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512))—1993년 하안거해제 및 백종, 백일기도회향(93.09.01) (59분)
(1/3) 약 22분.
(2/3) 약 20분.
(3/3) 약 18분.
(1/3)----------------
당하지귀아시수(當下知歸我是誰)오 의정거처요분명(疑情擧處要分明)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막파심량중복탁(莫把心量重卜度)하라 혜등호향풍전속(慧燈好向風前續)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당하지귀아시수(當下知歸我是誰)오, 당하(當下)에, 즉하(卽下)에 ‘내가 이 누군가?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가?’ 이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그 말이여.
의정거처요분명(疑情擧處要分明)이다. ‘이뭣고?’ 이 의정(疑情) 일어나는 곳에, 화두를 척! 들어 일으키는 곳에 분명(分明)함을 요하느니라.
막파심량중복탁(莫把心量重卜度)하라. 마음으로 헤아리고 이리저리 점치고 따지고 그러지를 말아라 그 말입니다.
혜등호향풍전속(慧燈好向風前續)이니라. 지혜의 등불을 바람 앞을 향해서 잘, 꺼지지 않도록 이어갈지니라.
오늘은 계유년 음력 7월 15일 하안거 해제날이고 또 백중날입니다.
하안거 해제는 석 달 동안 안거(安居)를 해서 오늘 해제를 하는데 용주사 · 위봉사 · 세등선원 각처(各處)에서 정진(精進)을 하던 도반들이 오늘 용화선원에 모여서 함께 이 해제 법요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석 달 동안 그 더위와 혼침(昏沈)과 산란(散亂)과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그것을 극복하면서 정진을 한 그 도반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해제 법요식을 갖는다고 하는 것은 대단히 뜻깊은 날인 것입니다.
그리고 오늘 7월 15일 해제를 기해서 백중(百中) 천도재를 거행하는데, 백중날이라 하는 것은 부처님 당시 목련존자(目連尊者)가 그 어머니 청제부인이 생전에 지은 죄로 지옥에 떨어져서 만반고통(萬般苦痛)을 받고 있을 때 그 어머니를 구제하기 위해서 갖은 정성을 다했지만, 목련존자의 그 신통술로도 어찌하지 못해서 그래서 부처님께 간절히 “우리 어머니를 천도(薦度)해 주십시오. 저 무서운 지옥고로부터서 벗어나게 해 주십시오” 간청을 했습니다.
“그 어머니를 구제하는, 아귀도 지옥고에서 백 가지 고통을 받고 있는 그 어머니를 구제하는 방법은 해제날 대중공양을—백 가지 과일과 맛있는 음식을 장만해 가지고 해제에 모인 대중 스님들께 공양(供養)을 올려라. 그럼으로써 그 공덕으로 너의 어머니가 지옥고로부터 구제를 받을 수가 있느니라”
이렇게 해서 그때부터서 삼천년이 되도록 인도 · 동남아 · 중국 · 한국 · 일본, 이렇게 내려오면서 7월 15일 백중날, 지옥고에 신음하고 있는 선망부모(先亡父母)를 천도하는 전통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 이 용화선원 부처님 앞의 탁자에도 신남신녀(信男信女) 여러분들의 정성 어린 공양구(供養具)가 많이 쌓여져 있습니다.
모르는 분은 영가(靈駕) 위패(位牌) 앞에 많이 차려놓고 영가들을 위해서 '영가들 훈감하라'고 이렇게 많이 갖다 놓은 걸로 착각을 하고 계신 분도 있겠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첫째, 부처님께 올리고 그다음에는 대중 스님네께 올리고 또 여기에 모이신 여러분들도 공양하고, 이러한 공양(供養)인 것입니다.
그리고 이 7월에는 해제 때를 기해서 전국 각 사암(寺庵)에서 또 방생(放生) 법도 많이 행하는데, 이 방생이라 하는 것도 대단히 뜻이 깊은 것이어서 ‘죽어가는 생명을 놓아준다’ 그래서 방생이라 그러는데. 방생에는 흔히 자라나 잉어 등 어류(魚類)를 많이 사 가지고 그래 가지고 강물이나 호수나 그런 데에다 모다 많이 놔주고 그러는데.
전강 조실 스님께서도 생존(生存) 시에 많은 방생을 하셨습니다. 차떼기로 엄청난 고기를 갖다가 사서 방생을 하시고 몇백 관(貫)씩 이렇게 하셨는데, 마땅히 조실 스님의 법을 신(信)하는 우리로서는 조실 스님의 그런 행하시던 좋은 일을 본받아서 우리 용화선원에서도 방생 법회를 갖음직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전강 조실 스님 열반(涅槃)하신 뒤로 방생을 하지 안 하고 20년의 세월이 지났습니다. '왜 그 방생을 하지 않았냐? 마땅히 그런 좋은 것을 왜 안 하고 있나?' 신도들로부터 종종 요청도 있었고 그런 질문도 받았습니다마는.
