고 추우면 더운 옷을 껴입을 줄 아는, 이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일이라 했지만,
사실은 우리가 정법을 믿고 활구참선을 해서 확철대오해서 해탈도를 증득헐랴고 허는 여기에 절대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것이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알고 추우면은 더운 옷을 껴입을 줄 아는 바로 거기에 있거든.
배고프면 밥 먹을 줄도 모르고 추워도 옷을 껴입을 줄도 모른 정도가 되었다면 그 사람은 공부해 봤자 소용이 없어.
‘그것을 누가 모르겠느냐?’하는데, 누구나 다 알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다 이 정법(正法)을 믿고 열심히만 하면 누구나 다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헐 수가 있다고 허는 증거거든, 이게.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알고, 추울 때는 더운 옷을 껴입을 줄 알기만 하면, 바로 거기에 바른 공부에 바로 들어갈 수 있는 길이 바로 거기에 있는 거야.
「이뭣고?」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안 사람이면 어찌 「이뭣고?」를 못해. 「이뭣고?」
정법을 안 믿고 화두를 타서 공부를 아니한 사람은 배고프면 맛있는 것을 생각하고, 무엇을 먹어야 맛있을까? 어떻게 무엇을 먹어야 배가 부를까? 어떻게 먹어야 영양을 섭취할까? 잘했다 못했다 짜다 싱겁다 그러다가 말아 버린다 그말이여.
그런데 공부허는 사람은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아는 생각 날 때, 밥 먹으면서 「이뭣고?」거든.
우리는 이 공부를 일상 생활과 띠어서 생각해서는 안 돼.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알 때, 바로 배고프다 헐 때 「이뭣고?」거든. 춥다 헐 때 「이뭣고?」거든.
「이뭣고?」부터 탁 챙기면서 옷을 껴입고, 배고프면 즉각 「이뭣고?」를 탁 추켜들면서 밥을 먹어.
하물며 그 밖에 성이 날 때, 슬플 때, 괴로울 때, 속상할 때, 억울할 때, 원망스러울 때, 미울 때, 아까 증애심에 대한 말씀을 했지마는 사람이니까 이쁜 사람도 있고 또 미운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이쁜 생각이 나자마자 「이뭣고?」를 들고, 미운 생각이 들자마자 「이뭣고?」를 든다면, 이뻐하고 미운 것으로 인해서 큰 업(業)을 짓지 아니하고, 그 이쁜 생각·미운 생각나자마자 「이뭣고?」를 척 든다면 그 이쁜 생각·미운 생각이 바로 깨달음으로 들어가는 발판이 될 것입니다.
미운 사람을 보고도 나는 「이뭣고?」를 드니까, 미운 사람은 웬수가 아니라 바로 잠깐 내 앞에 나타난 불보살(佛菩薩)일 것이고,
이쁜 사람을 보고 이쁜 생각을 내고 그것으로 인해서 음심(淫心)을 내고, 그것으로 인해서 업연(業緣)을 맺게 되면 그 사람은 바로 나를 마왕(魔王)으로 끌고 가는 올개미가 될 것입니다마는,
발심(發心)해서 도 닦는 사람은 이쁜 사람을 보고도 이쁜 생각이 나자마자 찰나에 「이뭣고?」하고 화두를 든다면, 그 사람은 불보살이 잠시 나로 하여금 화두를 들어서 깨달음에 나아가기 위해서 화현신(化現身)으로 나타난 사람이 될 것이다그말이여.
그래서 이 세상에 모든 사람이 나와 인연 있는 사람은 미운 사람이나 이쁜 사람이나, 다 발심한 사람에게는 다 불보살 화현이여.
발심을 못하고 정법을 믿지 아니하고 공부를 아니헌 사람은 사랑만 했다면은 머지않아서 그 사람 허고는 웬수가 되고 ‘다생원채(多生怨債)가 기어친(起於親)이거든—다생에 웬수 빚이 다 친한 데에서 일어나.’ 친했다 하면은 사랑하게 되고, 사랑했다 하면은 머지않아서 웬수로 변하거든.
중생세계, 이 사바세계(娑婆世界)에는 어디를 가나 마찬가지야.
발심을 해서 정법을 닦는 사람은 이 사바세계처럼 공부허기 좋은 곳은 없고, 깨달음에 나아가는데 가장 적절한 데가 없다 이거거든.
일개화두(一箇話頭)가 명역력(明歷歷)하면 여하개안자우치(如何開眼恣愚癡)리요. 어떻게 눈을 뜨고서 어리석은 마음을 방자히 헐 수가 있으리요.
화두(話頭) 하나로서 사바세계의 탐진치를 극복을 하고, 이 화두라고 허는 이 무서운 무기로써—이 무기는 총보다도 더 무섭고, 칼보다도 무섭고, 원자탄보다도 무섭고, 또 그 밖에 어떤 화학무기보다도 더 무서운 무기가 바로 이 화두인 것입니다.
