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308)—86년 칠석법회(86.08.12) (51분)
(1) 약 28분.
(2) 약 23분.
(1)------------------
생애여몽약부운(生涯如夢若浮雲)한데 활계도무절육친(活計都無絶六親)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유득일쌍청백안(留得一雙靑白眼)이라 소간무한왕래인(笑看無限往來人)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생애여몽약부운(生涯如夢若浮雲)이라, 인간 생애가 꿈과 같고 또한 뜬구름과 같다.
활계도무절육친(活計都無絶六親)이여. 살아가는 계책(計策), 활계(活計)가 도무지 없고 육친(六親)이 다 끊어져 버렸어.
유득일쌍청백안(留得一雙靑白眼)이라, 오직 가지고 있는 것은 한 쌍의 푸르고 흰 눈 뿐이여.
소간무한왕래인(笑看無限往來人)이라. 한없이 왔다갔다하는 사람을 웃고 볼 뿐이더라.
인생이 이 세상에 태어날 때에 부모를 의탁해서 이 몸을 받아 나고, 부모의 그늘에서 음덕(蔭德)으로 자라 가지고 결혼을 해서 자녀를 낳고, 이렇게 해서 돈을 벌고, 세속에서 직업을 가지고 살고, 모든 과거에 지은 인연으로 해서 일촌, 이촌, 삼촌, 사촌, 오촌 이렇게 해서 원근(遠近) 친척과 가문과 이웃이 모다 얼크러져 가지고 이렇게 사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그 생애(生涯)라고 하는 것은 정말 꿈과 같은 것이고, 뜬구름과 같아.
좋을 때는 '형제간이다, 친구간이다' 모다 그렇지만 내가 높은 벼슬자리에서도 떨어지고, 재산도 없어지고 병들어 비참하게 되면 그전에 그렇게 드나들고 '형님, 동생' 하던 처지도 다 찾아오는 사람도 없고, 다 인연(因緣)이 멀어져 버린 것이여.
그리고 부귀(富貴)와 영화(榮華), 공명(功名)이 아무리 하늘을 찌를 듯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시간이 지나면은 간 곳 없이 다 흩어지게 되고, 일생 동안 또는 영원히 그렇게 잘살으란 법도 없어.
그러니 그것이 모두 지내놓고 보면 한바탕 춘몽(春夢)에 지내지 못하고, 저 여름 하늘에 흰구름 뭉텅이와 같아서 그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를 때 보면은 그 호랑이 같기도 하고, 사자 같은 놈도 있고, 코끼리 같은 놈도 있고 또 누각 같은 것도 있고, 사람같이 생긴 것도 있고, 별별 기기묘묘(奇奇妙妙)한 모양이 있지마는, 잠시 지나면은 그 구름이 이리저리 변형이 되어 가지고 그래 가지고 흩어져서 간 곳이 없어져 버린다 그 말이여.
인생에 부귀영화라고 하는 것이, 빈부귀천 형형색색(形形色色)의 인생살이가 그러한 구름덩어리와 같다. 꿈속에 아무리 천자가 되는 꿈을 꾸고, 재상이 되는 꿈을 꾸고, 부귀영화를 누리는 그런 꿈을 꿨다 해도 잠을 깨 버리면 자취가 없어져 버려.
그러니 인생살이를 꿈에다가 비유하고 또 구름에다가 비유한 것은 우리는 너무나 타당(妥當) 있는 그러한 비유라고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활계도무절육친(活計都無絶六親)이여.
그러한 인생살이가 허망한 줄 알고 의지하고 믿을 것이 못 된 줄 알면, 그러한 세속 그 뜬구름과 같은 인연을 한칼로 다 비어버리고 출가해서 도를 닦으니 모든 직업도 다 놔 버리고, 인생의 빈부귀천도 다 내버리고, 오직 일대사(一大事) 문제만을 위해서 남은 목숨을 거기다 바치니, 활계(活計)가 무엇이여? 생활해 나가는 대책을 무엇으로 세울 것이냐 그 말이여? 아무 계책(計策)이 없어. 그리고 세속의 육친, 일가친척 부모형제 그런 육친의 인연이 다 끊어져 버렸어.
오직 가지고 있는 것은—삼독(三毒)과 오욕락(五欲樂)과 빈부귀천과 부귀영화 모든 것을 갖다가, 그런 것을 실다운 것으로 믿고 그런 것을 가지고 인생의 전부인 줄 알고, 그러니 그러한 속에서 얽매어 가지고 끌려서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동서고금의 모든 사람들을, 부귀와 영화에 얽매어 가지고 모다 그러한 것들에 노예가 되어 가지고 제 잘난 맛으로 살고 있는 그러한 인간들을 비긋이 웃으면서 볼 수 있는 그러한 청백안(靑白眼)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오늘은 병인년 칠월 칠석(七夕)날입니다.
저 옛날부터서 칠석날에는 돌아가신 선망부모(先亡父母)와 원근 친척과 모다 그러한 영가들을 위해서 이고득락(離苦得樂), 고해(苦海)를 벗어나서 업장(業障)을 소멸해 가지고 극락세계(極樂世界)에 왕생(往生)하기를 축원을 하고,
또 살아 있는 부모 형제 자손들의 수명장수하고, 복덕(福德)이 구족(具足)하고, 자손이 창성하도록 그리고 나라와 민족, 국가 민족이 모두가 다 우순풍조(雨順風調)해서 모든 사람이 모다 화합해서 잘살기를 빌고 하는, 이러한 부처님께 칠성님께 공양을 올리고, 기도를 하고 축원을 하는 그러한 성스러운 날로 여겨 왔던 것입니다.
지금도 역시 칠석날에는 전국 방방곡곡에 있는 대소 사찰에서 많은 신남신녀(信男信女)들이 구름처럼 모여 가지고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예배를 드리고 축원을 하는 그러한 의식과 풍속이 지금도 변함없이 행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 이 용화선원의 법보전(法寶殿, 현 대웅전)에도 많은 신남신녀들이 운집(雲集)을 하셨습니다마는, 선망부모, 현존 사친을 위해서 이 칠석날을 기해서 그러한 소박한 신앙심으로 이렇게 오신 것은 너무나도 그 아름다운 참 좋은 풍속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요새 모다 과학 문명(科學文明)이 발달하고 모다 문명이 고도로 발달을 해서 ‘뭐 그까짓 것 미신이다. 그까짓 것 다 기복불교(祈福佛敎)고, 다 미신에 가까운 그런 것이다’ 이렇게 여겨버리고 그러한 사람들도 있겠습니다마는,
그냥 옛날부터서 내려오는, 천여 년을 두고 내려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그런 소박한 신앙을 고대로 전통을 해 오고 그러면서도 최상승(最上乘) 불법을 믿는 신심은 오히려 더 돈독해지고, 이런 것은 참 어떠한 면에서 생각해 보면 대단히 참 아름다운 한 신앙의 면이라고 나는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옛날에 속담에도 ‘공든 탑이 무너지랴’
지극정성(至極精誠)으로 부처님께 발원하고, 참회하고, 기도하고, 축원하고, 이러한 정성스런 신심은, 그러한 공덕은 결단코 헛되지 아니한 것입니다. 내가 그만한 간절한 마음,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공을 들이고 축원을 하면 반드시 거기에 감응(感應)이 있는 것입니다.
깨끗한 그릇에다가 맑은 물을 떠 놓고 그 그릇을 고요하게 유지를 하면 반드시 그 그릇에는 하늘에 떠있는 달이 거기에 비추는 것입니다.
