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301))—1986년(병인년) 하안거 결제 (42분)
(1) 약 21분.
(2) 약 21분.
(1)------------------
원제상야월(猿啼霜夜月)하고 화소심원춘(花笑沁園春)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호호홍진리(浩浩紅塵裏)에 두두시고인(頭頭是故人)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원제상야월(猿啼霜夜月)이요, 원숭이는 서리 친 달밤에 울고,
화소심원춘(花笑沁園春)이로구나. 꽃은 깊은 동산에 웃는구나. 꽃은 봄 동산에서 웃는구나.
호호홍진리(浩浩紅塵裏)에, 넓고 넓은 이 띠끌 속에,
두두시고인(頭頭是故人)이다. 낱낱이 이 모두가 이 고향 사람이더라.
원숭이는 서리 친 달밤에 울고, 꽃은 봄 동산에서 웃어.
이 넓고 넓은 이 홍진(紅塵) 속에, 붉은 띠끌 속에, 이 사바세계(娑婆世界) 속에, 산하대지(山河大地)와 일월성진(日月星辰)과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모두가 다 고향(故鄕) 사람이요 고향 소식(消息)이더라 그건데.
오늘 병인년(丙寅年) 하안거(夏安居) 결제일을 맞이해서 방금 전강 조실(祖室) 스님의 법문(法門)을 녹음을 통해서 들었습니다. 활구참선,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에 대한 간절한 법문을 들었습니다.
결제 날이니까 화두(話頭)를 드는 법(法), '어떻게 화두를 들어야 하나?'
화두 하나만 바로 들을 줄 알면 어디서나 공부를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오늘 조실 스님의 법문을 그 활구참선, 화두를 드는 법에 대한 법문을 들었습니다.
화두는 각자 자기의 본참화두(本參話頭), '시삼마(是甚麽), 이 뭣고?' 화두나, 무자(無字) 화두나, 판치생모(板齒生毛) 화두나,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나, 무슨 화두를 들던지 그 화두를 사량분별(思量分別)로, 의리(義理)로 따져서 들어가는 것이 아니고, 다못 앞도 끊어지고 뒷도 끊어져, 다만 알 수 없는 의심(疑心)만이 독로(獨露)해야 하는데.
눈으로 무엇을 볼 때나, 귀로 무슨 소리를 들을 때나, 어느 곳 어느 때에 무엇을 하고 있던지 간에, 바로 그 곳, 그 때에 즉(卽)해서 화두(話頭)를 거각(擧却)하는 것입니다.
중생(衆生)은 들으면 듣는 데에 쫓아가고, 무엇을 보면 보는 데에 끄달리는데, 이 참선(參禪)하는 사람은 무슨 색상(色相)이 눈에 보이면 보이자마자 바로 거기에서 자기 본참화두(本參話頭)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무슨 소리를 들으면 듣는 데에 쫓아가지 말고, 그 듣는 것을 버릴려고 하지도 말고, 바로 그 듣는 그곳에 즉(卽)해서 자기의 공안(公案)을 관(觀)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석 달 동안 선방(禪房) 스님네와 또 보살선방(菩薩禪房) 보살님네, 이 안거(安居)를 하시게 되고, 또 가정에서 정진을 하신 보살님네도 계시겠습니다마는, 아직은 지금 조석(朝夕)으로는 쌀랑거리는 기운도 있고 그러나, 5월 6월로 들어가면 삼복성염(三伏盛炎)이 되어서 무척 더울 때도 올 것입니다.
그러나 더워도 더운 줄을 모르고, 추워도 추운 줄을 모르고, 밥을 먹어도 밥이 맛이 있고 없는 줄을 모르고, 반찬을 먹어도 짜고 싱거운 줄을 모르고, 다못 화두를 들어 가고 들어 오며, 화두를 의심해 오고 의심해 가서, 석 달 동안이 어떻게 지낸 줄 모르게 지내야 할 것입니다.
대분심(大憤心)과 대신심(大信心)과 대의정(大疑情)이 돈발(頓發)한다면, 추워도 추운 줄을 모르고, 더워도 더운 줄을 모르고, 밥을 먹어도 한 알도 씹은 바가 없고, 반찬을 먹어도 짜고 싱거운 줄을 모를 것입니다. 이렇게 정진(精進)을 해 가야 과연 참선을 한다고 말을 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더우면 더워서 못하고 추우면 추워서 못하고, 밥이 되면 되아서 못 먹고 밥이 질면 질어서 못 먹고, 반찬이 짜면 짜다 못 먹고, 싱거우면 싱거워서 못 먹고, 낱낱이 그러한 주변 경계(境界)에 끄달리게 되고 흔들림을 받게 되는 것은 그 자신이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단(疑團)이 몰록 발(發)하지를 않기 때문에, 그래서 그러한 모든 경계가 눈에 들어오고 귀로 들어오고 몸으로 들어오고 마음으로 들어와서 이리 끄달리고 저리 끄달리고, 그러한 상태에서 석 달을 지낸들, 또 30년을 지낸들, 내지 일생을 지낸들 어떻게 도업(道業)을 성취할 수가 있겠습니까?