아무리 화학무기가 무섭고, 원자탄이 무섭고, 수소탄이 무섭고, 총칼이 무섭다 해도 이 화두 하나 보다는 덜 무서워.
왜 그러냐? 이 화두는 간단한 한마디고 참 평범한 한마디지만 혁범성성(革凡成聖)이거든. 범부를 고쳐서 성현을 맨드는 그러헌 무서운 무기거든.
원자탄 100개를 던진들 중생을 제도할 수 있겠습니까? 수소탄 1000개를 던진들, 사람과 모든 것을 파괴할 것뿐이지, 그걸 가지고 이 세계를 평화롭게 맨들 수도 없는 것이고, 한때 잠시 두려움을 줄 수는 있을지언정 영원한 평화는 가져오지 못하거든.
1945년에 원자탄을 일본에 나가사끼, 히로시마에 던져서 2차 대전(大戰)이 종식은 되었지만, 그래봤자 몇 해 안 가서 다시 중생심은 계속해서 발동을 해 가지고 온 세계는 이렇게 평화를 향해서 잘되아 가는 기미는 보이지 아니하고 언제 어떻게 해서 또 그와 같은 무서운 싸움이 일어날른지 모르는 상황에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우리는 정법에 귀의해서 「이뭣고?」 이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해 가지고, 온 세계가 멸망해 버릴지도 모를 그러헌 상황 속에서 우리가 나 자신을 구제하고, 가족을 구제하고, 국가 민족을 구제하고, 세계 인류를 구제하고, 이 자연계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이 정법 밖에는 없습니다.
왜 그러냐? ‘온 세계가 왜 이것이 존재허냐’하면은, 나 각자 나의 마음의 표현이 세계거든.
내 몸 밖에 세계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있으므로 해서 세계가 있어. 내게 한 마음이 있기 때문에 그 마음의 식(識)이 밖으로 나타나서 표현된 것이 우주법계, 삼라만상 두두물물이야.
그래서 내 마음이 즐겁고 편안하면 온 세계가 다 좋게 보이고, 내 마음 하나가 슬프고 괴로우면 온 세계가 다 뵈기 싫어.
아름다운 꽃이 피었거나 휘황찬 밝은 달이 하늘에 떠 있어도 내 마음이 슬프면 꽃도 슬프고 하늘에 밝은 달도 슬퍼. 내 마음이 기쁘면 내 마음에 행복이 있으면 저 밝은 달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고 그 이쁘게 핀 꽃도 그렇게 고울 수가 없다 그말이여.
그러니 온 세계의 모든 것도 내가 좋아야 세계가 좋아. 친구도 내가 좋아야 친구를 보면 반갑지, 내가 불행허면 친구도 반가운 줄도 모르고 이 세상에 아무것도 좋은 것이 없어.
그러니 세계가 곧 나요, 내가 곧 세계거든. 그러기 때문에 세계의 평화를 이룩헐라면은 내 마음이 행복해져야 해.
어떻게 허면 내 마음이 행복허게 허냐?
세상 사람들은 많은 재산을 모으고 높은 벼슬을 하고 그러면은 행복헐 것 같지마는, 그렇게 생각해서 밖에서 그런 것을 얻을랴고 아우성을 치지만 그거 얻는다고 해서 정말 행복해지들 않애.
그런 것이 뜻대로 이루어지면 잠시 참 좋다는 생각이 들고 기뻐하지만 그 얼마 안가요. 얼마 안가면 또 재산이 없어지기도 하고 벼슬이 내 몸에서 떨어져 나가기도 헌다 그말이여.
그래서 진정한 행복은 밖에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야. 자기 마음속에서 찾아야 한다.
이제 가을도 가고 겨울철에 접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음력 10월 보름에 겨울철 안거(安居)가 시작이 됩니다. 보살님네는 뒤로 미루지 말고 이 핑계 저 핑계 대다보면 한량이 없습니다.
탁! 큰 마음을 내서 결단심을 내서 방부(房付)를 드리고 또 이 한철을 열심히 정진을 허시기를 바랍니다.
금년에 새로 선방(禪房)을 확장을 했으니 어찌던지 와서 정진을 잘 허시길 바라고,
부득이한 여러 가지 사정으로 직접 나와서 공부를 못하신 보살님네, 거사님네들도 가정에서·직장에서·생활 속에서 항상 바로 있는—발 디디고 서 있는 그 자리, 앉어 있는 그 자리—그 자리가 바로 선방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이뭣고?」만 탁들면 벌써 용화사 선원에 와서 방부를 드리고 죽비를 치고 입선(入禪)을 한 것과 똑같은 것입니다.
용화사에 방부를 드리고, 와서 큰방에 앉어 계셔도 밤낮 여기 앉어서 집안 생각, 아들 생각, 딸 생각 그러고 있으면은 그건 방부 드리나 마나 하는 거고.