하늘에 뜬 달이야, 물그릇에 떠 놓거나 말거나 언제나 모든 곳에 한결같이 비추고 있는 것이지만, 물이 없는 데에는 그 하늘에 뜬 달이 나타나지를 않습니다. 비추지 아니한 것은 아니되, 물을 떠 놨을 때 비로소 그 하늘의 달이 자기 눈으로 확인을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자비가 온 법계에 두루 다 미치고 비추고 있지마는, 내 자신이 정성스러운 마음, 청정하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부처님을 향하는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축원을 하고 기도를 할 때에 비로소 자기 마음에 부처님의 감응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해가 아무리 밝게 비추고 있어도 자기 스스로 캄캄한 방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커튼을 내리고 앉았다든지 또는 껌껌한 지하실이나 굴속에 들어가서 앉았다면 아무리 저 허공에 태양이 그렇게 밝게 비추고 있은들 자기한테는 아무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어두운 방에서 커튼을 걷고, 문을 활짝 열어제낄 때 방안에 광명이 비출 것이며, 지하실에서 용감하게 뛰쳐나와서 태양이 비추고 있는 넓은 광장으로 나올 때에 온통 그 햇빛을 다 받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오늘 칠석날을 맞이해서 목욕재계(沐浴齋戒)하고 청정한 마음,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모다 쌀과 꽃과 과일과 여러 가지 폐백(幣帛)을 가지고 부처님께 나와서 올리고, 경건하게 향을 사르고 절하고 또 이렇게 법문을 들을 때 부처님의 자비와 지혜와 광명을, 그리고 모든 공덕을 우리는 흠뻑 가슴에 안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16분5초)
대지산하시아가(大地山河是我家)인대 갱어하처멱향가(更於何處覓鄕家)오
나무~아미타불~
견산망도광미객(見山忘道狂迷客)이 종일행행부도가(終日行行不到家)로구나
나무~아미타불~
대지산하(大地山河)가 이 나의 집이여.
갱어하처멱향가(更於何處覓鄕家)오. 다시 어느 곳에서 내 고향집을 찾을 것인가.
견산망도광미객(見山忘道狂迷客)이, 눈앞에 나타난 그 산을 보다가 자기의 길을 잃어버리는 그런 길 잃은 손이, 종일행행부도가(終日行行不到家)로구나. 종일토록 가고도 가도 집에는 이르지를 못하는구나.
대지산하(大地山河),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이 대지산하가 온통 이것이 다 나의 집이요 나의 고향인데, 그것이 자기 고향인 줄을 모르고 자기 고향을 평생토록 찾으러 다녀.
왜 자기 고향에 발을 디디고 자기 고향에서 살면서 왜 고향을 찾고 있느냐? 눈에 보이는 산을 기웃기웃 산을 보다가 자기의 갈 곳을 잊어버려, 길을 잊어버린다 그 말이여.
현실에 자기 발 디디고 살고 있는 그곳이 바로 자기의 고향이요, 자기가 설 곳이요, 자기의 바로 살아 갈 곳인데, 그 자리를 놔두고 저 눈에 보이는 저 먼산을 갖다가 '행여나 저기에 내 고향이 있는가? 저 산너머에 내 고향이 있는가?' 하고 멀리 찾다가 자기의 진짜 고향을 잊어버리더라 그 말이여.
우리 도 닦는 사람이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하기 위해서 온갖 고행을 극복을 하면서 수행을 하는데, 현재 우리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몸으로 춥고 더운 것을 느끼고, 생각으로 모든 것을 알고, 이러한 현실 경계를 내놓고 따로 도(道)의 경지를 찾고, 따로 견성(見性)할 것을 구하고, 따로 성불(成佛)할 어떠한 특수한 경지를 구하는 한은 참다운 견성은 이르러 오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지금 눈으로 무엇을 볼 때, 귀로 무엇을 들을 때, 현재 우리가 발로 걸을 때, 춥고 더운 것을 느낄 때, 좋고 나쁜 것을 생각할 때, 바로 그때, 그곳을 여의지를 말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것에 집착하라는 것이 아니고, 바로 그곳에 즉(卽)해서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을 관조(觀照)할 때에 거기에서 견성성불의 문이 열리는 것입니다.
지금 현재 닥치고 있는 그 일이 자기 마음에 들건 안 들건, 좋건 나쁘건, 기쁘건 슬프건, 그것이 문제가 아니여. 그놈을 여의고 찾지도 말 것이며, 그놈에 집착해서 구하지도 말 것이여. 일체처 일체시에 그렇게 다그쳐 가야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여래의 땅[如來地]에 이르는 소식이 있는 것입니다.
항상 법회 때마다 “불법(佛法)을 먼 데에서 구하지 말아라. 불법은 너의 마음속에 있고 지금 이 자리, 이때를 버리고 찾지 말아라” 이런 말씀을 했습니다. 그것은 방편(方便)이 아니라 그 말이 우리 공부해 나가는 데에 너무 적절하고,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바르게 도를 닦아갈 수가 없기 때문인 것입니다.
부처님의 법문이 49년 동안 팔만사천(八萬四千) 법문(法門)을 설하셨는데 그것이 지금 목판(木版)으로 새겨져서 해인사 장경각(藏經閣)에 봉안이 되어있는데, 그 목판에 새겨진 부처님의 법문은 그 한량없는 부처님의 법문 가운데에 천만분의 일, 백만분의 일도 되지를 않는 것입니다.
정말 살아 있는 법문은 부처님이 이 세상에 출세(出世)하시기 전 또는 부처님이 80세 동안 이 세상에 머무르시다가 열반하신 뒤, 전혀 그런 것에 상관없이 무량겁으로부터 영원한 미래가 다할 때까지 끊임없는 부처님의 살아 있는 법문이 설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진진찰찰(塵塵刹刹)이, 육도법계(六道法界), 이 갓없는 우주법계(宇宙法界)가 전판 다 부처님의 법문으로 가득차 있는 것이고, 부처님의 법신(法身)으로 가득차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그마한 돌멩이 하나, 모래알 하나, 풀 이파리 하나, 꽃 이파리 하나, 구름 한 조각,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이 낱낱이 다 끊임없는 부처님의 몸이요, 그 부처님 몸뚱이에는 삼세제불(三世諸佛)이 그 모래알 속에 다 머물러 계시면서 끝없는 법문을 설하시고, 조그마한 풀 이파리 하나에서도 삼세제불이 그 속에서 다 설법을 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그러한 삼라만상 그런 현상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몸뚱이, 언필칭(言必稱) 우리는 '중생(衆生)'이라 그러는데 남녀노소 우리 자신들도, 물론 불교를 믿는 사람이나 또는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이나, 동서고금의 모든 사람들이 일체가 다 전부 다 부처님의 화현신(化現身)이요, 바로 우리 몸뚱이 속에 삼세제불(三世諸佛)이 다 머물러 계셔서 지금도 법문을 설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그러면 법문을 듣고 있는 우리는 무엇이냐?
법문을 설(說)하면서 동시에 그 법문을 듣고 있는 것입니다. 법을 설하는 것과 법문을 듣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산승(山僧)도 역시 설(說)하고 듣고 있고, 여러분도 들으면서 동시에 또 설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산승이 설한 것이 아니요 여러 사부대중(四部大衆)이 설하고 듣는 것이 아니라, 바로 부처님이 설하시고 부처님이 듣고 계시는 것입니다. 설(說)하고 듣는 것이 동시(同時)인 것입니다.
그러니 이것이 어찌 묘(妙)하다고 아니할 수가 있겠습니까? 동시에 설하고 듣고 있는 이것을 어찌 중생의 생각으로 이것을 구할 수 있으며, 어찌 범부(凡夫)의 알음알이로 이것을 헤아릴 수가 있겠습니까? 이것이 바로 대총상법문(大總相法門)이라 하는 것입니다.(처음~27분46초)
(2)------------------
칠석날을 맞이해서 우리는 이 돌아가신 선망부모와 형제자매와 원근(遠近) 친척의 영가(靈駕)를 명복을 빌고, 천도(薦度)해 드리고 또 살아계신 부모 형제자매와 자녀들의 수명장수를 빌고, 복덕구족을 빌고, 크고 작은 모든 소원을 성취하기를 기원하기 위해서 이렇게 이 자리에 모다 운집을 하시고 아울러서 칠석 법문을 듣고 있습니다마는, 그래서 이 대총상법문(大總相法門)은 설한 바 없이 설하고, 들은 바 없이 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만약 설할 것이 있다면은 그 법문은 바른 법문이 아니요. 들은 바가 있다면, 들을 것이 있다면 그 법문은 옳게 들은 것이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고인(古人)이 말씀하시기를 “참 부처는 입이 없어서 설법할 줄을 모르고, 참으로 듣는 것 참다운 들음은 귀가 없거늘 누가 들을 것인가?” 이렇게 말씀을 했습니다.