원래 방생의 뜻이 죽어 가는 사람, 죽어 가는 동물—비단 꼭 물고기뿐만이 아니라 육지에서 사는 동물, 하늘에 나르는 새, 무엇이고 죽어 가는 생명을 살려주는 것이어서 그것은 어디까지나 생명을 존중히 여기는, 나아가서는 그래서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자비심, 자비 종자(種子)를 잘 증장을 시키고, 그래서 어떠한 종류의 생명이라도 그 생명 자체는 고귀하고 소중한 것이라 ‘자기도 죽이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죽어 가고 있는 그러한 생명을 그걸 놔주자, 죽지 않도록 해 주자’는 데 그 깊은 뜻이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정월 해제라든지, 7월 해제를 기해서 전국 사찰에서 방생을 한다 해 가지고 며칠 전부터서 고기 장수에게 부탁을 해 가지고 ‘자라를 이백 마리, 잉어를 몇백 마리 그리고 뭐 미꾸라지를 몇백 관, 이렇게 어김없이 그날 잡아다가 놔라’ 이렇게 미리 계약을 해 가지고, 그 고기 장수는 그날 그만한 양을 대기 위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작살로 자라를 찍고, 그물로 고기를 잡고 해 가지고 그것을 충당하기 위해서 애를 씁니다. 그래서 그전에 더러 보면 자라 등어리에 작살이 찍힌 자죽이 있는 자라도 보았습니다.
그 자라들이 입이 있어서 말을 한다면 또는 그런 잉어나 고기들이 사람에게 말을 할 수 있다면, “우리는 방생 법회인가 뭐 그것 때문에 이렇게 등어리에 작살을 찍히고 우리는 이렇게 곤욕(困辱)을 치르고 있습니다” 하고 스님네한테 원정(原情)을 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우연히 강변에를 갔다든지, 우연히 바닷가를 갔다든지 해서 ‘자라가 잡혀서 죽게 된다 또는 잉어가 죽어 가게 되었다’ 이럴 때에 자기에게 있는 돈을 털어서 사 가지고 그래 강에다도 놔주고, 바다에다도 놔준다면 그건 대단히 좋은 방생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흥부(興夫)가 우연히 제비 새끼가 떨어져서 발목이 부러져서 버르적거리고 있는데 그걸 가는 실로 잘 짬매서 약을 발라서 그걸 나꾸어 가지고 날려 주어서 그래서 (제비가) 박씨를 물어다 주어 가지고 그렇게 엄청난 부자가 되었다니까, 그 형 놀부는 멀쩡한 제비를 후려잡아 가지고 다리를 부질러 가지고 그놈을 짬매서 날려 주어 가지고, 그 참 엄청난...
그 재미있는 내용의 흥부전(興夫傳)을 여러분도 봐서 아시겠지만, 마치 전국 사찰에서 행하는 방생 법회라 하는 것이 놀부가 하는 그러한 식의 방생이 된다면, 방생의 참뜻이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지 아니하면 아니 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전강 조실 스님 생존 시에 제가 조실 스님께도 말씀드렸는데 “그런 고기를 몇백 관씩 차떼기로 해서 방생을 하신 것도 참 좋은 일인데, 우선 대중 가운데에 병 있는 대중에게 약을 먹이고 병을 치료해 준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이런 말씀도 여쭈었는데, “누가 아프냐?”
“아무개가 치질로 앓고 있습니다”
“그럼 진즉 나한테 말하지, 말을 않으니 내가 치질을 앓는지, 치통을 앓는지 내가 알 수가 있냐? 왜 너는 나를 무자비한 사람을 만드느냐” 이렇게 해서 꾸지람을 들은 기억이 지금도 납니다마는.
여러분들도 방생은 7월 백중이나 정월 보름을 기해서 정기적으로 행사로써 그렇게 방생하는 방생보다는 항상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날짜를 정하지 않고서 언제라도 죽어 가는 그런 생명이 있으면 살려주고, 사람도 병들어서 돈이 없어서 죽게 된다든지 그런 사람이 있으면은 그럴 때에 우연히 자비심이 발동이 되어 가지고 그렇게 행해져야 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하기는 연전(年前)에 '외국 화물선을 타고 저 남미를 가는데, 갑판에 올라가서 그 선원이 바람을 쐬다가 발을 헛디뎌서 바다에 떨어져서 밤중에 영락없이 죽은 줄로 그렇게 생각을 했는데, 그 배가 짐을 풀고 다시 돌아오면서 보니까 저만큼 바다에 까마니 무엇이 떠다닌 것이 보여서 그래 망원경으로 보니까 그 전날 물에 빠져서 죽은 줄 알았던 사람이 물에서 떠다닌다 그 말이여. 그래서 가까이 가서 보니까 큰 거북이를 타고 해상에 이렇게 떠돌고 있어서 그래서 건져 냈다. 알고 보니 그 선원의 어머니가 신심이 있어서 항상 방생을 행했다. 자라도 많이 놔줬다' 이런 이야기도 신문에 난 것을 봤습니다.
그리고 옛날에 어떤 사람은 음식점을 하는데 파리 한 마리도 안 죽였어. 그리고 음식에 혹 파리가 빠지더라도 그것을 좋게 건져서 습기를 제거해 가지고 날려 주고. 그 음식점을 하니 얼마나 많은 파리가 성가시게 했겠습니까마는, 될 수 있으면 한 마리의 파리도 죽이지 않고 그렇게 날려 주었다.