댁에 계시더라도 항상 「이뭣고?」를 들고 일 허다가도 퍼뜩 챙기고, 앉어서 챙기고, 서서 챙기고, 밥 먹으면서 챙기고, 똥 누면서 챙기면은 바로 집이 용화사 선원이거든.
시간도 공간도 마음먹기에 따라서 지척지간(咫尺之間)이 수천 리, 수천 리가 지척이 되는 것입니다. 백년 천년허면 긴 것 같지마는 일 찰나간이고, 일 찰나간이 잠깐인 것 같지마는 이것이 바로 무량겁인 것입니다.
여러분이 법성게(法性偈)를 외우신 분은 아시겠지마는 일념즉시무량겁(一念卽是無量劫) 무량원겁(無量遠劫)이 즉일념(卽一念)이거든. 이것은 진리에 입각해서 허신 말씀이라고만 생각헐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그래.
둘이 나란히 한집에서 한 이불 속에서 자도 벌써 생각이 틀어져 버리면은 천리(千里)거든. 부부 간도 천리 웬수여. 저 천리 밖에 떨어졌어도 서로 사랑하고 서로 아끼고 있으면은 벌써 부부일신(夫婦一身)이거든.
시간과 공간을 그것이 또 다른 것이 아니야. 시간이고 곧 공간이고, 공간이 시간이거든.
공간 없는 시간이 없고 시간 없는 공간이 없어. 시간이 있는 곳에 반드시 공간이고 시간과 공간은 베의 날과 씨가 서로 이렇게 짜여져서 베를 짜듯이 시간과 공간도 역시 마찬가지여.
그래서 어느 때, 어느 시간 무엇을 허실 때라도 항상 화두를 들고, 화두 하나만을 거두절미(去頭截尾)하고 그저 딱 화두를 거각(擧却)하면 그 자리에는 부처님이 계신 자리요, 그 자리는 모든 조사가 계신 자리요, 그 자리에는 조실 스님이 계신 자리요, 그 자리에는 입승 스님이 탁! 죽비를 들고 앉아 있는 자리다 그말이거든.
그러니 입승(立繩) 스님이 죽비를 들고 앉아 있고, 조실 스님이 탁! 지켜보고 계시고, 모든 조사 스님이 그 자리에 계시고, 삼세제불이 그 자리에 계시는데 어느 곳이 선불장(選佛場)이 아니겠습니까?(39분45초~59분45초)
(4/4)----------------
생사차무승여속(生死且無僧與俗)하고 성진나유오화미(性眞那有悟和迷)리요
나무~아미타불~
가타사기동참자(伽陀寫寄同參者)하니 두우성건일우서(杜宇聲乾日又西)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생사차무승여속(生死且無僧與俗)이요. 생로병사는 승속(僧俗)이 없어. 스님네나 속가에 계신 여러 청신사·청신녀 여러분이나 누구에게나 생사는 다 있다 그말이여.
성진나유오화미(性眞那有悟和迷)리요. 성품 참다운 것은, 진여(眞如) 성품은 깨달은 사람이나 미(迷)한 사람이나, 깨달은 부처님이나 미(迷)한 중생이나 다 똑같애.
깨달은 성현이라 해서 진여 성품이 더 크고 위대하고 좋고, 깨닫지 못한 중생이라고 해서 진여 성품이 작고 추하고 그런 것이 아냐. 그 진여 성품 그 자리에 가서는 다 똑같다 그말이여.
출가한 스님이라고 해서 생로병사가 없고 속가에 계신 분만 생사가 있는 것이 아닌 거와 마찬가지.
가타사기동참자(伽陀寫寄同參者)는 이 게송을 써서 이 자리에 모이신 여러 동참 도반들에게 기증하노니,
두오성건일우서(杜宇聲乾日又西)다. 두견(杜鵑)이는 쉬지 않고 소쩍소쩍 울고 있는데 해는 또 서쪽으로 지는구나.
'한 생각' 일어났다 없어지고 또 '한 생각' 일어났다 없어진 것이 그것이 바로 생사(生死)니라.
일념(一念) 속에 구백 생멸(九百生滅)이 있어. '한 생각' 속에도 미세허게 보자면, 원자 현미경 같은 그런 미세한 현미경으로 일념을 갔다가 들여다보면 구백 생멸이 있다 그랬어.
부처님 말씀에는 ‘털구먹 일 모공(一毛孔) 속에 구억 충(九億蟲)이 들었다. 구억 개의 벌레가 우글거리고 있다’하셨어. 그때 당시에는 현미경도 뭐 원자 현미경도 없었는데 부처님은 다 알고 계셔.
일념 속에 구백 생멸이 있어. '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 생사고, 그 생사가 결국 우리에게 육체적인 생사 또 육도윤회(六道輪廻)를 허게 허는 그 원인이요 장본인이거든.