부처님의 그 시자(侍者)를 지낸 아란존자(阿難尊者)는 부처님께서 성도(成道)하신 날 태어나서, 아란존자가 스물다섯에 출가(出家)를 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시운다섯(55세)이시고 아란존자는 스물다섯에 출가했는데, 그 아란존자는 속가(俗家)로는 부처님 사촌동생이시고, 출가해 가지고서는 부처님 제자가 되셨는데, 부처님께서 일생 동안 설하신 모든 법문(法門)을 한 귀절도 빠짐없이 조르르르 다 기억을 해서 부처님 열반(涅槃)하신 뒤 제일회(第一會) 결집(結集)을 할 때, 아란존자가 그 부처님의 법문을 전부 외어서 그래 가지고 그 결집을 했던 것입니다.
그 아란존자(阿難尊者)는 과연 어떻게 해서 그렇게 기억력(記憶力)이 좋아 가지고 부처님 일대(一代) 소설(所說)을 다 그렇게 외워 바칠 수가 있느냐 하면, '부처님께서 법문을 설하실 때에 얼마만큼 골똘하게 정성스럽게 청법(聽法)을 했냐?' 좋은 일화(逸話)가 있습니다.
아란존자가 등창이 났었는데 기파(耆婆) 대감이 그 등창을 수술하게 되었습니다. 그 수술을 하기 위해서 아란존자를 기둥에다가 묶어 매고 여러 사람이 팔다리를 잡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아란존자는 그렇게 할 필요가 없고 그 묶지 말고 그냥 수술을 해도 좋다고 하니까, 기파 대감은, "도저히 그럴 수는 없습니다. 칼로 등을 째는데 아무리 참을라고 한다고 해서 그 아픈 것을 참을 수가 없고, 몸을 움직이게 되면은 수술하는데 막대한 지장이 있으니까 묶어 매야 합니다" 헌게,
"묶어 매지 말고, 내가 부처님 설법하실 때, 부처님 설법(說法)을 들을 때에 그때 내 등을 수술을 하라" 이렇게 말을 했습니다.
그 말을 듣고 기파 대감이 부처님 설법할 때에 아란존자 등으로 가서 그 등 수술을 마쳤습니다.
법문이 다 끝난 다음에 아란존자가 기파 대감을 향해서, "아, 내가 법문 들을 때 수술을 하라고 했는데 왜 수술을 안 했소?" 하고 물어보니까, "수술은 이미 해 마쳤습니다" 헌게, "아, 그래야" 하고.
얼마나 골똘하게 부처님 법문을 들었으면, 칼로 등을 째고 수술을 하고 고름을 짜낸대도 그 아픈 것을 몰랐겠습니까? 그만큼 골똘히 들었기에 부처님께서 일생 동안 설하신 법문을 한 귀절도 잊어버리지 않고 그것을 다 기억을 하실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한 그 아란존자와 또 부처님과의 전생(前生)은 어떻게 되었느냐 하면, 저 무량아승지겁(無量阿僧祗劫) 전에는 아란존자와 부처님과는 도반(道伴)이었었습니다.
함께 도(道) 닦는 아주 다정한 도반이었었는데, 부처님께서는 정말 아주 철저하게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하셔서 온전히 아주 활구참선만을 하셨는데, 아란존자는 자꾸 경(經)을 좋아했습니다. 경 보기를 좋아하고 경 외우기를 좋아하고 항상 책을 가까이 하고 이랬습니다.
그것이 생(生)을 거듭하면서도 계속 아란존자와 부처님은, 부처님 태어나실 때마다 아란존자도 항시 같이 이렇게 태어나서 또 도를 닦고 그렇게 여러 생을 그렇게 내려오셨는데, 부처님께서는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해서 중생교화(衆生敎化)를 하시게 되었는데 아란존자는 부처님의 제자로서 부처님의 설법하신 것을 기억을 해 가지고 결집(結集)을 하는 그러한 소임을 맡으시게 된 것입니다.