그런데 그 사람이 어떤 죄에 혐의로 잡혀 들어가 가지고 영락없이 살인 혐의(嫌疑)를 받아 가지고 그렇게 죽게 되었는데, 판사가 '사형(死刑)'이라고 이렇게 판결문을 쓰려고 하면 붓 끄터리에 파리들이 모여들어서 글씨를 도저히 쓸 수가 없어. 그래서 그 파리를 내키고 다시 쓰려고 하면 또 모여들고 모여들고 그래서 그 사람 보고 “평소에 네가 파리와 무슨 관계가 있느냐?”
“저는 별거 없고 음식점을 하는데 약허약허했었다” 그런 말을 했습니다.
그래서 '파리 한 마리의 목숨도 소중히 여기고 죽이지 않는 사람이 어찌 사람을 죽였겠느냐?' 다시 여러 가지로 심사를 해 가지고 알아본즉 모략에 의한 애매한 혐의로 잡혀왔다는 것을 알아서 석방이 된 그런 일도 있었고.
어떤 사람은 몸에—요새는 약이 많이 발달이 되어 가지고 '이[蝨]'를 구경할래야 할 수가 없지만, 옛날에는 몸에 '이'가 없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이'가 드글드글했었습니다.
그럴 때에도 '이'를 죽이지 않고, ‘이[蝨]도 저도 살라고 이 세상에 나왔는데 그걸 뚝뚝 죽일 수가 있느냐’ 해서 '이'도 안 죽이고 항상 가려우면 슬슬 긁고 그렇게 살았는데, 어떤 원결(怨結) 관계가 있어 가지고 그 사람이 자고 있을 때 자객이 칼을 품고 들어가서 그 사람을 죽이려고 보니까, 가슴에 벌써 누가 한 걸음 먼저 와서 가슴을 찔러서 죽였다 그 말이여. 벌거니. 그래서 칼을 들고 찍을려다가 도로 가버렸어.
그런데 사실은 그 몸 안에 있던 '이'들이 전부 스스로 부딪치고 해 가지고는 몸에 있는 피를 터뜨려 가지고 마치 칼에 찔린 것처럼 그렇게 보여서 '이'들이 그 사람의 생명을 보호했다. 그러한 설화도 전해오고.(처음~21분39초)
(2/3)----------------
또 어떤 큰 부자는 집안에 어떻게 쥐가 많던지 창고에도 몇백 마리가 드글드글 끓고, 온 집안에도 쥐 때문에 살 수가 없을 정도로 그렇게 많았는데, 다른 사람들은 ‘쥐덫을 놔라. 쥐약을 놔라’ 모다 그랬지만 “아니다. 저 쥐들도 나와 인연이 있어서 우리집에 와서 사니, 쥐가 아무리 많이 먹는다 해도 사람 먹을 것은 남겠지. 죽이지 말라” 해 가지고 살렸는데, 하루는 쥐들이 수백 마리가 마당에 모여 가지고 쥐들이 춤을 춘다는 거여. 그래서 온 집안 식구가 나와서 야단이여.
그래서 그 주인도 그걸 구경하러 마당에 나와서 그걸 구경을 하는데, 나오자마자 대들보가 부러져 가지고 집이 왕창 가라앉았다 그 말이여. 그 주인이 쥐들의 춤을 구경하기 위해서 나오지 않았으면은 영락없이 대들보와 서까래에 깔려서 즉사(卽死)를 했을 것이다. 그런 쥐들도 자기네들의 생명을 그렇게 죽이지 않았다고 한 것에 대해서 은혜를 갚았다 이거거든.
이런 것으로 보면 쥐나 파리나 또는 몸의 피를 빨아먹는 '이'까지도, 하물며 영특한 자라라든지 용이 되어갈 잉어라든지 그런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그런 피를 빨아먹고 사는 '이' 같은 그런 작은 존재도 자기의 생명의 은혜를 알더라 그거거든.부처님 말씀에 「사람이나 동물이나 저 꿈적꿈적한 준동함령(蠢動含靈)까지라도 다 불성(佛性)이 있다」고 하시는 그 말씀이 이러한 설화를 통해서도 우리는 정말 믿어지는 것입니다.
사람 몸을 빨아먹는 '이'를 죽이고,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모기 또 변소에 가서 더러운 곳에 앉았다가 그 발에는 균이 드글드글할 텐데, 그 발로 밥상에 날아와서 앉고, 응당 인간의 건강을 위해서도 인간에 해를 끼치는 그런 해충을 약을 써서 구제(驅除)해야 할 수밖에는 없다고 생각하나,
그러나 그러한 작은 벌레도 자기가 살라고 하는 그 생명력, 스스로 그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는 그런 것은 우리가 깊이 생각해야 하리라고 생각하고, 그러한 벌레까지도 차마 죽이지 못하는 그러한 마음이 어찌 사람의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지 않겠습니까.
법정 스님의 수필집에 보니까, 모기가 가면서 그 며느리 보고 ‘오늘 내가 나가면은 어떤 모진 사람의 손바닥에 맞아서 내가 죽을는지도 모르고, 다행히 그렇지 않은 분을 만나면 다시 살아올는지도 모르나, 하여튼 잘 있거라’ 그리고 나갔다고 그러는데.