그 일념 일념을 단속허는 것이 생사해탈(生死解脫)의 자물통이여 그게, 자물쇠가 거기에 있거든.
‘그 한 생각 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데에 휩쓸려 나가느냐’, ‘거기에 끌려 들어가지 않고 화두를 드느냐’에 따라서 삼악도(三惡道)로 가느냐 해탈도(解脫道)로 가느냐의 분간이 있는 것입니다.
소쩍새는 쉴새 없이 울고 있는데 해는 오늘도 또 서쪽으로 넘어가. 이 게송을 마음속에 깊이 새기시고 알뜰히 정진해 주시기를 부탁합니다.(59분54초~65분28초)(끝)
----------------(1/4)
*(게송) ‘흉중하애부하증~’ ; 天目中峰和尚廣錄 卷第二十九 ‘山居十首’ 게송 참고.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간절(懇切 간절할•정성스런 간,정성스런•절박할 절) ①지성(至誠)스럽고 절실(切實)함 ②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함 ③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함.
*나무둥치 ; 큰 나무의 밑동(나무줄기에서 뿌리에 가까운 부분)
*일대사(一大事) ;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비로자나(毗盧遮那) 법신(法身) ; 절대적 지혜의 지고한 상태, 즉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스승)으로부터 화두•공안(公案)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공안)을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공안 또는 화두(話頭)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고인(古人) ; 옛날 사람. 옛날 선승(禪僧).
*게송(偈頌) ; 시(詩), 게(偈)와 송(頌) 모두 불교의 가르침을 싯구로 나타낸 것.
*발심(發心) ; ①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②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원어)發起菩提心발기보리심, 發菩提心발보리심.
*견성(見性)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음. 미혹을 깨뜨리고 자신의 청정한 본성을 간파하여 깨달음.
*진여(眞如) ; ①차별을 떠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②궁극적인 진리. ③모든 분별과 대립이 소멸된 마음 상태.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 ④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불성(佛性) ; ①모든 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 부처가 될 수 있는 소질·가능성. ②부처 그 자체. 깨달음 그 자체.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공안(公案) : 화두(話頭)。①정부 관청에서 확정한 법률안으로 백성이 준수해야 할 것.
②선종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이것을 화두라고도 하는데 문헌에 오른 것만도 천 칠백이나 되며 황화취죽 앵음연어(黃花翠竹鶯吟燕語) — 누른 꽃, 푸른 대, 꾀꼬리 노래와 제비의 소리 등 — 자연현상도 낱낱이 공안 아님이 없다.
화두에 참구(叅句)와 참의(叅意)가 있다。이론적으로 따져 들어가는 것이 참의요 사구(死句) 참선이며, 말길 뜻길이 끊어져서 다만 그 언구만을 의심하는 것이 참구요 활구(活句) 참선이다.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원각대지(圓覺大智)가 낭연독존(朗然獨存) ; 원각(圓覺)의 대지(大智)가 밝게 홀로 드러나다. 원각(圓覺)-석가여래의 원만(圓滿)한 깨달음. 진여(眞如)의 체득. 부처님의 지혜.
[참고]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의 <수심결修心訣>에서.
〇若微細流注永斷 圓覺大智 朗然獨存 卽現千百億化身 於十方國中 赴感應機 似月現九霄 影分萬水 應用無窮 度有緣衆生 快樂無憂 名之爲大覺世尊
만약 미세한 번뇌의 흐름도 영원히 끊어져서 원만히 깨달은 큰 지혜가 홀로 밝게 드러나면, 곧 천백억 화신을 나타내어, 시방세계 중생들의 근기에 맞추어 감응하게 되니, 그것은 마치 하늘에 높이 뜬 달이 모든 물에 두루 나타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응용이 무궁하고 인연있는 중생을 제도하여, 쾌락하고 근심이 없으니 ‘크게 깨친 세존(大覺世尊)’이라 한다.
---『마음 닦는 길(수심결 강의)』 (지눌 저, 강건기 강의 | 불일출판사) p214.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라-보조국사어록』 (김달진 옮김 | 동화출판사) p87, 102 참고.
*보리(菩提) : [범] bodhi 도(道) • 지(智) • 각(覺)이라 번역。불교 최고의 이상인 부처님이 깨달은 지혜。곧 불과(佛果)를 말하며, 또는 불타(佛陀) 정각(正覺)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곧 불과에 이르는 길을 말한다.
범어의 음대로 쓰면 「보디」라고 하겠지만, 우리 말의 관습상(ㄷ —> ㄹ) 「보리」로 읽는다。따라서 「보제」나 「보데」로는 읽지 않아야 할 것이다.
*아공(我空) ; 인공(人空). 인무아(人無我).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보는 아집(我執)에 대해,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없다고 보는 견해 혹은 이치, 또는 이러한 깨우침을 증득한 상태 또는 경지이다.