이렇게 법(法)을 설하고 이렇게 법을 들을 때에, 그 법은 우주법계에 가득차신 법신불(法身佛)과 우주 법계에 가득찬 일체 중생이 동시에 설하고 동시에 듣게 되므로 온 세계는 불보살(佛菩薩)로 가득차게 되는 것입니다.
그 불보살이 따로따로 떨어져서 온 세계에 퍼졌다 해도 떨어진 것이 아니고, 하나가 되었다고 해서 합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꽃은 꽃대로 붉게 피어서 아름답고, 풀은 풀대로 파랗게 너울거리고, 김 서방, 이 서방은 각각 아들딸 낳고 장사하고, 농사짓고 그렇게 사는 것들, 부자는 부자대로, 가난한 사람은 가난한 대로, 관공리는 관공리대로, 농부는 농부대로, 승려는 승려대로, 신도는 신도대로, 각각 자기의 위치에서, 자기의 분상(分上)에 맞추어서 최선을 다하고 자기의 책무를 완수할 때에 전부가 다 한마음이 되고, 한 불사(佛事)를 이룩하고, 한 불국토(佛國土)를 건설하게 되는 것입니다.
주춧돌과 기둥과 서까래와 대들보, 흙과 종이와 철근과 기왓장, 그런 것들이 모두 다 여러 가지 재료가 합해져서 하나의 훌륭한 집을 짓듯이, 우리 김가, 이가, 박가, 고가, 성(姓)도 다르고, 피도 다르고, 모양도 다 다르지만 각각 다른대로 저 나름대로의 생애가 있고, 저 나름대로 취미가 있고, 저 나름대로의 희망이 있고, 목적이 있습니다마는,
바른 불법, 정법(正法)을 믿고 ‘참나’를 찾는다고 하는 점에서 올바르게 듣고, 올바르게 닦는 것을 우리 모두의 본업(本業)으로 해서 각자 자기 나름대로 최선을 다할 때, 절에 오면은 훌륭한 신도요 법보제자요, 가정에 돌아가면 훌륭한 아내요, 어머니요, 아들이요, 딸이요, 아버지요, 형이요, 동생이요, 자식이 될 것입니다.(33분30초)
한 생각 잘못 먹으면 원수가 되고, 한 생각을 바로 먹으면 우리 모두가 형제간이요, 한 살붙이가 되고, 한 핏덩어리가 되는 것입니다.
온 세계가 이렇게 동서남북이 많은 나라들이 있고 인종도 다르고 하지만, 생각을 잘못 먹고 원수가 되어서 싸우기로 하면 이 세계는 정말 불구덩이가 되고, 하루도 편할 날이 없는 그런 지옥세계와 같은 아수라장이 될 것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바른 마음으로 돌아가서 자기의 근본이 모든 사람의 근본과 둘이 아닌 도리를 깨닫게 되면 무엇 때문에 우리가 싸울 것이 있겠습니까? 먼 다른 나라하고도 싸울 것이 없거늘, 어찌 한 피에 한 민족끼리 싸울 것이 무엇이 있습니까?
형제간이 아무리 성격이 다르고, 생각이 달라서 싸우다가도 자기 동생이나 자기 형이 다른 사람하고 싸우게 되면 자기 동생 편을 들고, 자기 형의 편이 되는 것입니다. 자기 동생이 누구한테 얻어맞으면 그렇게 미워했던 형이지만 동생을 갖다가 편을 들어서 싸우게 되는 것입니다.
남북이 갈라진지 사십 년이 되는데 우리가 통일을 못하고, 언제 큰 싸움이 벌어질런지, 언제 이북에서 밀고 내려올는지 모르는 이러한 상황 속에 놓여 있습니다. 우리는 국내외적으로 대단히 중대하고도 어려운 고비를 맞이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 불자(佛子)들은 이 나라에 태어난 이 민족의 백성들인 것입니다. 어쨌든지 민족과 나라를 위하는 마음을 항상 명심을 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삼계(三界)의 대도사(大導師)요 사생(四生)의 자부(慈父)이신 석가세존(釋迦世尊)께서, 세존의 조국이 이웃나라에 의해서 침범을 받게 되었을 때에 부처님께서는 그 국경에 가서 떠억 좌선을 하고 계셨습니다.
그 나라에서 임금이 많은 군대를 통솔해 가지고 부처님 나라를 쳐들어오다가 부처님이 떠억 국경선(國境線)에 죽은 고목나무 밑에 앉아서 참선을 하고 계시니까 가서,
“세존께서는 어찌 하필 이 죽은 나무 밑에 와서 이렇게 계십니까?”
“내가 여기 와서 있는 것은 내 조국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그 말을 듣고 군대를 회군(回軍)을 해서 자기 나라로 돌아갔습니다.
두 번째 또 얼마 안 있다가 또 부처님의 나라를 침범하기 위해서 들어왔습니다.
부처님이 또 국경선에 가서 좌선을 하셨습니다. 그때 또 왕이 그걸 보고 되돌아갔습니다.
또 얼마 있다가 ‘도저히 그냥 두어서는 안 되겠다’ 해 가지고, 세 번째는 '부처님이 아무리 거기 와서 막고 계신다 하더라도 그걸 무시해 버리고 이번에는 아주 그 나라를 침범해 가지고 뺏어버리리라' 이렇게 마음을 먹고 다시 출군(出軍)을 했습니다.
부처님께서 세 번째는 이미 그 왕이 그러한 독한 결심을 한 것을 아시고서 세 번째는 국경선에 나아가지를 않았다고 하는 말씀이 경전에 전해 오고 있습니다.
부처님의 입장에서 보면 당신이 태어나고 당신의 조국이나 또는 다른 외국이나 일체 이 법계(法界)에 있는 모든 나라나 중생들이 다 마찬가지겠지만, 그래도 당신이 태어나신 그 조국을 위해서 외국의 침범을 두 번이나 몸소 나가셔서 막아 주신 그 마음을 생각한다면,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산대사나 사명대사, 뇌묵대사와 같은 그러한 큰스님네들이 수도하시는 여러 승군(僧軍)들을 거느리고 왜적을 갖다가 물리치고 하신, 그 나라와 민족을 지키려는 그 성스러운 뜻을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을 거 같습니다.
우리 법보제자 사부대중들도 부처님과 서산 · 사명 · 뇌묵대사와 같은 그런 큰스님네의 뜻을 잘 마음에 새겨서 ‘우리가 지금 나라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냐?’
참선하시는 도 닦는 스님네들은 어쨌든지 이런 국가의 위기 또 민족의 위기 또 세계 인류의 위기를 당해서 어쨌든지 몸과 목숨을 바쳐서 철저하게 수행을 하셔야 할 것이고, 신남신녀 여러분도 역시 가정에서 직장에서 생활하시면서 ‘이뭣고?’ 참선을 열심히 하실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그 사소한 일 같지만 생활해 나가는 데 있어서 사치풍조에 빠지시지 말고 어쨌든지 국산품을 애용을 해서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이바지를 하셔야 할 것입니다.
내 한 사람이 이런 외제 물건을 사 쓴들 무슨 상관이 있느냐?