물론 크게 보면 십대제자(十大弟子)와 삽삼조사(卅三祖師)가 전부 다 과거에 다 불보살이 부처님의 불법(佛法)을 갖다가 조불양화(助佛揚化)하기 위해서 짐짓 그 제자의 탈을 쓰고 제자로서 나타나서 부처님의 법(法)을 전통하신 것이라고도 말할 수가 있지마는,
같은 도반으로서 같이 공부를 시작했어도 '그 사람이 얼마만큼 철저하게 정진을 하느냐? 활구참선만을 위해서 몸과 목숨을 바치고 철저히 하느냐?'
여기 가서 이 법문 듣고 저기 가서 저 법문 듣고, '금강경(金剛經)이 좋다' 하면 금강경을 독송(讀誦)하고, '법화경(法華經)이 좋다' 하면 법화경을 독송하고, '유마경(維摩經)이 좋다' 하면 유마경을 독송하고, '무엇이 좋다' 하면 이것도 저것도 하니까, 이 고루고루 하면 다 참 좋은 걸로 그렇게 생각을 하지만,
이 도(道)는, 특히 근기(根機)가 하열(下劣)한 이 중근기(中根機) 하근기(下根機)는 외골수로 한 길만을 위해서 몸과 목숨을 옴막 다 바쳐서 정진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하열한 근기로 짧은 인생에 있어서 도업(道業)을 성취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아까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도 들었습니다마는, '대의지하(大疑之下)에 필유대오(必有大悟)다, 큰 의심 아래 크게 깨닫는다. 적게 의심하면, 의심이 작으면 작은 깨달음을 얻고, 큰 의심을 가지면 큰 깨달음을 얻고, 의심을 전혀 아니하면 깨달음을 얻지 못한다' 이러한 법문이 있습니다.
지끔 참선이 매우 널리 그 관심을 받게 되어서 승속(僧俗) 간에 이 참선에 대해서 모다 관심을 갖고 모다 하려고 하고 있고 거기에 따른 많은 책도 나오고 그랬습니다마는, 이 활구참선은 정말 제일 간단하고 하기가 쉬운 것인데, 실제에 있어서는 활구참선을 여법(如法)하게 하는 사람이 그렇게 흔치를 않습니다.
왜 그러냐?
천칠백 공안을, 전부 다 이 공안(公案)이 생겨날 때에는 부처님과 조사(祖師) 간에 그 법(法)을 거량(擧揚)해서 그 법을 거량하는 그 기연(機緣)이, 어떠한 기회(機會)에 그 공안이 생겨났으므로, 그러한 기연을 잘 알고 또 그 공안을 이리저리 따지고 그렇게 해서 그럴싸한 어떤 해답을 얻으면 썩 재미가 있는 것입니다.
그 재미에 팔려서 공안을 이리저리 따져서 수수께끼 풀듯이 그것을 풀고, 그것을 뭐라고 대답하면 '옳다' 하고 일러주고, 또 다른 공안을 또 주어서 그 공안을 가지고 며칠이고 몇 달이고 그 애를 써서 궁리를 하고 따져서 그럴싸한 답을 얻어서 '이것이다' 하고 그러면, '그러면 옳다' 그렇게 해서 또 한 공안을 통과를 하고, 또 그다음에도... 이런 식으로 해서 열 개, 스무 개, 오십 개, 백 개 이렇게 해 나가는 것입니다.
참 '누구는 오십 개가 통과했다, 누구는 백 개가 통과했다' 이래 가지고 그것 많이 통과한 것을 자랑으로 삼고, 그걸 많이 통과함으로써 많은 깨달음을 얻은 것처럼 본인도 착각을 하고 남에게 과시를 하고, 이러한 참선이 일본에 진즉부터서 수십 년, 백여 년, 몇백 년 전부터서 일본에서는 그러한 참선이 유행을 해 가지고 헌데, 그러한 참선이 우리나라로 역수입(逆輸入)이 되어 가지고 우리나라에서도 그러한 참선을 가리키고 배우고 하는 그러한 경향이 지금 유행을 하고 있는데.
이 임제종(臨濟宗) 조사문중(祖師門中)에 있어서는 차라리 아니할지언정 그러한 참선은 해서는 아니 되고, 차라리 깨닫지 아니할지언정 그러한 식에 깨달음을 요구(要求)해서는 아니 되는 것입니다.(처음~21분16초)
(2)------------------
왜그러냐?
깨달음이라 하는 것은 아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의리(義理)로 따지고 사량분별(思量分別)로 따져서 '아하, 이런 것이다' 하고 아는 것이라면 구태여 애써서 알 것이 없고, 수십 명 수백 명을 모아 놓고 계속 공안(公案)을 해설하는 강의(講義)를 한다면 그 강의를 들은 사람은 전부가 다 깨달음을 얻게 될 것입니다.