*열반(涅槃) ; ①타고 있는 불을 바람이 불어와 꺼 버리듯이, 타오르는 번뇌의 불꽃을 지혜로 꺼서 일체의 번뇌나 고뇌가 소멸된 상태. ‘니르바나(nirvāna)’의 음역어로, 불가(佛家)에서 흔히 수행에 의해 진리를 체득하여 미혹(迷惑)과 집착(執着)을 끊고 일체의 속박에서 해탈(解脫)한 최고의 경지를 이르는 말이다.
②스님의 죽음을 수행을 통해 해탈(解脫)에 이르게 됨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도업(道業) ; 도(道)는 깨달음. 업(業)은 영위(營爲). 불도의 수행. 진리의 실천.
*보림(保任 보임) ; 선종(禪宗)에서 깨달은 뒤에 더욱 갈고 닦는 수행. 흔히 ‘보림’이라 읽는다. '보임'은 보호임지(保護任持)의 준말로서 ‘찾은 본성을 잘 보호하여 지킨다’는 뜻이다.
----------------(2/4)
*참구(參究 헤아릴 참,궁구할 구) ; ①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본참화두를 드는 것. ②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꿰뚫어 밝히기 위해 집중함. 화두 의심을 깨뜨리기 위해 거기에 몰입함.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사량복탁(思量卜度) : 사량분별(思量分別),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의리선(義理禪) ; 말이나 글로 해석하고 설명하는 선. 이런 의리선(義理禪)은 ‘사구참선(死句參禪)’이라,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해석하고 설명해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衆生心)이요 사량심(思量心)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스승)으로부터 화두•공안(公案)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공안)을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공안 또는 화두(話頭)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의단독로(疑團獨露 의심할 의/덩어리 단/홀로•오로지 독/드러날 로)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가 홀로(獨) 드러나다(露).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본래면목(本來面目 밑 본/올 래/낯 면/눈 목) ①자기의 본래(本來) 모습(面目). ②자신이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천연 그대로의 심성(心性). 부처의 성품.
*번뇌(煩惱 번거러울 번, 괴로워할 뇌) ; ①마음이 시달려서(煩) 괴로워함(惱). 나쁜 마음의 작용.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는 정신작용. 근원적 번뇌로서 탐냄(貪)•성냄(瞋)•어리석음(癡)이 있다.
②나라고 생각하는 사정에서 일어나는 나쁜 경향의 마음 작용. 곧 눈 앞의 고(苦)와 낙(樂)에 미(迷)하여 탐욕•진심(瞋心)•우치(愚癡)등에 의하여 마음에 동요를 일으켜 몸과 마음을 뇌란하는 정신 작용.
*미륵불(彌勒佛) ; Maitreya. 번역하여 자씨(慈氏). 인도 바라나국의 바라문 출신으로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도솔천에 올라 천인(天人)을 위해 설법•교화하고 석가모니 입멸 후 56억 7천만 년을 지나 다시 이 사바세계에 하생(下生)하여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서 성불(成佛)하고, 3회의 설법으로써 석가모니세존의 교화에 빠진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석가모니세존의 업적을 돕는다는 뜻으로 보처(補悽)의 미륵이라 한다.
*은산철벽(銀山鐵壁) ; 철벽은산(鐵壁銀山). 은과 철은 견고해서 뚫기 어렵고 산과 벽은 높아 오르기 어려움을 나타낸 것.
*육근문두(六根門頭) ; 육근(六根-眼耳鼻舌身意)의 문 앞. 육근과의 경계.
*마왕(魔王) 파순(波旬) ; 천마(天魔). 욕계(欲界)의 제육천(第六天) 곧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임금은 곧 마왕(魔王)이니, 그 이름이 파순(波旬)이다。그는 항상 불법을 파괴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것은 불도를 공부하는 이가 있으면 그의 궁전이 흔들리기 때문이라고 한다。그러므로 누구나 불법을 공부하겠다는 생각을 낼 때에 곧 천마가 따르는 것이다。다시 말하면 한 생각 일어나는 그것이 곧 천마다.
*이간(離間) ; 두 사람 사이에서 서로를 헐뜯어 관계가 멀어지게 만듦. 또는 두 사람 사이에서 각각 제삼자를 헐뜯고 일러바치고 하여 사이의 정을 떨어뜨림.
*주재(主宰) ; 어떤 일을 중심이 되어 맡아 처리함. 또는 그 사람.
*심왕(心王) : 의식 작용의 본체。객관(客觀) 대상에 대하여 그 일반상(一般相)을 인식하는 정신 작용。여기에 육식(六識), 팔식(八識), 구식(九識)의 구별이 있다.
*삼독심(三毒心)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 성냄, 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마군(魔軍) ; 악마의 군세(軍勢). 마(魔)란 생사를 즐기는 귀신의 이름이요, 팔만사천 마군이란 중생의 팔만 사천 번뇌다. 마가 본래 씨가 없지만,수행하는 이가 바른 생각을 잃은 데서 그 근원이 파생되는 것이다.