'국산 사 써봤자 얼마 안 가서 망가지니 좀 비싸게 주더라도 일제를 사서 쓰면 내가 더 이익인데' 이런 마음을 가지고 너도나도 일제 물품을 쓰게 되면 결국은 온 여성들이 다 그렇게 되면 결국은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제 수지의 적자(赤字)는 더욱 늘어나고, 우리나라 경제는 점점 나빠지게 될 수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얼마 전에 신문을 보니까 일본은 '외제 물건을 좀 사라'고 나까소네 수상이 백성들에게 모다 연설을 한 기사를 봤습니다마는, ‘외제 물건 쓰지 말라’고 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외제 물건을 쓰라’고 할 정도로 되었다면 얼마나 일본 사람들이 외제 물건을 쓰지 아니하고, 순 자기나라 국산품을 철저하게 애용을 하고 있는 것을 우리는 알 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을유년(乙酉年) 해방 이후로 벌써 42년이나 되었습니다. 정신차릴 때가 충분히 되었습니다.
그동안에 ‘무엇이 품귀(品貴)하다’ 하면은 너도나도 살려고 해 가지고 점점 값을 올리고, 점점 품귀 현상을 빚었던 일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무엇이 품귀하다’ 하면, 예를 들어서 ‘소고기가 귀하다’ 하면 너도나도 살려고 하면 더욱 귀해지고 더욱 비싸지는 거고, 귀하다고 하면 안 사버리면 그냥 살 사람은 적어지고 물건은 남아돌기 때문에 저절로 물가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서양 사람들은 ‘무엇이 품귀하다’ 하면 너도나도 안 사. 안 사고 다른 걸로 대용을 하기 때문에 일반 수요자들이 물가 올라가는 것을 막는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귀하다’ 하면은 너도나도 살라고 그러고, 미리부터 나중에 쓸 것까지 사 모이게 되기 때문에 그렇게 물가가 올라가고 그러니 이것이 얼마나 그 민도(民度) 수준이 그렇게 차이가 있는 것을 생각할 때 이건 참 부끄러운 일이라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 불자들은, 이 최상승법(最上乘法)을 믿는 불자(佛子)는 서양 사람들이 선진 문화민족이니 일등국민이니 하지만 그건 물질적으로 본 것이고, 정말 정신적으로 볼 때에는 최상승법을 믿는 사람은 천상에 사는 사람보다도 훨씬 더 수준이 높은 것입니다. 이 지구상에 세계뿐만이 아니라 무한대의 우주 세계에 있어서 최상승법을 믿는 사람만큼 고도의 수준을 가진 백성은 없는 것입니다.
그만한 긍지를 갖는다면 그까짓 외제 물건 좀 사서 쓰고, 몸에 걸친다고 해서 무엇이 그렇게 자랑스럽고 뽐낼만한 일이 되겠습니까?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물건, 우리나라 사람이 사랑하고 아끼고 소중하게 여길 때에, 외국 사람들도 우리나라 물건을 서로서로 살라고 할 것이고, 우리나라 국산품을 우리나라 사람들이 잘 써 줌으로 해서 좋은 품질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내가 경제 계통에 문외한이 되어서 여러 가지 말을 무식한 소리같이 하고 있습니다마는 제 말하는 뜻을 여러분은 충분히 이해를 하시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당장 오늘부터 쓰고 있는 외제 물건을 버렸으면 좋겠는데 그럴 수는 없고, 이미 사신 것은 소중히 잘 쓰시되 앞으로 사시려고 할 때는 어쨌든지 국산품 중에서 좋은 것을 골라서 쓰시도록 그렇게 하신다면 그것이 불자로서 참 긍지, 자랑스러운 일이라고 나는 생각을 합니다.
최상승법(最上乘法), 또 우리나라 고유의 국악,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 예술, 다 세계적인 것입니다. 세계에다 자랑할 만한 것입니다. 조금도 서구에 손색이 없는 것이고, 대단히 자랑스러운 것입니다.
긍지를 가지고 사소한 생활에서부터서 최상승을 믿는 법보재자(法寶弟子)답게 늠름하게, 여유 있게 그리고 밝게, 그렇게 우리 모두 살아갈 것을 기약을 합시다.
화소계전우(花笑階前雨)요 송명난외풍(松鳴欄外風)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
하수궁묘지(何須窮妙旨)리요 자개시원통(這箇是圓通)이니라
나무~아미타불~
화소계전우(花笑階前雨)요. 꽃은 층계(層階) 앞에 빗속에 웃고, 돌층계 앞에 비가 내리는데 그 빗속에서 활짝 피어 웃고 있고,
송명난외풍(松鳴欄外風)이로구나. 솔바람은 난간 밖에 바람에서 울고 있구나. 난간 밖에 바람 속에서 소나무가 자연의 비파(琵琶)를 불고 있구나.
하수궁묘지(何須窮妙旨)리요. 어찌 모름지기 달리 묘한 뜻을 찾을 것인가.
자개(這箇)가 시원통(是圓通)이라. 바로 이것이 온 세계에 가득차 있는 진리가 아니고 무엇이냐.(27분59초~50분45초)(끝)
------------------(1)
*(게송) ‘생애여몽약부운~’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야부도천 게송 참고.
*뜬구름 ; ①하늘에 떠다니는 구름. ②덧없는 세상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육친(六親) ; 부모(父母), 형제(兄弟), 처자(妻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청백안(靑白眼) ; 지혜의 눈. 잘 능히 상대방의 근기(根機)의 천심(淺深)을 분별하는 안목(眼目).
*음덕(蔭德 덕택 음/ 덕 덕) ; ①조상의 덕. ②부모나 다른 사람이 돌보아 주는 보호나 혜택.
*생애(生涯 날 생/ 끝 애) ; 살아 있는 한평생의 기간.
*처지(處地) ; ①서로 사귀어 지내는 관계. ②지위나 신분.
*인연(因緣) ; ①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분 또는 관계. ②어떤 상황이나 일, 사물과 맺어지는 관계(연줄). ③인(因)과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결과를 만드는 직접적인 힘(因)과 그를 돕는 외적이고 간접적인 힘(緣).
*부귀(富貴 재물이 넉넉할 부/귀할 귀) ; 재산이 넉넉하고 지위가 높음.
*영화(榮華 영화·영달 영/빛날 화) ; 몸이 귀하게 되어 이름이 세상에 드러나고 빛남.
*공명(功名 공로 공/이름 명) ; 공을 세워 이름이 세상에 떨쳐짐. 또는 그 이름.
*'모두 지내놓고 보면 한바탕 춘몽(春夢)에 지내지 못하고~' ; 일장춘몽(一場春夢). 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나 인간 세상의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기묘묘하다(奇奇妙妙--) ; 몹시 기이(奇異)하고 묘(妙)하다(일이나 이야기의 내용 따위가 기이하여 표현하거나 규정하기 어렵다).
*부귀영화(富貴榮華) ; 많은 재산과 높은 지위로 누릴 수 있는 영광스럽고 호화로운 생활.
*타당(妥當 평온할 타/마땅할 당) ; 일의 이치로 보아 옳음.
*한칼 ; 한 번 휘둘러서 베는 칼질.
*일대사(一大事) ; 매우 중요하거나 아주 큰 일. 삶과 죽음, 즉 생사(生死)의 일.
①부처님이 중생구제를 위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큰 일. 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②가장 중요한 일이란 뜻. 수행의 목적. 깨달음을 얻는 것. 인간으로서의 완성.
『법화경』 방편품에 ‘諸佛世尊, 唯以一大事因緣故, 出現於世 모든 부처님은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때문에 세상에 출현한다’라고 한 것에서 유래. ‘부처님이 세상에 출현한 목적은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보이고, 지혜를 발휘하여 모든 중생을 깨닫게 하고 구제하는 것’이다.
*활계(活計) ; 살아갈 계책(計策). 또는 살릴 계책.