그러한 것이라면 뭣 하러 부처님께서 49년을 설하시며, 역대조사(歷代祖師)가 어떻게, 조사 밑에 이미 다 한 중생도 남음이 없이 전부 다 깨달라 마쳐 버렸을 것입니다.
근데 가르쳐서 되는 것이 아니여. 배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니여.
부처님이나 조사가 깨달음을 그런 식으로 가리켜서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 도가 어렵다고 하며 깨달음이 귀하다고 하겠습니까? 깨달음은 가리킬 수 없는 것이고, 배울 수가 없는 것이여.
그러면 부처님과 조사는 무엇을 하셨냐 하면 깨닫는 방법, '어떻게 어떻게 하면 깨달을 수가 있다. 그러니 너희들이 그렇게 도를 닦아라'
깨닫는 것은 바른 방법으로 수행을 해 가지고 스스로 깨달을 수밖에 없는 것이지, 육신통(六神通)이 자재(自在)하신 부처님의 힘으로도 중생에게 가리켜서 깨닫게는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그 깨달음이라 하는 것이 소중한 것이고 깨달음을 위해서 수없는 목숨을 바쳐 온 것입니다.
여러분, 이 전강 조실 스님의 법문을 많이 들으셨고 또 이 용화(龍華) 이 법보전(法寶殿)에서 많은 법문을 들으신 분은 이미 그러한 사상이 철저해서 누가 뭐라 해도 그런 데에 흔들림을 받으시지는 않겠지만, 행여나 누가 그러한 말로써 유혹을 한다 하더라도 그런 데에 현혹되지 말고 한 생각이라도 바로 돌이켜서 알 수 없는 의심(疑心)을 거각(擧却)해 나가도록. 거기에서 업장(業障)이 저절로 소멸(消滅)이 되고 거기에서 확철대오할 수 있는 인연(因緣)이 성숙(成熟)되어 가는 것입니다.
앞으로 석 달 동안을 인제 한솥밥을 먹고, 이 한 도량(道場)에서 수행을 하시게 되는데, 모다 팔도(八道)에서 성(姓)도 다르고 피도 다르고 한, 그리고 오늘날까지 살아오는 여러 가지 생활 습관도 다르고, 그런 이 그렇게 다른 그러한 도반(道伴)들이 한 방에서 같이 생활을 하시게 되는데,
내 뱃속으로 난 자식, 한 뱃속에서 나온 형제간도 성격이 각각 다르고, 취미가 다르고, 습관이 다른데, 하물며 이렇게 성이 다르고 혈통이 다르고, 습관이 다르고 성격이 다른 사람들이 모였으니 무엇이 그렇게 다 마음이 잘 맞겠습니까?
그러나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몸과 목숨을 바쳐서 수행을 해 나가는 일불제자(一佛弟子)여. 그러기 때문에 모든 그러한 다른 것을 다 이해할 수가 있고, 그런 것을 다 초월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내 마음과 같다고 해서 그릇된 생각을 낸 것이 탐심(貪心)이요, 내 마음에 안 맞는 일을 당해 가지고 잘못된 생각을 일으키면 그것이 진심(瞋心)이요,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할 줄 모르는 생각을 어리석은 마음이라 했습니다마는,
한 방에서 거처(居處)할 때, 자기와 좀 뭣이 맞으면 그 사람하고 지나치게 가까워서 남 보기에 눈꼴 사납게 그렇게 지내고, 조끔 자기 마음에 안 맞으면 그 사람을 허물을 잡아서 이리저리 아주 눈을 흘기면서 '그 사람을 어떻게 하면 몰아낼까?' 이러한 아름답지 못한 생각을 가지고 석 달 동안을 지내게 된다면, 그것은 수행인(修行人)으로서 대단히 부끄러운 마음가짐이고, 그러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석 달 아니라 삼십 년을 지낸들 도에 들어갈 수가 없을 것입니다.
도(道)는 어쨌든지 평등심(平等心)을 가져야 도에 들어갈 수가 있다 했습니다.
좋은 사람에게도 좋게 하고, 내 마음에 안 맞은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도 좋게 하고, 그래서 모두 평등한 마음, 미워하고 이뻐하고 하는 그러한 차별심(差別心)을 갖지 말고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마음으로 서로 도반을 상대하면서 그렇게 해야 합심(合心)이 되고, 화합이 되고 자연히 한 대중이 견성성불한—한 사람도 낙오자(落伍者)가 없이 견성성불(見性成佛)할 수 있는, 그래서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면서 그래서 도업(道業)을 성취할 그러한 도반(道伴)이 되고 그러한 도량(道場)이 되는 것입니다.