모기가 와서 붙어 가지고 피를 빨아먹으면 무의식 중에 탁! 쳐 가지고 죽이기도 하고 또 모기가 날랜 놈은 또 피해서 도망가기도 하겠는데, 정말 요새처럼 사람의 목숨이 파리 목숨만도 못하게 이렇게 함부로 취급을 당하는 세상은 일찍이 없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교통사고로도 날이면 날마다 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무슨 공사장에서도 실수로 많이 죽고, 비행기가 떨어져서 죽고, 기차가 가라앉아서 죽고, 자동차가 접촉 사고로 죽고 또 강도로 죽고, 자식이 애비를 죽이고 일가족을 죽이고 해서 날마다 사람이 죽이고 죽는 그러한 생명을 경시하는 그러한 세상이 되었습니다. 이것이 오늘을 사는 우리들은 정말 깊이 반성을 해야 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자기 목숨이 소중하면 다른 사람의 목숨도 소중한 것입니다. 인간의 목숨이 소중하면 동물의 목숨도 소중합니다. 자기의 목숨이 참으로 소중한 줄 안 사람은 남의 목숨도 소중히 여기는 것이고, 인간의 목숨이 소중한 줄 알면 동물의 목숨도 소중히 여길 줄 알아야 하고, 나아가서는 동물뿐만이 아니라 식물, 더 나아가서는 자연환경까지라도 정말 소중히 할 줄 알아야 그것이 바로 문화인이고, 그것이 바로 인간성을 바로 지닌 사람의 행위라고 생각이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歸依)해서 정법에 의지해서 도를 닦는 법보재자(法寶弟子) 여러분! 정말 생명이라고 하는 것은 소중한 것입니다.
아까 전강 조실 스님 게송(偈頌) 속에 ‘안비천말적유사(雁飛天末迹留沙)요, 기러기는 저 하늘갓으로 날아갔는데 기러기가 놀다 간 모래사장에는 발자죽만 남아 있고, 사람은 황천(黃泉)에 갔는데 그 이름만 집에 남아 있더라’(人去黃泉名在家) 그런 게송을 읊으셨는데, 정말 이 세상이라 하는 것은 명예나 권리나 재산이나 오욕락(五欲樂)이라고 하는 것은 정말 영원성이 없는 무상(無常)하고도 허망한 물거품 같은 것입니다.
그러한 것을 보다 더 자기가 많이 소유하고 갖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생명을 짓밟고, 다른 사람을 해롭게 하고 이러한 풍조가 만연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내가 그러면 다른 사람도 또 그렇게 되고 그러기 때문에 내가 다른 사람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지 아니하면 다른 사람도 내 생명을 소중히 여겨 주지 않습니다. 바로 이것이 자업자득(自業自得)인 것입니다.
산에다 대고 고함을 지르면 메아리가 돌아오게 되는 것처럼 내가 크게 소리를 지르면 메아리가 크게 돌아오고, 노래를 부르면 노래가 돌아오고, 좋은 말을 하면 그 메아리는 좋은 말로써 돌아오고, 산에다 대고 입에 못 담을 고약한 욕을 퍼부으면 메아리는 그런 무서운 욕으로 내게 돌아오는 것입니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는 메아리와 똑같은 것입니다. 서로서로 존중히 여기고 서로서로 따뜻하게 자비롭게 상대하면 상대방도 역시 또 나한테 그렇게 돌아오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우리가 살고 갈 이 세계를 보다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 우리만 살고 갈 뿐만 아니라 우리의 자손들이 살 이 세계를 보다 더 살기 좋은 세계로 만들어 놓고—자식들을 위해서 집은 좋은 집을 줄라고 하면서 정말 우리 모두가 살 이 세계는 어찌 피비린내 나는 수라장(修羅場)으로 만들어 놓고 자기집만 잘 단속하면 무슨 소용이 있는 것입니까.
그래서 오늘 백중날 방생을 할 생각이 있으신 분은—자기 아들이 꼭 외항선을 타는 선원이 된다면 거북이를 사서 바다에다 혹 넣고 싶은 생각이 나실는지 모르나, 방생의 참뜻을 깊이 이해를 하셔서 마음속에 자비심을 가져서, 항상 자비심(慈悲心)을 가지고 생명을 죽이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생명을 가진 사람이나 동물이나 자연에게도 자비로운 마음으로 상대하면 그것이 벌써 방생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꼭 죽어 가는 것을 찾아다니면서 ‘어디 자라 잡아서 죽이는 데 없나? 잉어 잡아서 죽일라는 거 없나?’ 그걸 찾으러 다닐 게 아니라, 집안에서 직장에서 또는 회사에서 사회에서 어디서 무엇을 하든지 항상 자비스러운 마음으로 모든 사람을 상대하고, 자기 마음속에 자비심을 항상 이렇게 일으키고 자비로운 말, 자비로운 행동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면 자라 천 마리, 만 마리를 사서 물에다 넣어준 것 못지않게 큰 공덕(功德)을 받게 될 것입니다.