*계책(計策 헤아릴·꾀할 계/꾀 책) ;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꾀나 방법을 생각해 냄. 또는 그 꾀나 방법.
*삼독(三毒) ; 사람의 착한 마음(善根)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성냄·어리석음(貪瞋癡) 따위를 독(毒)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오욕락(五欲,五慾,五欲樂) ; ①중생의 참된 마음을 더럽히는—색,소리,향기,맛,감촉(色聲香味觸)에 대한—감관적 욕망. 또는 그것을 향락(享樂)하는 것.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②불도를 닦는 데 장애가 되는 다섯 가지 욕심. 재물(財物), 색사(色事), 음식(飮食), 명예(名譽), 수면(睡眠).
*비긋이 ; 남이 느끼지 못하게 슬그머니.
*선망부모(先亡父母) ; 금생에 돌아가신 부모 뿐만 아니라 과거 우리의 모든 부모.
[참고] 1984년(갑자년) 칠석차례(No.243) 송담 스님 법문에서.
“선망부모는 저 사람의 선망부모가 곧 나의 선망부모와 같은 것입니다.
영가(靈駕)는 수천만 번 몸을 바꾸면서 나의 조상이 되었다, 김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박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가, 이씨네 조상으로 태어났다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내 부모가 바로 저 사람의 부모고, 저 사람의 부모가 다 내 부모여서, 내 부모를 소중히 아는 사람은 바로 다른 노인들을 다 소중히 여기게 되고, 내 자식이 사랑스런 사람은 또 다른집 아기들도 아껴주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동체대비(同體大悲)라 하는 것입니다.”
*이고득락(離苦得樂) ; 괴로움을 벗어나서 즐거움을 누림.
*고해(苦海) ; 중생이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개의 세계, 삼계(三界 :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에서 생사의 괴로움이 무한하므로 바다에 비유함.
*업장소멸(業障消滅) ; 전생(前生)이나 금생(今生)에 행동·말·마음(신구의,身口意)으로 지은 악업(惡業)으로 인하여 이 세상에서 생긴 장애(障礙)가 사라져 없어짐.
*극락세계(極樂世界)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極) 안락(樂)하고 자유로운 세상(世界)이다. 안양(安養)•안락국(安樂國)•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무량청정토(無量清淨土)라고도 함.
*왕생(往生) ; 죽어서 다른 세계에 가서 태어남. 이 세상에서 쌓은 공덕으로 죽어서 정토에 태어남. 염불한 공덕으로 죽어서 극락에 태어남.
*복덕(福德) ; ①착하고 어진 행실에 대한 보답으로 받는 행복과 이익. ②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는 착한 일.
*구족(具足 갖출 구/충족할 족) ; 구비만족(具備滿足)의 줄임말. ①부족함 없이, 빠짐없이 완전하게 갖춤. ②원만(圓滿)과 같음. 완전.
*우순풍조(雨順風調) ; 비가 때맞추어 알맞게 내리고 바람이 고르게 붊. 주로 농사짓기에 알맞게 기후가 순조롭고 좋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법보전(法寶殿, 現 대웅전) ; 법보전(現 대웅전)은 용화선원의 주(主) 법당(法堂)으로 진리(法寶)의 전당이라는 뜻.
그래서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법신불(法身佛)을 형상화한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을 모셨고, 그 좌우에 부처님 경전과 전강 조실스님의 진영을 봉안하였다. 그리고 많은 유주·무주의 영가 천도를 위하여 만년위패를 봉안하여 놓았다.
*운집(雲集 구름 운/모일 집) ; 구름[雲]처럼 모인다[集]는 뜻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과학 문명(科學文明) ; 과학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문명.
*기복불교(祈福佛敎) ; 복을 구하거나 비는 불교의 한 모습. 복을 구하는 행위나 생각은 종교의 본질적인 것이라 할 수 있으나, '기복'이라는 말을 종교 앞에 붙인 경우에는 좋지 않은 뜻으로 쓰인다.
*최상승(最上乘) ; 더할 나위 없는 뛰어난 교법. 최상의 가르침. 가장 뛰어난 가르침.
*지극정성(至極精誠) ; 더할 수 없이 극진한 정성(온갖 힘을 다하려는 진실되고 성실한 마음).
*감응(感應) ; 감응도교(感應道交). 부처님과 수행자의 마음이 교류하는 것. 중생의 신심, 선근(善根)이 모든 부처님•보살에게 통해서 그 힘이 나타나는 것. 중생의 신심이 진실하게 느껴져, 부처님과 보살이 답하는 것.
중생 기감(機感,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소질이나 능력)이 뜨거우면 부처님의 응(應)하는 마음도 또한 깊다. 그쪽과 이쪽이 사이를 두지 않음을 도교(道交)라 한다.
*목욕재계(沐浴齋戒) ; 제사나 중요한 일 따위를 앞두고 목욕을 하여 몸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을 피하며 마음을 가다듬는 일.
*폐백(幣帛 예물 폐/비단 백) ; ①일반적인 모든 예물(禮物). ②임금에게 바치거나 제사 때 신에게 바치는 물건. 또는 그런 일. ③신부가 처음으로 시부모를 뵐 때 큰절을 하고 올리는 물건. 또는 그런 일.
*(게송) ‘대지산하시아가~’ ; 『소요당집(逍遙堂集)』 게송 참고.
*고향(故鄕) ; 본래 살던 곳. 본고향(本故鄕). 본향(本鄕). 태어나고 자란 본래의 고향. 이 뜻에 기초하여 사람이 본래 갖추고 있는 심성[本性], 부처의 성품 또는 청정한 불국토라는 뜻으로 쓰인다.
*견성성불(見性成佛) ;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부처의 성품[性]을 꿰뚫어 보아[見] 깨달아 부처가 됨[成佛].
견성의 성(性)은 본성(本性), 자성(自性), 본심(本心), 법성(法性) 등과 같으며, 이런 맥락에서 견성을 견자심불성(見自心佛性), 견불성(見佛性), 견자본성(見子本性), 견법성(見法性)이라고도 한다.
*즉해서(卽-- 곧·즉시 즉) ; 곧. 곧바로. 당장. 즉시(卽時 : 어떤 일이 행하여지는 바로 그때). 즉각(卽刻 : 일이 일어나는 그 순간 바로. 당장에 곧).
[참고] 송담스님(No.434)—1991년 2월 첫째 일요법회(91.02.03)에서.(9분10초)
〇이 세상에 태어날 때 그놈이 딱 이 몸뚱이 속에 어머니 뱃속으로 들어가 가지고, 부모에게 이 몸뚱이를 받아서 그래서 태어나 가지고 젖 먹고 밥 먹고 해서 이렇게 컸는데. 이 몸뚱이는 맛있는 음식, 밥 반찬 모다 그런 것을 먹고 영양을 섭취해서 이 몸뚱이는 자라고 건강하고, 또 잘못 먹고 과식하고 그러면은 또 병이 나기도 하지마는.
그런데 이 몸뚱이를 끌고 다니는 우리 주인공은 무엇을 먹어야 그놈이 잘 자랄까? 그건 보약을 먹는다고 해서 그놈이 잘되진 않아. 돈이 많다고 해서 그놈이 잘되지도 않고, 명예와 권리가 높아진다고 해서 그놈이 잘되지는 않아.
그놈은 발심(發心)을 해서 도(道)를 닦아야, 도 닦는 것이 다른 게 아니라 우리의 마음자리 자성(自性)을 갖다가—그걸 쉽게 말해서 우리의 영혼이라 그러는데,
영혼과 우리의 자성과는 엄격히 구별을 하면은 뜻이 차이가 있겠으나 알기 쉽게 그저 보통 사람들이 육체와 영혼 다 그렇게 생각을 해서 보통 사람의 말을 따라서 영혼이란 단어를 쓰는데.