좋은 도반(道伴)은—내가 좋은 도반이, 좋은 수행인이 되어야 자연히 좋은 도반이 모이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가 신심과 분심과 의심이 투철하지 못하고서 그리고서 맨 '도반, 좋은 도반이 없다. 좋은 도반을 만날 수가 없다' 좋은 도반 만나지 못한 것을 그렇게 한탄을 해 봤자 미륵불(彌勒佛)이 하생할 때까지 지내도 좋은 도반을 만날 수가 없을 것입니다.
자기가 신심(信心)이 철저하고, 자기가 분심(憤心)이 철저하고, 자기가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여법(如法)하게 수행을 한다면 간 곳마다 좋은 도반이 전후좌우로 모다 모이게 될 것입니다.
좋은 도반을 만나야 공부는 자연히 되어 가는 것입니다.
내가 어쩌다가 습기(習氣)가 동(動)해서 타락을 하거나, 해태굴(懈怠窟)에 빠질 뻔, 그러한 위기가 닥쳐온다 하더라도, 좋은 도반이 앞에 뒤에 옆에 많이 있으면 그 도반이 나를 가만 놔두지 않습니다. 대번에 충고해서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면서 끌고가지 나를 버리고 가겠습니까?
언젠가도 말씀을 드렸습니다마는, 아란존자가 가만히 생각해보니, '참 좋은 도반(道伴)을 만나서 공부한 것은 도(道) 절반(折半)은 이룬 것이나 다름이 없다'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 그것을 여쭈어서 그것을 확실히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부처님께 가서 여쭈어보니, "니 생각이 잘못이다" 이렇게 대답을 하셨습니다.
그래 아란존자는 깜짝 놀랬습니다. '좋은 도반을 얻어서 같이 수행한 것은 절반은 도를 이룬 것이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너무 과했구나' 그리 생각했는데,
부처님께서는 "너의 생각이 잘못이다. 좋은 도반을 얻은 것은, 좋은 도반을 만나서 같이 도를 닦은 것은, 절반 도를 이룬 것이 아니라 도(道) 전부(全部)를 이룬 것이나 다름이 없느니라" 부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러시고서 대중(大衆)을 운집(雲集)을 해서 그 「좋은 도반(道伴)」에 대한 법문(法門)을 하시면서, "너희들은 얼마나 다행한 일이냐, 나와 같은 도반을 가졌으니 너희들은 얼마나 다행한 일이냐!" 이러한 법문을 하셨습니다.
좋은 도반은 자기한테 있습니다. 좋은 도반은 어디에도 있는 것이며, 언제라도 있는 것입니다.
자기가 발심(發心)을 못하고, 자기가 여법(如法)하게 수행을 못하기 때문에 자기 눈에 도반이 보이지를 않는 것입니다. 발심하고 분심 내서 공부를 한다면, 도반은 도처(到處)에 있는 것이고 선지식(善知識)도 도처에 계시는 것입니다.
서리 치는 달밤에 우는 잔나비 소리나, 봄 동산에 피는 울긋불긋한 꽃이 전부 다 부처님에 설법(說法)이요 보살화현(菩薩化現)이며, 온 사바세계에 생로병사(生老病死)와 성주괴공(成住壞空)에 이 무상(無常)한 모든 기멸(起滅) 현상이 전부가 다 나에 도반이요, 나에 선지식이요, 나에 살아계신 부처님인 것입니다.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병인년 이 석 달을 정말 알뜰하게 정진을 하셔서 다른 도반들을 위해서 내 자신이 좋은 도반이 되어 주고, 그러한 마음을 가지고 물심양면(物心兩面)으로,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정말 내 마음을 비우고서 철저하게 정진(精進)을 하고 대중을 위해서 항상 이 봉사하는 마음, 보시하는 마음, 불공(佛供) 드리는 마음으로 자기의 소임을 다하고, 항상 부처님을 모시고 시봉(侍奉)하는 마음으로 정진을 해 나간다면, 정말 금년 이 병인년 여름 안거야말로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을 요달(了達)할 수 있는 그러한 뜻깊은 한철이 되어 주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학자(學者)가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하되, 활구(活句)—말 길이 끊어지고, 이치 길이 끊어지고, 더듬어 알아들어 갈 것이 끊어져서, 그 공안(公案)을 마치 불덩어리와 같이 생각을 해.
큰 불덩어리는 가까이 가면은 내 몸이 순식간에 타버릴 것입니다. 그래서 이 불덩어리라 하는 것은, 큰 무서운 큰 불덩어리는 도저히 가까이 갈 수가 없어. 가까이만 갔다 하면은 찰나간에 옷에 불이 붙고 얼굴이 확 타버릴 테니까.