금생에 태어나서 일생 동안 병치레만 하거나 또는 인생을 제대로 살지도 못하고 단명(短命)하게 죽거나, 본의 아니게 불의(不意)의 어떤 사고로 비명액사(非命縊死)를 한 거나, 이런 것이 다 우연한 결과가 아니고 과거에 우리가 지은 업(業)에 의해서 그러한 과보(果報)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장래에 있어서 또는 저 영원한 내세에까지라도 항상 건강하고 수명이 장수하고 그럴러면, 그리고 그런 비명액사를 당하지 않고 자기의 명(命)대로 행복하게 잘 살라면 방생을—경우에 다라서는 자라나 잉어나 그런 죽어가는 동물을 경우에 따라서는 그런 식의 방생도 하지마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기의 마음을 자비롭게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꼭 몽둥이나 총칼로 사람을 죽이는 것만이 죽이는 것이 아니고, 마음속에 미워하고 원망하고 저주하는 마음을 일으킬 때 이미 총칼보다도 무서운 살생(殺生)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말 가지고도 사람의 마음속에 깊은 상처를 주는 그런 악한 말을 하는 것도 역시 살생에 준하는 것입니다.
몸으로 때리고 치고 찌른 것, 말로써 사람을 그 마음속에 깊은 상처를 주는, 근심과 고통과 공포를 주는 그런 말도 역시 마찬가지고, 행동으로는 안 나타냈어도 속으로 미워하고 원망하고 죽일 생각을 하고, 저 사람이 오그라 죽기를 바라고 저주하는 것도 역시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오늘 우란분(盂蘭盆)의 역사에 최초의 근본은 목련존자로부터서 시작이 되었는데, 목련존자는 부부간에 금실(琴瑟)이 좋아서 참 재미있게 잘살았는데, 목련존자의 전생 얘기죠.
오백생 전생의 이야기인데, 그런데 그 어머니가 ‘이놈이 결혼하기 전에는 어미한테도 곧잘 잘하고 그러더니 장가간 뒤로는 계집한테 빠져 가지고 아주 어미한테는 소홀히 하고’ 그렇게 느끼셨던지, 노상 ‘며느리 저년이 들어와 가지고 우리 자식의 마음이 변했다. 그런 여우같은 며느리한테 빠져 가지고 어미를 우습게 본다’ 이래가지고 노상 사사건건이 큰 일, 작은 일 할 것 없이 며느리를 미워하고 들볶고 그랬다 말이여.
그러니까 목련이 처음에는 여러 가지로 참 자기 아내 보고 ‘어머니한테 잘해 드려. 어머니한테 잘해 드려’ 이렇게 마누라를 달래기도 하고 또 어머니를 위안을 시켜 드리고 했는데 세월이 가도 조금도 효과가 없고 점점 집안이 아주 대단히 두 고부간(姑婦間) 사이에서 도저히 견딜 수가 없어. 그래서 골이 나 가지고는 “어떤 기운 센 놈이 와서 저 늙은이 좀 때려죽여 버렸으면 좋겠다” 아! 이런 말을 툭 자기도 모르게 나왔다 그 말이여. 그 과보로 오백생 동안을 죽을 때는 꼭 맞아 죽었어.
마지막 오백생에 출가해 가지고 부처님 제자가 되어 가지고 십대제자(十大弟子) 가운데 신통제일 목련존자가 되었는데, 그 효심이 지극해서 지옥에 빠진 어머니 청제부인을 지옥에서 구제를 해 드린 그리고 아라한과를 증득해서 삼명육통(三明六通)과 팔해탈(八解脫)을 증득한 대성현이 마지막 돌아가실 때에 외도들에 의해서 맞아서 돌아가셨다 그 말이여.
말 한마디가—어머니한테 한 말, 그 악한 한마디가 오백생 동안 맞아 죽는 과보를 받았다 이겁니다. 하물며 행동으로 마음으로 부모에게 불효한 사람은 과연 어떠한 무서운 과보를 받게 될 것인가?
우리의 몸뚱이는 잘났건 못났건, 잘 배웠건 못 배웠건, 부모에게 얼마나 많은 사랑을 받았건, 얼마나 많은 유산을 받았건 못 받았건, 부모가 아니면 이 몸은 이 세상에 태어나지를 못했습니다. 반드시 세상에 태어날 때는 부모를 의지하지 않고서는 이 몸뚱이를 받아 날 수가 없습니다.
하물며 이만큼 좋은 몸을 받아 났고 또 만나기 어려운 불법(佛法)을 만났고, 불법 가운데에도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만나서 생사해탈(生死解脫)을 하기 위한 이 정법을 만난 그 근본은 부모님으로 인해서 이 몸뚱이가 이 세상에 태어났기 때문에 그러한 좋은 과보를 받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 이 자리에 모이신 사부대중 여러분들도 해제 법요식과 아울러 선망부모를 천도하는 대천도의 법회를 위해서 이렇게 많은 분들이 운집(雲集)을 하셨으리라고 생각이 됩니다.(21분40초~41분1초)
(3/3)----------------
돌아가신 뒤에 선망부모를 정성을 다해서 천도해 드리는 것도 대단히 좋은 일이고 꼭 필요한 일입니다. 그러나 아직 돌아가시지 않은 살아계신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더욱 좋은 일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왜 그러냐?