영혼은 물질로써 그놈이 훌륭해지지를 안 해. 경을 읽는다던지, 염불을 한다던지, 주력을 한다던지, 무슨 계행을 닦는다던지, 여러 가지 다 조도(助道) 하는 방법이 있겠으나 가장 효과적인 가장 좋은 방법은 참선법(參禪法)이거든. ‘이뭣고?’거든. ‘이 몸뚱이 끌고 다니는 이놈이 무엇인가?’
이놈은 경을 많이 읽고, 많이 해석할 줄 알고, 많이 외우고 그러므로 해서 이것이 닦아지는 것이 아니라, 물론 안 읽는 사람보다는 마음이 좋아질 수도 있고 또 간혹 경을 읽으므로 해서 또 이 지혜의 눈을 뜨는 사람들도 있지마는, 누구에게나 가장 하기 쉽고 간단하고 할 수 있는 방법은 ‘이뭣고?’거든.
무엇을 볼 때나 무엇을 들을 때나, 무슨 생각이 일어날 때나—번뇌 망상이 일어나건, 진심이 일어나건, 슬픈 생각이 일어나건, 외롭고 괴로운 생각이 일어나건, 억울한 생각이 일어나건, 미운 생각이 일어나건, 어떠한 생각이 일어날 때라도 그 생각을 버릴라고 할 것 없이 그 생각에 즉(卽)해서 ‘이뭣고?’거든.
'즉(卽)한다'고 한 것은 버리고 여의고 띠어 내던진다는 것이 아니라, 고냥 고대로 놔둔 바로 그 자리에서 ‘이뭣고?’거든. 이것이 바로 최상승법(最上乘法) 하는 법이여.
소승법(小乘法)에서는 그런 생각을 자꾸 없애고 버리고 띠어 내버리고 그래 가지고 열반을 증득을 할려고 그런 것인데, 그래 가지고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가는데. 이 최상승법은 그게 아니거든. 버리고 띠어 번지는 것이 아니라, 바로 거기에서 딱! 화두(話頭)만 들면 되거든. ‘이뭣고?’
하나도 어려울 것이 없거든.
어려운 것은 과거에 무량겁을 두고 오늘 이 금생까지 오면서 수없는 생을 거듭하고, 수없는 업을 쌓아온 습기(習氣)가 있어서 끝없이 업이 발동이 되어. 그러나 그놈을 버릴려고 그러고, 누를려고 그러고, 띠어 낼라고 한다고 해서 버려진 것도 아니요, 띠어 내지지도 않는 거여.
그놈에 즉(卽)해서 화두만 들면, 화두 드는 생각이 뚜렷하고 간절하면 어떠한 업(業) 발동도 거기에서 그냥 찰나간에 이렇게 바뀌어지거든. 왜 그러냐?
‘이뭣고?'하는 놈이나, 업 발동하는 놈이나 근본은 내나 우리의 진여불성(眞如佛性)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그놈에 즉해서 화두만 들면 되는 것이지 띠어 내고 자실 것이 없거든.
파도가 물에서 일어났는데, 파도가 일어난다고 해서 그 파도가 일어난 부분을 자꾸 퍼낸 그런다고 해서 파도가 가라앉는 것은 아니여. 그 파도에서 바로 물을 봐 버려야 하는 거여.
파도 여의고 물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것은 큰 착각이고, 영원히 파도를 없앨 수가 없는 거여. 건드릴수록 파도는 일어나는 것이니까. 그 파도를 여의지 않고 그 파도가 바로 물인 줄 봐야 하는 것처럼 번뇌 망상을 여의고 진여를 찾으려고 하지 말고 거기에 즉해서 화두만을 들어.
화두라 하는 것은 백 가지, 천 가지의 좋은 약초를 갖다가 고아 가지고 그놈을 삶아서 물을 내어 가지고 그놈을 계속해서 대리면은 이렇게 고(膏)가 나온 것처럼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을 그렇게 해서 뽑아 낸 것이 ‘시삼마(是甚麼, 이뭣고?)’거든. 그래서 ‘시삼마’ 한 번 하는데 팔만대장경 한 번 읽은 거와 마찬가지여.
오히려 그보다도 백 가지 풀을 그놈을 다 먹으면 배만 터지지 무슨 약이 그것이 되겠습니까? 몇날 며칠을 그놈을 먹어야 하겠습니까? 그놈을 삶아서 고(膏)를 내서 먹으면 먹기도 좋고 약 효험도 빠를 거다 그말이여.
팔만대장경 구구절절이 다 부처님의 묘법(妙法)이시지만 그걸 우리가 어떻게 그걸 다 읽으며, 읽은들 그 참뜻을 어떻게 알 수가 있느냐 그말이여. 읽어봤자 한문이 어렵고 번역을 한 거 읽어봤자 많이 읽다 보면 무슨 소리인 줄도 모르는 거고.
과거에 도(道)를 깨달은 조사(祖師)들이 그 팔만대장경의 뜻을 무루 읽도록 다 터득을 해 가지고는 확실히 그 근본의 진리를 깨달은 도인(道人)이 탁! ‘시삼마’ 화두를 이것을 참구함으로써 팔만대장경의 뜻 뿐만이 아니라 우주법계의 진리를 탁! 깨달을 수 있도록 해 논 것이 바로 이 활구참선이고 화두거든.(44분3초~53분14초)
*본참공안(本參公案) : 본참화두(本參話頭).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타파해야 할 자기의 화두(공안)로써 자기가 믿어지는 바른 선지식으로부터 받아서 참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여래지(如來地) ; 불지(佛地). 부처의 지위(地位)·경지(境地). '부처의 상태를 이루었다'는 뜻의 성불(成佛)과도 같은 뜻.
*방편(方便 방법·수단 방/편할 편) ; ①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끌어가기 위해 일시적인 수단으로 설한 가르침. 중생 구제를 위해 그 소질에 따라 임시로 행하는 편의적인 수단과 방법. 상황에 따른 일시적인 수단과 방법.
②교묘한 수단과 방법.
*팔만사천(八萬四千) : 중생의 망상이 벌어져 나가는 것을 자세히 분석하면 팔만 사천 갈래가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망상을 따라 일어나는 악마의 수효도 팔만 사천이요, 망상을 다스리는 법문도 팔만 사천이다.
인도에서는 많은 수효를 말할 때에는 이 말을 쓰는 수가 가끔 있다. 줄여서 팔만이라고만 하기도 한다.
*법문(法門 부처의 가르침 법/문 문) : 부처님의 가르침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 세계를 벗어나, 열반(涅槃)에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이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르는 말. 진리에 이르는 문.
*출세(出世) : ①부처님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②태어나는 것. 법을 체득한 사람이 중생교화를 위해서 세상에 나오는 것 ③세간을 초월하는 것. 출세간(出世間)의 준말. 삼계(三界)를 나오는 것.
*진진찰찰(塵塵刹刹) ; ①티끌 수와 같이 무수한 국토를 말한다. ②미세한 티끌 가운데에도 국토가 있다는 것.
진진찰토(塵塵刹土), 찰찰진진(刹刹塵塵)이라고도 한다. 진진(塵塵)은 티끌. 찰(刹)은 산스크리트어 kṣetra의 음사. 토(土), 국(國), 처(處)라고 번역. 국토. 세계. 땅. 장소. 영역.
*육도법계(六道法界) ; 육도(六道)의 세계. 육도(六道,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법신(法身) : [범] dharma - kaya 「법 몸」이란 말인데, 실불(實佛) • 법성신(法性身) •진여불(眞如佛) • 법계성(法界性) 같은 말들이 모두 한뜻이다.
진여의 본 바탕(眞如本體)을 이름이니, 중생에 있어서 부족할 것이 없고 부처님이라고 더 특별할 것이 없어, 본래 깨끗하고 빛나고 두렷하여 무한한 공간과 무궁한 시간에 꽉 차 있으되, 네 가지 말로도 설명할 수 없고(離四句) 백 가지 아닌 것으로도 옳게 가르칠 수 없으며(絕百非), 무엇으로나 형용하여 볼 수가 도저히 없는 것이다.