그래서 이 공안 앞에는 무불법조착지처(無佛法措着之處)여. '부처다, 법이다' 그러한 소견(所見)을 거기다 갖다가 붙일 수가 없는 것이여.
다만 알 수 없는 큰 의심! 의심(疑心)만이 독로(獨露)해서 그 의심이 어떻게 간절(懇切)하던지 하늘에 뻗질러.
이렇게 하루하루를 야무지게 단속(團束)을 해 나가면, 그렇게 해서 일구월심(日久月深)하면,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간에 그렇게 간절하게 간절하게 단속을 해 나가면,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저절로 떠억 현전(現前)하게 될 때가 오는 것입니다. 그때 성성(惺惺)하고 적적(寂寂)한 그 경계는 말로써 표현을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한 경지(境地)가 온다 하더라도 기뻐하는 마음을 내지 말고, 중단함이 없이 딴생각 내지 말고 계속해서 알뜰히 잘 단속을 해 나가면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할 때가 오는 것입니다.
의단(疑團)을 타파(打破)해. 통 밑구녘 빠진 것처럼 의단을 타파하면, 백천법문(百千法門)과 무량묘의(無量妙義)를 구(求)하지 아니해도 일찰나(一刹那) 간에 확연(廓然) 터득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역대조사(歷代祖師)가 다 그렇게 해서 대도(大道)를 성취하신 증거가 낱낱이 다 분명(分明)한 것이니, 조급한 생각을 먹지 말고, 두려운 지루한 생각도 먹지 말고, '공부가 잘된다, 못 된다' 이러한 생각도 내지 말고,
조끔 잘된다고 좋아하는 마음도 내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답답하고 영 공부가 잘 안되고 화두가 들리지를 않고 그렇다 하더라도 번뇌심(煩惱心)을 내지 말고, 한 생각 한 생각을 알뜰히 단속해 나가서 석 달 동안이 아주 하루같이 이렇게 해주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운변천첩장(雲邊千疊嶂)이요 난외일성천(欄外一聲川)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약불연순우(若不連旬雨)인댄 나지제후천(那知霽後天)이리오
나무~아미타불~
운변천첩장(雲邊千疊嶂)이요 난외일성천(欄外一聲川)이다.
구름 가에는 천첩(千疊), 천 겹이나 쌓인 산이요, 울타리 밖에는 한 소리 시냇물이더라.
구름이, 구름이 자욱이 낀 밖에는 천첩(千疊)이나 쌓이고 쌓인 산이 둘러싸여 있고, 담장, 울타리 담장 밖에는 한 시냇물이 소리를 내면서 흘러가고 있더라.
약불연순우(若不連旬雨)하면, 만약 열흘이 넘도록, 열흘 동안이나 계속해서 비가 오지 아니했다면,
나지제후천(那知霽後天)이리오. 어찌 비 개인 뒤에 저 새파란 하늘을 볼 수가 있겠는가.
열흘 동안이나 지루한 장마가 계속이 되어서 비가 와서 구름이 꽉 끼었다가 그 구름이 쏵 벗거지니까 정말 새파랗게 트인 하늘을 이렇게 감상 깊게 볼 수가 있더라.
더운 여름, 정말 애써서 정진을 하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아니하고 정말 알뜰히 알뜰히 정진을 하면, 석 달이 지난 뒤 7월 해제(解制)가 되어서 정말 새파란 고운 하늘을 보게 될 것입니다. (21분16초~42분10초) (끝)
[법문 내용]
(게송)원제상야월~ / 모든 경계에 즉(卽)해서 화두(話頭)를 거각(擧却)해야 / 대분심(大憤心)과 대신심(大信心)과 대의정(大疑情)이 돈발(頓發)해야 / 아란존자는 부처님 법문을 들을 때에 등 수술을 했는데, 골똘히 듣느라 수술하는 줄 몰랐다 / 이 도는 몸과 목숨을 옴막 다 바쳐서 정진을 해야 도업(道業)을 성취할 수가 있는 것 / 대의지하(大疑之下)에 필유대오(必有大悟).
깨달음이라 하는 것은 아는 것이 아니다 / 아는 것이라면 공안(公案)을 해설하는 강의(講義)를 한다면 전부가 다 깨달음을 얻게 될 것 / 깨달음은 가리킬 수 없는 것이고, 배울 수가 없는 것이다 / 부처님과 조사는 깨닫는 방법을 가리키셨다 / 도(道)는 평등심(平等心)을 가져야 도에 들어갈 수가 있다.