부모에게 불효를 하면 그 부모도 사람이요 감정이 있기 때문에, 그 자식이 불효하면 다른 사람한테 몇십 배 구박을 받은 것보다도 더 가슴이 아프고 원통(冤痛)하고 절통(切痛)한 것입니다.
‘내가 저를 어떻게 키웠는데, 내가 저를 어려서부터 어떻게 낳아서 키웠는데 지가 나한테 그럴 수가 있느냐’ 이러한 생각이 들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생각을 품고 돌아가시게 되면 그 부모가 좋은 곳으로 가시겠습니까?
다른 사람을 미워해도 안 되는데, 다른 사람에게 원망을 품어도 안 되는데, 자기 뱃속에서 나온 자식을 원망하는 마음으로 숨을 거두었다면 그 부모는 좋은 곳으로 갈 수가 없습니다. 어디로 가냐 하면은 그 자식의 아들이나 손자로 태어나는 것이여.
엊그제 자식이 자기 부친을 죽이고 일가족을 살해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이 우연한 일이 아닙니다. 전생의 원수가 보복을 위해서 자식으로 태어난 것입니다.
자식이 다 부모에게 은혜 갚기 위해서 태어난 것만이 아니여. 웬수가 보복을 하기 위해서 자식으로 태어나 가지고 일생 동안을 불효를 하고, 처음에는 지극히 효도를 하다가 막판에 가서는 부모 속을 갈기갈기 찢고 그런 예도 있습니다. 가문을 망치거나 재산을 망치거나 심지어는 부모를 살해하기까지도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가족끼리 화목을 해야 하는 거고, 남에게도 생명과 재산과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해서는 안 됩니다. 자기가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어쨌든지 남을 해롭게 해서는 안 돼.
석 달 동안 그 무덥고 힘드는데, 서늘한 데에서 목욕을 하고 선풍기 틀어 놓고 낮잠도 자고 그러지 않고서 그 방부(房付)를 들이고 더운 데 와서 그 등어리에 땀이 줄줄줄줄 흐르는데 두 시간씩, 세 시간씩 앉아서 입선(入禪)을 하고, 새벽같이 일어나고 하루 종일 그렇게 사분정진(四分精進)을 하는 선방의 선객(禪客) 스님들 또 보살님네들, 또 시민선원의 모다 거사님네들, 참선(參禪)을 하는 뜻이 무엇이겠습니까?
첫째는 자기의 생사 문제를 해결한다. ‘생사 문제 해결한다’는 것이 무엇입니까? 자기 방생입니다.
맨 처음에 자기가 자기를 방생을 시켜야 남도 죽게 되는 사람을 살려내지, 자기가 쇠사슬에 콱! 묶여 갖고 다른 사람 쇠사슬을 풀어 줄 수 있겠습니까?
참선을 열심히 해서 우선 자기 방생을 하고, 자기 방생을 하면서도 항상 그 뜻은 보살심(菩薩心), 마음속에 탁! 뜨거운 보살심을 지니고서 열심히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고, 대중 속에서 정진을 하면서 행여나 자기가 하는 행동, 자기가 하는 말 한마디라도 대중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대중 공부하는데 폐를 끼치지 않도록 그렇게 정진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가정에 돌아가서도 또는 직장에 다니신 분은 직장에 나가서도 항상 말 한마디 조심하고, 발 한 걸음 옮길 때에도 조심을 해서 남에게 조그만한 피해도 가지 않고, 더군다나 큰 피해는 말할 것도 없고, 조금 기분만 언짢게 하는 그러한 정도의 일까지라도 조심을 해야 하는데, 마냥 조심을 하다 보면 살기가 대단히 불편할 것 같으나 항상 화두를 들고 정진하게 되면 저절로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악한 마음이 일어날 수가 없고, 항상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단(疑團)으로 화두를 들고 생활을 하게 되면 저절로 살생은커녕 자비심이 마음속에 넘쳐흐르는 거고, 남의 것을 훔치기커녕은 내 것을 남에게 보시하려는 그런 마음이 나오는 거고, 음행을 하기커녕은 항상 몸과 마음을 청정하게 갖게 되고, 거짓말을 하고 사기를 치기커녕은 항상 진실한 마음을 갖고 살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참선은 이것이 최상승법이고, 이것을 갖다가 불법의 핵심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피치삭발유래유(披緇削髮有來由)하되 막향청산공백두(莫向靑山空白頭)니라
나무~아미타불~
사십구년다소설(四十九年多少說)이 종횡위아지귀휴(縱橫爲我指歸休)니라
나무~아미타불~
먹물 옷을 입고 삭발(削髮)을 한, 세속의 모든 것을 버리고 청춘을 다 버리고 출가(出家)해서 도를 닦는 데는 반드시 그럴만한 까닭이 있고 깊은 뜻이 있는 것이어서,
막향청산공백두(莫向靑山空白頭)니라. 그런 깊은 원력(願力)과 그러한 뜻이 있어서 출가를 했는데, 어찌 청산 속에 공연히 머리가 희어 가고 있느냐.
정말 이 세상의 모든 것을 버리고 출가해서 먹물 옷을 입고, 머리를 깎아서 수행자로서 나섰다면 정말 철저한 신심과 철저한 분심으로 정진을 해야 할 것입니다.