*홀랑게 ; '매듭'의 사투리.
*올개미 ; '올가미'의 사투리. 노끈이나 철선 따위로, 잡아당겨도 매듭이 풀어지지 않도록 한 가닥을 고리처럼 만들어 짐승을 잡는 기구.
*사량(思量) ; 생각하여 헤아림. 사유하고 판단함.
*분별(分別) ; ①대상을 차별하여 거기에 이름이나 의미를 부여함. 대상을 차별하여 허망한 인식을 일으키는 인식 주관의 작용. ②구별함. ③그릇된 생각.
*사량분별(思量分別) : 사량복탁(思量卜度), 사량계교(思量計較)와 같은 말。 생각하고 헤아리고 점치고 따짐。 가지가지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사리(事理)를 따짐。 법화경 방편품(法華經方便品)에 「이 법은 사량분별로 능히 알 바가 아니다」라고 함.
[참고] 『몽산법어(蒙山法語)』 (용화선원刊) 박산무이선사선경어(博山無異禪師禪警語) p155~158 에서.
〇做工夫호대 不可在古人公案上하야 卜度하야 妄加解釋이니, 縱一一領畧得過라도 與自己로 沒交渉하리라. 殊不知古人의 一語一言이 如大火聚로다. 近之不得하며 觸之不得이온 何況坐臥其中耶아. 更于其中에 分大分小하며 論上論下인댄 不喪身失命者幾希리라.
공부를 짓되 옛사람의 공안에 대하야 헤아려[卜度] 망령되이 해석을 붙이지 말지니, 비록 낱낱이 알아낸다 할지라도 자기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으리라.
자못 고인의 한 말씀 한 말씀이 마치 큰 불덩어리 같음을 알지 못하는도다。 가까이 할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거늘 하물며 그 속에 앉았다 누웠다 하리요? 더구나 그 가운데서 크고 작음을 분별하며 위라 아래라 따진다면, 생명을 잃지 않을자 거의 없으리라。
〇做工夫人은 不可尋文逐句하며 記言記語니, 不但無益이라 與工夫로 作障礙하야 眞實工夫가 返成緣慮하리니, 欲得心行處絕인들 豈可得乎아
공부 지어 가는 사람은 문구(文句)를 찾아 좇지 말며 말이나 어록을 기억하지 말지니, 아무 이익이 없을 뿐 아니라 공부에 장애가 되어서 진실한 공부가 도리어 망상의 실마리가 되리니, 마음의 자취가 끊어지기[心行處絕]를 바란들 어찌 가히 될 수 있으랴?
〇做工夫호대 最怕比量이니, 將心湊泊하면 與道轉遠하리니, 做到彌勒下生去라도 管取沒交渉하리라. 若是疑情이 頓發的漢子인댄 如坐在*鐵壁銀山之中하야 只要得個活路이니, 不得箇活路면 如何得安穩去리요 但恁麼做去하야 時節이 到來하면 自有箇倒斷하리라
공부를 지어 가되 가장 두려운 것은 비교하여 헤아리는 것[比量]이니, 마음을 가져 머뭇거리면 도(道)와 더불어 더욱 멀어지리니, 미륵불이 하생할 때까지 공부를 할지라도 아무 소용이 없으리라.
만약 의정이 몰록 발한[頓發] 사람일진댄 마치 철벽(鐵壁)이나 은산(銀山) 속에 들어앉아서 다만 살 길[活路]을 찾는 것같이 할지니, 살 길을 찾지 못하면 어찌 편안히 지내가리오? 다만 이와같이 지어 가서 시절이 오면 저절로 끝장이 나리라.
----------------(3/4)
*(게송) ‘기래끽반냉첨의~’ ; 天目中峰和尚廣錄 卷第三十 ‘警世卄二首’ 게송 참고.
*삼척동자(三尺童子) ; 키가 아직 석 자밖에 자라지 않은 아이라는 뜻으로, 철모르는 어린아이를 이르는 말.
*성성적적(惺惺寂寂) ; 정신이 고요하면서도 깨끗하고 또록또록 한 상태.
*역력(歷歷) ; 훤히 알 수 있게 분명하고 또렷함.
*의단(疑團 의심할 의, 덩어리 단) ; 공안•화두에 대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의 덩어리(團).
*독로(獨露 홀로•오로지 독, 드러날 로) ; 홀로(獨) 드러나다(露).
*잡드리 ; ‘잡도리’의 사투리. ①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다룸. ②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방자(放恣) ; 방자하다. 어려워하거나 조심스러워하는 태도가 없이 무례하고 건방지다.
*우치(愚癡) ; ①삼독(三毒)의 하나. 사상에 의혹되어 진리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마음을 이른다. ②매우 어리석고 못남.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확철대오(廓徹大悟) ; 내가 나를 깨달음.