내가 좋은 수행인이 되어야 자연히 좋은 도반이 모이게 되는 것 / 부처님의 「좋은 도반(道伴)」에 대한 법문(法門), "좋은 도반을 만나서 같이 도를 닦은 것은, 절반 도를 이룬 것이 아니라 도(道) 전부(全部)를 이룬 것이나 다름이 없느니라" / 발심하고 분심 내서 공부를 한다면, 도반 선지식(善知識)은 도처에 계시는 것 / 서산(西山) 스님의 『선교석(禪敎釋)』 법문, 「學者所參活句 如一團火 近之則燎却面門 無佛法措著之處 只有大疑 如烈焰亘天 忽若打破漆桶 則百千法門無量妙義 不求而圓得也」 / (게송)운변천첩장~.
〇눈으로 무엇을 볼 때나, 귀로 무슨 소리를 들을 때나, 어느 곳 어느 때에 무엇을 하고 있던지 간에, 바로 그 곳, 그 때에 즉(卽)해서 화두(話頭)를 거각(擧却)하는 것입니다.
중생(衆生)은 들으면 듣는 데에 쫓아가고, 무엇을 보면 보는 데에 끄달리는데, 이 참선(參禪)하는 사람은 무슨 색상(色相)이 눈에 보이면 보이자마자 바로 거기에서 자기 본참화두(本參話頭)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무슨 소리를 들으면 듣는 데에 쫓아가지 말고, 그 듣는 것을 버릴려고 하지도 말고, 바로 그 듣는 그곳에 즉(卽)해서 자기의 공안(公案)을 관(觀)하는 것입니다.
〇더우면 더워서 못하고 추우면 추워서 못하고, 밥이 되면 되아서 못 먹고 밥이 질면 질어서 못 먹고, 반찬이 짜면 짜다 못 먹고, 싱거우면 싱거워서 못 먹고, 낱낱이 그러한 주변 경계(境界)에 끄달리게 되고 흔들림을 받게 되는 것은 그 자신이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단(疑團)이 몰록 발(發)하지를 않기 때문에, 그래서 그러한 모든 경계가 눈에 들어오고 귀로 들어오고 몸으로 들어오고 마음으로 들어와서 이리 끄달리고 저리 끄달리고, 그러한 상태에서 석 달을 지낸들, 또 30년을 지낸들, 내지 일생을 지낸들 어떻게 도업(道業)을 성취할 수가 있겠습니까?
〇아란존자는 부처님 법문을 들을 때에 등 수술을 했는데, 골똘히 듣느라 수술하는 줄 몰랐습니다. 그만큼 법문을 골똘히 들었기에 부처님께서 일생동안 설하신 법문을 한 구절도 잊어버리지 않고 그것을 다 기억을 하실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〇'대의지하(大疑之下)에 필유대오(必有大悟)다, 큰 의심 아래 크게 깨닫는다. 적게 의심하면, 의심이 작으면 작은 깨달음을 얻고, 큰 의심을 가지면 큰 깨달음을 얻고, 의심을 전혀 아니하면 깨달음을 얻지 못한다'
〇깨달음이라 하는 것은 아는 것이 아닙니다. 의리(義理)로 따지고 사량분별(思量分別)로 따져서 '아하, 이런 것이다' 하고 아는 것이라면 구태여 애써서 알 것이 없고, 수십 명 수백 명을 모아 놓고 계속 공안(公案)을 해설하는 강의(講義)를 한다면 그 강의를 들은 사람은 전부가 다 깨달음을 얻게 될 것입니다.
그러한 것이라면 뭣 하러 부처님께서 49년을 설하시며, 역대조사(歷代祖師)가 어떻게, 조사 밑에 이미 다 한 중생도 남음이 없이 전부 다 깨달라 마쳐 버렸을 것입니다.
근데 가르쳐서 되는 것이 아니여. 배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니여. 부처님이나 조사가 깨달음을 그런 식으로 가리켜서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 도가 어렵다고 하며 깨달음이 귀하다고 하겠습니까? 깨달음은 가리킬 수 없는 것이고, 배울 수가 없는 것이여.
그러면 부처님과 조사는 무엇을 하셨냐 하면 깨닫는 방법, '어떻게 어떻게 하면 깨달을 수가 있다. 그러니 너희들이 그렇게 도를 닦아라'
깨닫는 것은 바른 방법으로 수행을 해 가지고 스스로 깨달을 수밖에 없는 것이지, 육신통(六神通)이 자재(自在)하신 부처님의 힘으로도 중생에게 가리켜서 깨닫게는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그 깨달음이라 하는 것이 소중한 것이고 깨달음을 위해서 수없는 목숨을 바쳐 온 것입니다.