금년 여름에 용화선원 선방 스님네나 또 용주사 중앙선원이나 위봉사 선원, 세등선원 여러 모다 선방에서 정말 모다 열심히 정진을 했다고 들었습니다. '달리는 말에 채찍을 가하랬다'고 그렇게 알뜰히 열심히 하셨지만, 도반의 입장에서—정말 해제를 하고서도 풀어진 마음으로 살지 말고, 해제 기간일수록 더욱 허리띠를 졸라매고 한 걸음 한 걸음 옮기고,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 행주좌와(行住坐臥) 어묵동정(語默動靜) 간에 결제 중보다도 더 알뜰히 잡드리를 하시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사십구년다소설(四十九年多少說)이 종횡위아지귀휴(縱橫爲我指歸休)여.
부처님께서 49년 동안 팔만사천(八萬四千) 묘법(妙法)을 설하셨는데, 그 많은 법문(法門)이 중생의 근기(根機) 따라서 종횡으로 팔만사천 가지 방편(方便)을 설하셨지만, 한마디로 '밖으로 치닫지 말고 한 생각 돌이켜서 바로 자기를 찾으라'는 그 한마디여.
그 한마디만을 철저하게 단속하고 철저하게 잡드리한다면 결제, 해제가 무슨 차등이 있겠느냐 그거거든. 산으로 가나, 들로 가나, 차를 타나 걷거나, 목욕탕에를 가거나 변소에를 가거나, 무엇을 하거나 무슨 상관이 있느냐.
옛날 도인은 장바닥에 가서 공부를 하신 분도 있었고, 노동판에 가서 정진하는 이도 있고, 곡천 선사(谷泉禪師)는 거짓으로 죄를 지어 가지고 감옥살이를 하면서 도를 닦으신 분도 있어.
정체종래절성색(正體從來絶聲色)한데 멱즉지군불견종(覓則知君不見蹤)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묘봉정상일전신(妙峰頂上一轉身)하면 시방무처불봉거(十方無處不逢渠)니라
나무~아미타불~
정체종래절성색(正體從來絶聲色)이여. 정체(正體), 바른 진리의 체(體)는 본래 성색(聲色)이 끊어진 자리여. 어떤 말도 거기에는 미치지 못하고, 어떠한 모양도 거기에는 찾아 볼 길이 없는 것이여.
멱즉지군불견종(覓則知君不見蹤)이야. 아무리 눈으로 보려고 하고, 귀로 들을라고 하고, 손으로 만지려고 하고, 생각으로 알라고 해도 그 자취를 볼 수가 없어. 그 자체는 성색(聲色)이 끊어졌기 때문에 그런 거여.
묘봉정상(妙峰頂上)에 일전신(一轉身)하면, 수미산(須彌山) 꼭대기에서 거기서 행여나 떨어질까 봐서 그걸 붙잡고 발발 발발 떨지 말고 거기서 턱! 손을 놔 몸을 굴리면,
시방세계(十方世界)에 그를 만나지 아니한 곳이 없을 것이다. 온 법계(法界)가 다 정체(正體)가 여여(如如)한 면목이더라 그거거든.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 본참공안에 철저히 참(參)해서 사량복탁(思量卜度)을 하지 말고, 해 갈수록 알 수 없고, 알 수 없는 거기에서 다시 그놈을 되집어서 ‘이뭣고?’
해 갈수록 꽉! 막혀서 알 수가 없어야지 ‘하아, 이런 것이로구나!’ 하고 이렇게 사량분별로 따지고, 알아지고 얻어진 것이 있다면 그것은 참 깨달음이 아니야.
우리의 선망부모가 오늘 이 백중날을 기해서 여러 석 달 동안 열심히 도를 닦은 청정한 수행자들의 간곡한 신심과 원력과 수행력에 의해서 우리의 선망부모가 오늘 천도가 잘되실 것입니다. 이어서 법요식(法要式)이 진행이 될 것입니다.(41분2초~58분41초) (끝)
[법문 내용]
(게송)당하지귀아시수~ / 백중날, 부처님께 대중스님께 공양(供養)을 올려서 지옥고에 신음하고 있는 선망부모(先亡父母)를 천도하는 전통 / 방생(放生)의 뜻. 사람이나 동물이나 자연에게도 자비로운 마음으로 상대하면 그것이 벌써 방생을 하고 있는 것.
마음속에 미워하고 원망하고 저주하는 마음을 일으킬 때 이미 총칼보다도 무서운 살생(殺生)을 하고 있는 것 / 목련존자가 전생에 어머니한테 한 악한 말 한마디가 오백생 동안 맞아 죽는 과보를 받았다.
참선(參禪)을 하는 뜻은 자기의 생사 문제를 해결한다. 자기 방생입니다 / 참선, 화두를 들고 생활을 하면 저절로 자비심, 청정심, 진실한 마음을 갖게 된다. 그래서 참선은 최상승법이고, 불법의 핵심 / (게송)피치삭발유래유~ / 부처님 팔만사천 법문은 한마디로 '밖으로 치닫지 말고 한 생각 돌이켜서 바로 자기를 찾으라' / (게송)정체종래절성색~ / 바른 진리의 체(體)는 본래 성색(聲色)이 끊어진 자리.