*음심(淫心) ; 주로 남녀 사이의 성적인 일과 관계되어 먹은, 바르지 않은 마음.
*업연(業緣) ; 업보(業報)의 인연(因緣). 선업은 낙과(樂果)의 인연을 부르고 악업은 고과(苦果)의 인연을 부른다.
*마왕(魔王) ; 천마(天魔). 욕계(欲界)의 제육천(第六天) 곧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임금은 곧 마왕(魔王)이니, 그 이름이 파순(波旬)이다。그는 항상 불법을 파괴하려고 애쓰고 있다.
그것은 불도를 공부하는 이가 있으면 그의 궁전이 흔들리기 때문이라고 한다。그러므로 누구나 불법을 공부하겠다는 생각을 낼 때에 곧 천마가 따르는 것이다。다시 말하면 한 생각 일어나는 그것이 곧 천마다.
*발심(發心) ; ① 불도(佛道=菩提=眞理)를 깨닫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② 깨달음을 구하려는 마음을 일으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려는 마음을 냄. 깨달음의 지혜를 갖추려는 마음을 냄. (원어)發起菩提心 발기보리심, 發菩提心 발보리심.
*화현(化現) ; 부처님이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각(各) 중생의 소질에 따라 여러 가지로 모습을 바꾸어 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화신(化身)이라고도 한다.
*사바세계(娑婆世界) ; 고뇌를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괴로움이 많은 이 세계. 현실의 세계. 석가모니 부처님이 나타나 교화하는 세계. 인토(忍土)•감인토(堪忍土)•인계(忍界)라고 한역.
*화두(話頭) : 또는 공안(公案) • 고측(古則)이라고도 한다. 선종(禪宗)에서 참선 수행자에게 참구하는 과제로 주어지는 지극한 이치를 표시하는 조사의 언구(言句)나 문답이나 동작.
참선 공부하는 이들은 이것을 참구하여, 올바르게 간단없이 의심을 일으켜 가면 필경 깨치게 되는 것이다.
*활구참선(活句參禪) ; 선지식(스승)으로부터 화두•공안(公案) 하나를 받아서[본참공안] 이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다못 꽉 막힌 알 수 없는 의심(疑心)으로 화두를 참구(參究)해 나가 화두(공안)을 타파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는 참선법(參禪法). 참선을 하려면 활구참선을 해야 한다.
참선의 다른 경향으로 사구참선(死句參禪)이 있는데, 사구참선은 참선을 이론적으로 이리저리 따져서 분석하고, 종합하고, 비교하고, 또 적용해 보고, 이리해서 공안 또는 화두(話頭)를 부처님 경전이나 조사어록에 있는 말씀을 인용하여 이론적으로 따지고 더듬어서 알아 들어가려고 하는 그러한 참선인데, 이것은 죽은 참선입니다. 1700공안을 낱낱이 그런 식으로 따져서 그럴싸한 해답을 얻어놨댔자 중생심이요 사량심이라, 그걸 가지고서는 생사해탈은 못하는 것입니다.
생사윤회가 중생의 사량심(思量心)으로 인해서 일어난 것인데 사량심을 치성하게 해 가지고 어떻게 생사를 면할 수가 있겠습니까?
*식(識) : 오온(五蘊)의 하나. 식별하고 판단하는 마음 작용. 인식 작용. 인식 주관.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입선(入禪) ; 참선 수행(좌선)에 들어가는 것, 좌선(坐禪)을 시작하는 것. 참선(좌선)수행.
*지척(咫尺) ; '한 자의 거리'라는 뜻으로, 아주 가까운 거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법성게(法性偈) ; 통일 신라 시대에, 의상대사가 중국에서 화엄경을 연구하고 그 경의 핵심을 추려서 지은 7언 30구(210자)의 게송.
*거두절미(去頭截尾) ; 말이나 사건 등의 부차적인 설명은 빼어 버리고 사실의 요점(要點)만 말함.
*입승(立繩) ; 선원(禪院)에서 선원의 규율과 질서를 다스리는 직책, 또는 그 일을 맡은 스님.
*선불장(選佛場) ; 부처(佛)를 뽑는(選) 장소(場)라는 뜻. 선원에 있어서 수행자가 좌선하는 곳.
[참고] 중국 고봉 스님의 《선요禪要》의 ‘개당보설(開堂普說)’에, 방 거사(龐居士)의 게송이 아래와 같이 있다.
‘十方同聚會 箇箇學無爲 此是選佛場 心空及第歸’
‘시방세계 대중들이 한 자리에 모여, 저마다 함이 없는 법(無爲)을 배우나니, 이것이 부처를 선발하는 도량(選佛場)이라. 마음이 공(空)해 급제하여 돌아가네.’ (통광 스님 역주 『고봉화상선요•어록』 p37,46에서)
----------------(4/4)
*(게송) ‘생사차무승여속~’ ; 天目中峰和尚廣錄 卷第三十 ‘警世卄二首’ 게송 참고.