〇내 마음과 같다고 해서 그릇된 생각을 낸 것이 탐심(貪心)이요, 내 마음에 안 맞는 일을 당해 가지고 잘못된 생각을 일으키면 그것이 진심(瞋心)이요,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할 줄 모르는 생각을 어리석은 마음이라 했습니다.
〇도(道)는 어쨌든지 평등심(平等心)을 가져야 도에 들어갈 수가 있다 했습니다.
좋은 사람에게도 좋게 하고, 내 마음에 안 맞은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도 좋게 하고, 그래서 모두 평등한 마음, 미워하고 이뻐하고 하는 그러한 차별심(差別心)을 갖지 말고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마음으로 서로 도반을 상대하면서 그렇게 해야 합심(合心)이 되고, 화합이 되고 자연히 한 사람도 낙오자(落伍者)가 없이 견성성불(見性成佛)할 수 있는, 그래서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면서 그래서 도업(道業)을 성취할 그러한 도반(道伴)이 되고 그러한 도량(道場)이 되는 것입니다.
〇좋은 도반(道伴)은—내가 좋은 수행인이 되어야 자연히 좋은 도반이 모이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가 신심과 분심과 의심이 투철하지 못하고서 그리고서 맨 '도반, 좋은 도반이 없다. 좋은 도반을 만날 수가 없다' 좋은 도반 만나지 못한 것을 그렇게 한탄을 해 봤자 미륵불(彌勒佛)이 하생할 때까지 지내도 좋은 도반을 만날 수가 없을 것입니다.
자기가 신심(信心)이 철저하고, 자기가 분심(憤心)이 철저하고, 자기가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여법(如法)하게 수행을 한다면 간 곳마다 좋은 도반이 전후좌우로 모다 모이게 될 것입니다.
〇부처님의 「좋은 도반(道伴)」에 대한 법문(法門), "좋은 도반을 만나서 같이 도를 닦은 것은, 절반 도를 이룬 것이 아니라 도(道) 전부(全部)를 이룬 것이나 다름이 없느니라"
"너희들은 얼마나 다행한 일이냐, 나와 같은 도반을 가졌으니 너희들은 얼마나 다행한 일이냐!"
〇좋은 도반은 자기한테 있습니다. 좋은 도반은 어디에도 있는 것이며, 언제라도 있는 것입니다. 자기가 발심(發心)을 못하고, 자기가 여법(如法)하게 수행을 못하기 때문에 자기 눈에 도반이 보이지를 않는 것입니다. 발심하고 분심 내서 공부를 한다면, 도반은 도처(到處)에 있는 것이고 선지식(善知識)도 도처에 계시는 것입니다.
서리 치는 달밤에 우는 잔나비 소리나, 봄 동산에 피는 울긋불긋한 꽃이 전부 다 부처님에 설법(說法)이요 보살화현(菩薩化現)이며, 온 사바세계에 생로병사(生老病死)와 성주괴공(成住壞空)에 이 무상(無常)한 모든 기멸(起滅) 현상이 전부가 다 나에 도반이요, 나에 선지식이요, 나에 살아계신 부처님인 것입니다.
〇서산(西山) 스님의 『선교석(禪敎釋)』 법문, 「學者所參活句 如一團火 近之則燎却面門 無佛法措着之處 只有大疑 如烈焰亘天 忽若打破漆桶 則百千法門無量妙義 不求而圓得也」
학자의 참구하는 활구(活句)는 마치 한덩어리의 불을 가까이하면 곧 얼굴을 태우는 것과 같아서 불법(佛法)을 둘 곳이 없는 것이니('부처다, 법이다' 그러한 소견을 거기다 갖다가 붙일 수가 없는 것이니), 다만 뜨거운 불꽃이 하늘에 뻗치는 것과 같은 큰 의심이 있어서 문득 칠통(漆桶)을 깨뜨려 버리면 백천(百千)의 법문과 한량없는 묘한 이치는 구하지 않아도 원만히 얻어질 것이다.
'301~400 > (301~3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324)—1987년 신수기도 회향(87.02.06) (50분) (0) | 2021.11.11 |
---|---|
((No.325))—1987년 동안거 해제 법회(87.02.12) (37분) (0) | 2021.04.14 |
((No.314))—1986년(병인년) 동안거 결제(86.11.16) (71분) (0) | 2020.12.29 |
(No.306)—1986년 8월 화두 불명 수계 법어(86.08.03) (62분) (0) | 2020.09.27 |
(No.321) — 1987년 2월 첫째 일요법회(87.02.01) (용321) (59분) (1) | 2019.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