〇원래 방생의 뜻이 죽어 가는 사람, 죽어 가는 동물—비단 꼭 물고기뿐만이 아니라 육지에서 사는 동물, 하늘에 나르는 새, 무엇이고 죽어 가는 생명을 살려주는 것이어서 그것은 어디까지나 생명을 존중히 여기는, 나아가서는 그래서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자비심, 자비 종자(種子)를 잘 증장을 시키고, 그래서 어떠한 종류의 생명이라도 그 생명 자체는 고귀하고 소중한 것이라 ‘자기도 죽이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죽어 가고 있는 그러한 생명을 그걸 놔주자, 죽지 않도록 해 주자’는 데 그 깊은 뜻이 있는 것입니다.
〇바로 이것이 자업자득(自業自得)인 것입니다. 산에다 대고 고함을 지르면 메아리가 돌아오게 되는 것처럼 내가 크게 소리를 지르면 메아리가 크게 돌아오고, 노래를 부르면 노래가 돌아오고, 좋은 말을 하면 그 메아리는 좋은 말로써 돌아오고, 산에다 대고 입에 못 담을 고약한 욕을 퍼부으면 메아리는 그런 무서운 욕으로 내게 돌아오는 것입니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는 메아리와 똑같은 것입니다. 서로서로 존중히 여기고 서로서로 따뜻하게 자비롭게 상대하면 상대방도 역시 또 나한테 그렇게 돌아오는 것입니다.
〇꼭 몽둥이나 총칼로 사람을 죽이는 것만이 죽이는 것이 아니고, 마음속에 미워하고 원망하고 저주하는 마음을 일으킬 때 이미 총칼보다도 무서운 살생(殺生)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말 가지고도 사람의 마음속에 깊은 상처를 주는 그런 악한 말을 하는 것도 역시 살생에 준하는 것입니다.
〇우리의 몸뚱이는 잘났건 못났건, 잘 배웠건 못 배웠건, 부모에게 얼마나 많은 사랑을 받았건, 얼마나 많은 유산을 받았건 못 받았건, 부모가 아니면 이 몸은 이 세상에 태어나지를 못했습니다. 반드시 세상에 태어날 때는 부모를 의지하지 않고서는 이 몸뚱이를 받아 날 수가 없습니다.
하물며 이만큼 좋은 몸을 받아 났고 또 만나기 어려운 불법(佛法)을 만났고, 불법 가운데에도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만나서 생사해탈(生死解脫)을 하기 위한 이 정법을 만난 그 근본은 부모님으로 인해서 이 몸뚱이가 이 세상에 태어났기 때문에 그러한 좋은 과보를 받게 된 것입니다.
〇참선(參禪)을 하는 뜻이 무엇이겠습니까? 첫째는 자기의 생사 문제를 해결한다. ‘생사 문제 해결한다’는 것이 무엇입니까? 자기 방생입니다. 맨 처음에 자기가 자기를 방생을 시켜야 남도 죽게 되는 사람을 살려내지, 자기가 쇠사슬에 콱! 묶여 갖고 다른 사람 쇠사슬을 풀어 줄 수 있겠습니까?
참선을 열심히 해서 우선 자기 방생을 하고, 자기 방생을 하면서도 항상 그 뜻은 보살심(菩薩心), 마음속에 탁! 뜨거운 보살심을 지니고서 열심히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고, 대중 속에서 정진을 하면서 행여나 자기가 하는 행동, 자기가 하는 말 한마디라도 대중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대중 공부하는데 폐를 끼치지 않도록 그렇게 정진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〇정체종래절성색(正體從來絶聲色)이여. 정체(正體), 바른 진리의 체(體)는 본래 성색(聲色)이 끊어진 자리여. 어떤 말도 거기에는 미치지 못하고, 어떠한 모양도 거기에는 찾아 볼 길이 없는 것이여. 멱즉지군불견종(覓則知君不見蹤)이야. 아무리 눈으로 보려고 하고, 귀로 들을라고 하고, 손으로 만지려고 하고, 생각으로 알라고 해도 그 자취를 볼 수가 없어. 그 자체는 성색(聲色)이 끊어졌기 때문에 그런 거여.
묘봉정상(妙峰頂上)에 일전신(一轉身)하면, 수미산(須彌山) 꼭대기에서 거기서 행여나 떨어질까 봐서 그걸 붙잡고 발발 발발 떨지 말고 거기서 턱! 손을 놔 몸을 굴리면, 시방세계(十方世界)에 그를 만나지 아니한 곳이 없을 것이다. 온 법계(法界)가 다 정체(正體)가 여여(如如)한 면목이더라 그거거든.
'501~600 > (501~5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501)—1993년 2월 첫째 일요법회 (40분) (2) | 2023.05.05 |
---|---|
(No.518)—1993년 11월 첫째일요법회 (73분) (6) | 2023.04.25 |
(No.521)—94년 1월 첫째일요법회(94.01.02) (81분) (0) | 2019.07.09 |
(No.513)—93년 9월 첫째일요법회(93.09.06) (63분) (0) | 2019.04.08 |
(No.524)—94년 동안거결제 중 보살선방에서 하신 법문(94.02.06) (60분) (0) | 2018.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