*삼라만상(森羅萬象) 두두물물(頭頭物物) ; 우주 사이에 벌여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삼세제불(三世諸佛) ; 삼세(三世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모든 부처님[諸佛].
*언필칭(言必稱) ; 말을 할 때면 항상 일컫기를.
*중생(衆生) ; ①생존하는 것. 목숨이 있는 것. 산것. 살아있는 것. 특히 인간. 사람들. 세상 사람. 유정(有情)이라고도 함. ②번뇌에 얽매여 미혹한 모든 존재. ③부처가 될 수 있는 요소. 본질.
*화현신(化現身) ; 부처님이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각(各) 중생의 소질에 따라 여러 가지로 모습을 바꾸어 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 화신(化身)이라고도 한다.
*산승(山僧) ; 스님이 자신을 겸손하게 일컫는 말.
*범부(凡夫 무릇·보통 범/남편·사내 부) ; 무명 번뇌(煩惱)에 얽매여 업에 따라 과보를 받아 자재롭지 못하여 생사(生死)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 각각의 중생들이 서로 다른 업으로 말미암아 윤회하기 때문에 이생(異生) 또는 이생범부(異生凡夫)라고도 한다.
사향사과(四向四果)의 성인을 기준으로 보면 도를 깨닫지 못한 이들을 모두 범부라 하고, 대승은 성문 · 연각 · 보살 · 불 등 사성(四聖)을 기준으로 하여 보면 육도에서 생사윤회하는 중생들은 모두 육범(六凡)이라 한다.
*알음알이[知解. 解. 會. 解會] ; 참선은 연구하는 것이 아니다。생각으로써 이리저리 따져서 아는 것은 깨친 것이 아니다。참선하는 데 가장 꺼리는 것이 이 알음알이이다。그러므로 『이 문 안에 들어오려면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入此門內莫存知解)』라고 크게 써서 절 문에 붙이는 것이 이 까닭이다.
*대총상(大總相法門) ; 진여(眞如)를 가르켜 말함. 진여의 실체.
진여가 광대하여 모든 것을 포섭한 것을 대(大)라 하고, 일미 평등(一味平等)하여 차별의 모양을 여읜 것을 총상(總相), 수행하는 이의 모범이 되는 것을 법(法), 관하는 지혜가 드나드는 것을 문(門)이라 한다.
------------------(2)
*영가(靈駕) ; 망자의 넋을 높여 부르는 말. 영(靈)은 정신의 불가사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신 자체를 가리키고, 가(駕)는 상대를 높이는 경칭(敬稱)이다.
*천도(薦度) ; 불교 의례의 하나. 망자의 넋을 부처님과 인연을 맺어 주어 좋은 곳으로 가게 하는 일.
*고인(古人) ; ①불보살(佛菩薩)님을 비롯한 역대조사(歷代祖師), 선지식을 말한다. ②옛날 사람. 옛날 선승(禪僧).
*“참 부처는 입이 없어서 설법할 줄을 모르고, 참으로 듣는 것 참다운 들음은 귀가 없거늘 누가 들을 것인가?” ; ‘眞佛無口, 不解說法. 眞聽無耳, 其誰聞乎.’
[참고] 황벽(黃檗) 스님의 『완릉록(宛陵錄)』에서.
〇此性縱汝迷時亦不失, 悟時亦不得. 天眞自性, 本無迷悟. 盡十方虛空界, 元來是我一心體. 縱汝動用造作, 豈離虛空. 虛空本來無大無小, 無漏無爲, 無迷無悟. 了了見, 無一物, 亦無人, 亦無佛,
이 본성은 비록 네가 미혹해 있을 때라도 결코 잃지 않으며, 또 깨달았을 때라도 역시 얻는 것이 아니다. 천진스런 이 자성(自性)은 본래 미혹함도 깨달음도 없다.
온 시방의 허공계가 원래 나의 한마음의 본체이다. 비록 그대가 여러 가지 활동을 할지라도 어찌 허공을 벗어날 수 있겠는가? 허공은 본래 크지도 않도 작지도 않으며, 번뇌도 없고 유위도 없으며, 미혹함도 없고 깨달음도 없다. 뚜렷하고 분명하게 보아 한 물건도 없고, 또한 중생도 없고 부처도 없다.
絶纖毫的量, 是無依倚無粘綴一道淸流, 是自性無生法忍. 何有擬議. 眞佛無口, 不解說法. 眞聽無耳, 其誰聞乎. 珍重.
거기에는 털끝만큼도 계량(計量)할 수 있는 것이 없으니, 의지하여 기댈만한 것도 없고 달라붙을 것도 없는 한 줄기의 맑은 흐름인 것이며, 이것이 곧 자성(自性)의 무생법인(無生法忍)인 것이다. 어찌 무슨 의론의 여지가 있겠는가? 참 부처는 입이 없어서 설법할 줄을 모르고, 참으로 듣는 것(참다운 들음)은 귀가 없거늘 누가 들을 것인가? 자신을 소중히 하여라.
*법신불(法身佛) ; 절대적 지혜의 지고한 상태, 즉 진리 그 자체를 가리키는 부처님(佛).
*분상(分上 분수 분/윗 상) ; 자기의 신분이나 처지에 알맞은 입장.
[참고] 분(分) : 분수(分數 - 자기 신분에 맞는 한도. 자기의 신분이나 처지에 알맞은 한도).
상(上) : ①‘그것과 관계된 입장’ 또는 ‘그것에 따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②‘추상적인 공간에서의 한 위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 정진하는 분상에는 ---> 정진하는 수행자에 알맞은 입장에 따르자면.
*불사(佛事) ; ①불법(佛法)을 알리는 일. 제사, 법회 따위의,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모든 일을 가리킨다. ②부처님이 중생을 교화(敎化)하는 일.
*정법(正法) ; ①올바른 진리. ②올바른 진리의 가르침. 부처님의 가르침. ③부처님의 가르침이 올바르게 세상에 행해지는 기간.
*본업(本業) ; ①주가 되는 직업. ②주로 하는 일.
*부처님의 조국인 가비라왕국과 사위국 유리왕과의 악연. 석가족의 멸망 인과. 가비라왕국과 사위국의 멸망. 『증일아함경(增壹阿含經)』 제26권, 34.등견품(等見品) [2].
*삼계도사(三界導師) : 삼계(三界)의 중생을 열반(涅槃)로 인도(引導)하는 위대한 사람. 부처님을 말함.
*사생자부(四生慈父) ; 육도윤회(六途輪廻)하는 세계에서 4가지 방식(四生)으로—태생(胎生), 난생(卵生), 습생(濕生), 화생(化生)—태어나는 모든 중생을 열반으로 이끄는 대자비(大慈悲)의 아버지. 부처님을 말함.
*세존(世尊) : [범] Bhagavat ; Lokanatha ; Lokajyestha의 음역(音譯)으로 바가범(婆伽梵) 로가나타(路迦那他) 로가야슬타(路伽惹瑟吒)라 하며 부처님 십호(十號)의 하나.
부처님은 원만한 공덕을 갖추어 세상에서 가장 높으시므로, 이렇게 부르며 석존(釋尊)이라고도 한다.
*민도(民度) ; 국민의 생활, 문화, 의식 수준.
*(게송) ‘화소계전우~’ ; 《벽송당야로송(碧松堂埜老頌)》(벽송 지엄) ‘示眞一禪子’ 게송 참고.
*원통(圓通 온전하다·원만하다 원/통하다 통) ; 걸림 없이 일체에 원만하게 통함. 원통무애(圓通無礙) 원통자재(圓通自在) 등이라고도 한다. 성자가 미묘한 지혜로 증득한 실상의 이치 또는 불보살의 깨달음의 경계를 나타낸다.