*진여(眞如) ; ①차별을 떠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 ②궁극적인 진리. ③모든 분별과 대립이 소멸된 마음 상태. 깨달음의 지혜. 부처의 성품. ④중생이 본디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품.
*육도윤회(六途輪廻, 六道輪廻) ; 선악(善惡)의 응보(應報)로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고락(苦樂)을 받으면서 죽음과 삶을 끝없이 되풀이하는 것.
*생사해탈(生死解脫) ; 생사(生死)를 떠나 깨달음의 세계에 드는 것.
*삼악도(三惡道) ; 악인(惡人)이 죽어서 간다는 세 가지 괴로운 세계. 곧 지옥도(地獄道), 축생도(畜生道), 아귀도(餓鬼道)를 가리킨다.
지옥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태어날 지옥세계이며, 축생도는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짐승의 몸이 되어 괴로움을 받는다는 길이고, 아귀도는 먹으려고 하는 음식은 불로 변하여 늘 굶주리고 매를 맞는 아귀들이 모여 사는 세계이다.
*해탈도(解脫道) ; ①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가르침이나 수행.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난 경지. ②사도(四道)의 하나.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해탈하는 단계.
[주요 내용]
(게송)흉중하애부하증~ / 현성공안(現成公案) / 심우송(尋牛頌) / 공안을 사량분별로 따지지 말라-의단독로 하도록 잡드리해 가야 / 불가심문축구(不可尋文逐句) / 선용기심(善用其心) / (게송)기래끽반냉첨의~ / 발심한 사람에게는 모두가 불보살의 화현신이다 / 화두는 가장 무서운 무기 / 내가 곧 세계 / (게송)생사차무승여속~ / 일념단속.
[주요 문구]
〇우리가 지금 그러한 심우송(尋牛頌)을 자세히 따져보는 것도 퍽 뜻있는 일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단계는 어디까지나 이 '마음 소'를 찾기 위해서 화두를 들고 주삼야삼(晝三夜三)에 앞과 뒷이 콱 맥힌 상태에서 의단으로 공안을 참구(參究)해 나가는 그 단계, 그것이 매우 중요한 단계인 것입니다.
〇어쨌든지 공안을 참구하는데 가서는 앞뒤가 끊어져 버려야 하거든. 꽉 맥혀서 오직 의단만이 독로(獨露)하도록 그렇게 잡두리를 해 가야 그래야 그 사람이 공안을 타파하고 자기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깨닫게 되는 것이여.
〇오직 그 화두 한 마디, 한 의심만을 향해서 의단이 독로허도록 이렇게 잡드리를 해 나가야 해. 답답허면 답답헐수록 그렇게 해 나가고, 아무리 공부가 안되면 안 될수록에 그렇게만 해 나가야 돼.
〇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알고, 추울 때는 더운 옷을 껴입을 줄 알기만 하면, 바로 거기에 바른 공부에 바로 들어갈 수 있는 길이 바로 거기에 있는 거야.
〇발심(發心)해서 도 닦는 사람은 이쁜 사람을 보고도 이쁜 생각이 나자마자 찰나에 「이뭣고?」하고 화두를 든다면, 그 사람은 불보살이 잠시 나로 하여금 화두를 들어서 깨달음에 나아가기 위해서 화현신(化現身)으로 나타난 사람이 될 것이다.
〇어느 때, 어느 시간 무엇을 허실 때라도 항상 화두를 들고, 화두 하나만을-거두절미(去頭截尾)하고 그저 딱 화두를 거각(擧却)하면 그 자리에는 부처님이 계신 자리요, 그 자리는 모든 조사가 계신 자리.
〇이 화두는 간단한 한마디고 참 평범한 한마디지만 혁범성성(革凡成聖)이거든. 범부를 고쳐서 성현을 맨드는 그러헌 무서운 무기거든. 원자탄 100개를 던진들 중생을 제도할 수 있겠습니까?
〇'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 생사고, 그 생사가 결국 우리에게 육체적인 생사 또 육도윤회(六道輪廻)를 허게 허는 그 원인이요 장본인이거든. 그 일념 일념을 단속허는 것이 생사해탈(生死解脫)의 자물통이여.
'401~500 > (401~4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408)—90년 신수기도 입재(90.01.29) (30분) (0) | 2016.10.06 |
---|---|
(No.410)—90년 2월 첫째일요법회, 신수기도회향, 입춘법회(90.02.04) (78분) (0) | 2016.09.20 |
(No.402)—1989(기사년)동안거 결제 법어(89.10.15.음)(73분) (0) | 2016.06.11 |
(No.422)—90년 7월 첫째일요법회(90.07.01)(60분) (0) | 2016.01.15 |
(No.414)—1990년 4월 첫째 일요법회 법문(73분) (0) |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