체성(體性)이 일체에 두루 미치기 때문에 원(圓)이라 하고, 묘용(妙用)이 자재하여 장애가 없기 때문에 통(通)이라 한다. 또한 지혜에 의해 진여를 깨닫는 실천 수행을 가리키기도 한다.
[법문 내용]
(게송)생애여몽약부운~ / 인생살이를 꿈에다가 비유하고 또 구름에다가 비유 / 칠석날의 소박한 신앙. 돌아가신 선망부모의 극락세계 왕생, 살아 있는 부모 형제 자손들의 수명장수하고, 복덕구족하고, 자손창성을 기도하고 축원하는 날 / (게송)대지산하시아가~ / 현실에 자기 발 디디고 살고 있는 그곳이 바로 자기의 고향 / “불법(佛法)을 먼 데에서 구하지 말아라. 불법은 너의 마음속에 있고 지금 이 자리, 이때를 버리고 찾지 말아라” / 갓없는 우주법계(宇宙法界)가 전판 다 부처님의 법문으로 가득차 있는 것이고, 부처님의 법신(法身)으로 가득차 있다 / 법문을 설(說)하면서 동시에 그 법문을 듣고 있는 것입니다. 법을 설하는 것과 법문을 듣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 대총상법문(大總相法門).
고인(古人)이 말씀하시기를 “참 부처는 입이 없어서 설법할 줄을 모르고, 참으로 듣는 것 참다운 들음은 귀가 없거늘 누가 들을 것인가?” [참고] 황벽(黃檗) 스님의 『완릉록(宛陵錄)』 / 부처님의 조국인 가비라왕국과 사위국 유리왕과의 악연. 석가족의 멸망 인과. 가비라왕국과 사위국의 멸망. 『증일아함경(增壹阿含經)』 제26권, 34.등견품(等見品) [2] / (게송)화소계전우~.
〇오늘은 병인년 칠월 칠석(七夕)날입니다. 저 옛날부터서 칠석날에는 돌아가신 선망부모(先亡父母)와 원근 친척과 모다 그러한 영가들을 위해서 이고득락(離苦得樂), 고해(苦海)를 벗어나서 업장(業障)을 소멸해 가지고 극락세계(極樂世界)에 왕생(往生)하기를 축원을 하고,
또 살아 있는 부모 형제 자손들의 수명장수하고, 복덕(福德)이 구족(具足)하고, 자손이 창성하도록 그리고 나라와 민족, 국가 민족이 모두가 다 우순풍조(雨順風調)해서 모든 사람이 모다 화합해서 잘살기를 빌고 하는, 이러한 부처님께 칠성님께 공양을 올리고, 기도를 하고 축원을 하는 그러한 성스러운 날로 여겨 왔던 것입니다.
〇대지산하(大地山河),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이 대지산하가 온통 이것이 다 나의 집이요 나의 고향인데, 그것이 자기 고향인 줄을 모르고 자기 고향을 평생토록 찾으러 다녀. 왜 자기 고향에 발을 디디고 자기 고향에서 살면서 왜 고향을 찾고 있느냐? 눈에 보이는 산을 기웃기웃 산을 보다가 자기의 갈 곳을 잊어버려, 길을 잊어버린다 그 말이여.
현실에 자기 발 디디고 살고 있는 그곳이 바로 자기의 고향이요, 자기가 설 곳이요, 자기의 바로 살아 갈 곳인데, 그 자리를 놔두고 저 눈에 보이는 저 먼산을 갖다가 '행여나 저기에 내 고향이 있는가? 저 산너머에 내 고향이 있는가?' 하고 멀리 찾다가 자기의 진짜 고향을 잊어버리더라 그 말이여.
우리 도 닦는 사람이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하기 위해서 온갖 고행을 극복을 하면서 수행을 하는데, 현재 우리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몸으로 춥고 더운 것을 느끼고, 생각으로 모든 것을 알고, 이러한 현실 경계를 내놓고 따로 도(道)의 경지를 찾고, 따로 견성(見性)할 것을 구하고, 따로 성불(成佛)할 어떠한 특수한 경지를 구하는 한은 참다운 견성은 이르러 오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지금 눈으로 무엇을 볼 때, 귀로 무엇을 들을 때, 현재 우리가 발로 걸을 때, 춥고 더운 것을 느낄 때, 좋고 나쁜 것을 생각할 때, 바로 그때, 그곳을 여의지를 말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것에 집착하라는 것이 아니고, 바로 그곳에 즉(卽)해서 자기의 본참공안(本參公案)을 관조(觀照)할 때에 거기에서 견성성불의 문이 열리는 것입니다.
지금 현재 닥치고 있는 그 일이 자기 마음에 들건 안 들건, 좋건 나쁘건, 기쁘건 슬프건, 그것이 문제가 아니여. 그놈을 여의고 찾지도 말 것이며, 그놈에 집착해서 구하지도 말 것이여. 일체처 일체시에 그렇게 다그쳐 가야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여래의 땅[如來地]에 이르는 소식이 있는 것입니다.
항상 법회 때마다 “불법(佛法)을 먼 데에서 구하지 말아라. 불법은 너의 마음속에 있고 지금 이 자리, 이때를 버리고 찾지 말아라” 이런 말씀을 했습니다. 그것은 방편(方便)이 아니라 그 말이 우리 공부해 나가는 데에 너무 적절하고,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바르게 도를 닦아갈 수가 없기 때문인 것입니다.
〇법문을 설(說)하면서 동시에 그 법문을 듣고 있는 것입니다. 법을 설하는 것과 법문을 듣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산승(山僧)도 역시 설(說)하고 듣고 있고, 여러분도 들으면서 동시에 또 설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산승이 설한 것이 아니요 여러 사부대중(四部大衆)이 설하고 듣는 것이 아니라, 바로 부처님이 설하시고 부처님이 듣고 계시는 것입니다. 설(說)하고 듣는 것이 동시(同時)인 것입니다.
그러니 이것이 어찌 묘(妙)하다고 아니할 수가 있겠습니까? 동시에 설하고 듣고 있는 이것을 어찌 중생의 생각으로 이것을 구할 수 있으며, 어찌 범부(凡夫)의 알음알이로 이것을 헤아릴 수가 있겠습니까? 이것이 바로 대총상법문(大總相法門)이라 하는 것입니다.
〇그래서 이 대총상법문(大總相法門)은 설한 바 없이 설하고, 들은 바 없이 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만약 설할 것이 있다면은 그 법문은 바른 법문이 아니요. 들은 바가 있다면, 들을 것이 있다면 그 법문은 옳게 들은 것이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고인(古人)이 말씀하시기를 “참 부처는 입이 없어서 설법할 줄을 모르고, 참으로 듣는 것 참다운 들음은 귀가 없거늘 누가 들을 것인가?” 이렇게 말씀을 했습니다.
이렇게 법(法)을 설하고 이렇게 법을 들을 때에, 그 법은 우주법계에 가득차신 법신불(法身佛)과 우주 법계에 가득찬 일체 중생이 동시에 설하고 동시에 듣게 되므로 온 세계는 불보살(佛菩薩)로 가득차게 되는 것입니다.
그 불보살이 따로따로 떨어져서 온 세계에 퍼졌다 해도 떨어진 것이 아니고, 하나가 되었다고 해서 합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301~400 > (301~3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324)—1987년 신수기도 회향(87.02.06) (50분) (0) | 2021.11.11 |
---|---|
((No.325))—1987년 동안거 해제 법회(87.02.12) (37분) (0) | 2021.04.14 |
((No.301))—1986년(병인년) 하안거 결제 (42분) (0) | 2021.03.28 |
((No.314))—1986년(병인년) 동안거 결제(86.11.16) (71분) (0) | 2020.12.29 |
(No.306)—1986년 8월 화두 불명 수계 법어(86.08.03) (62분) (0) | 202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