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01))—1979년 1월 관음재일 법문(79.01.24.음) (58분)
(1/3) 약 21분. (2/3) 약 18분. (3/3) 약 19분.
(1/3)----------------
진로형탈사비상(塵勞逈脫事非常)이라 긴파승두주일장(緊把繩頭做一場)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불시일번한철골(不是一飜寒徹骨)인댄 쟁득매화박비향(爭得梅花撲鼻香)이리요
나무~아미타불~
생사해탈(生死解脫)하는 일이 이 보통 일이 아니니,
긴파승두주일장(緊把繩頭做一場)하라. 긴히, 긴밀히 꽉! 승두(繩頭)를 잡아서 한바탕 공부를 지어라. 승두(繩頭)는 참선하는 사람은 화두(話頭), 화두를 놓치지 말고 단단히 거각(擧却)을 해서 공부를 잡두리를 해라.
불시일번한철골(不是一飜寒徹骨)이면, 이 한번 뒤쳐서 차운 것이 뼛속에 사무치지 아니할 것 같으면,
쟁득매화박비향(爭得梅花撲鼻香)이리요. 어찌 매화꽃 향기가 코를 침을 얻으리요.
되게 강추위를 한 뒤끝에 매화가 피어야만 그 매화 향기가 진동을 하는 것입니다. 추운 강추위가 없이 겨울 날씨가 뜨뜻, 마냥 이상(異常) 기온으로 뜨뜻해서 매화꽃이 싱겁게 피어 놓으면 그 매화는 향기가 진동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정진을 하는데, 화두(話頭)를 타 가지고 참선(參禪)을 하는데 영 순일(純一)하지를 못하고 화두가 잘 들리지를 않고, 그래 어떻게 했으면 화두가 잘 들리며, 어떻게 했으면 이 발심(發心)이 되어서 화두를 들려고 안 해도 제절로 잘 들려서 공부를 잘할 수가 있겠습니까?'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종종 문의를 받습니다.
화두를 타 가지고 아무리 공부를 하려고 해도 화두가 잘 들리지를 아니하고, 생각이 맹렬하지를 못하고, 들어도 한 번 두 번 들면 들을 때만 잠깐 있다가, 돌아서 일 분도 못 가서 또 화두가 안 들리고. 이리해서 '이거 공부를 할 줄 몰라서 그런 것이냐? 화두가 나한테 맞지를 않아서 그런 것이냐?' 이리저리 생각하다가 저 또 딴 큰스님네한테 가서 화두를 새로 타 가지고 또 해 보니, 새 화두를 가지고 해 보니 뜬금없이 그전에는 그렇게 들려고 해도 잘 안 들었던 화두가, 묵은 화두가 생각이 나고,
'이것 새 화두는 그만두고 또 묵은 화두를 들고 한바탕해 보까?' 그러니 또 새 화두가 또 생각이 나고.
이리해서 갈팡질팡 이 화두 조끔 들어보다 저 화두 좀 들어보다가, '아! 이것이 그 잘 안되는 것이 업장(業障)이 많아서 그러나? 이 업장소멸(業障消滅)하기 위해서 기도를 좀 해 보까?'
마치 어떤 사람이 월급만 받아 가지고는 살림이 도저히 꾸려 나갈 수가 없으니까 '무슨 계를 좀 해 보자. 계를 하려니 무슨 장사를 조끔 해 보까? 밀수 장사를 좀 해 보까? 화장품 장사를 좀 해 보까?' 이것 쫌 해 보다, 저것 쫌 해 보다, 마냥 집에 붙어 있는 겨를이 없이 밖으로 밖으로만 돌아댕기다가 살림도 엉망이고 곗돈도 띠이고, 화장품 장시하다가 들켜 가지고 들통이 나고 이리해서 패가망신(敗家亡身)을 하는 그러한 사람이 신문에도 가끔 납니다마는 참선(參禪) 공부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우물을 파되 한 우물을 팔지니라. 몇 자 파다가 물이 안 나온다고 또 저만큼 옮겨서 끌쩍끌쩍, 조끔 파보다 안 나오면 또 저그 가서 끌쩍끌쩍, 그 사람은 종래 물을, 좋은 우물을 만나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다른 사람은 열 자를 팠는데, 나는 열 자를 파도 안 나오면 스무 자를 파고, 스무 자를 파서 안 나오면 삼십 자를 파고, 기어코 바위가 나오면 그 바위를 떨어내고 이리해서 다른 사람 집 우물보다도 훨씬 맛이 좋은, 가물 때나 장마 때나 변함이 없이 솟아오르는 진짜 생수를 지하수를 맛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좋은 물을 만날려면은 다른 사람보다도 몇 배를 더 파고 들어가고, 바위까지 뚫고 들어갈 만한 그러한 끈기와 용기와 참을성이 있어야 되는 것입니다.
참선도 그만한 인내력 끈기가 있어야만 이 무량겁으로 얽히고 얽힌 생사업(生死業)을 뽑아서 보리과(菩提果)를 증득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남은 열 자 파는데, 자기는 겨우 서너 자 파고 그때부터서 물이 안 나온다고 짜증을 내고, '이것 우물 자리가 좋지 못해서 이러냐?' 이러한 식으로 참선을 해 가지고 자꾸 화두를 바꿔 쌓고, 그래 가지고 이 생사해탈(生死解脫)을 기약할 수는 도저히 없는 일인 것입니다.
금방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 공부해 나가는 데 있어서 실지로 닦아 가는 실참실오(實參實悟) 하는 데 있어서 아주 요긴한 법문을 해 주셨는데, 법당 공기가 너무 혼탁한 탓인지 모두 조으신 분들이 많았습니다.
그냥 보통 이야기를 주고받고 하면은 멀쩡하니 눈이 반짝거리고 잠이 안 오다가, 참선 법문만 시작했다 하면은 또 죽비(竹篦) 치고 「이뭣고?」만 했다 하면 눈이 스르르르 감겨 가지고 아무리 눈을 부릅뜨고 웬수 만난 듯이 이를 갈아붙인다 해도 또 스르르르..
죽비를 안 치고 이야기를 하고 앉었으면 잠이 안 오는데, 왜 죽비를 치고 「이뭣고?」를 하면 잠이 오냐? 이것이 대단히 이건 참 불가사의한 일입니다.
어떤 노장님이 하루는 찾어와서 참선을, 출가하신 지가 그분도 근 20년이 된 분인데 비구니 스님인데, "참선을 새로 시작해야겠습니다. 조실 스님께 계를 받고 불명을 타고 그래서 중이 되었는데 인자 조실 스님 돌아가셨으니 천상 원장(院長) 스님을 의지해서 참선을 해야겄으니 공부를 새로 좀 가리켜 주십시요"
"아니 그동안에 20년이란 세월을 선방으로 다니시면서 했는데 무슨 공부를 새로 한단 말입니까?"
"그게 아니라, 저기 경상도 어떤 큰스님을 만나 뵈옵고 어떻게 해야 도를 빨리 성취할 수 있겠습니까?" 하고 여쭤봤더니 "어쨌든지 앉아서 많이 졸으라"고, "그저 많이 졸라야지 많이 졸라야 하느니라" 이리 말씀하셨다.
그래서 그 말을 듣고 앉아서 가만히 옆에 사람 모다 10년 20년 공부한 구참 스님네 가만히 보니까 전판 죽비를 치니, 치고 나서 5분도 못 되아서부터서 졸기 시작하는데 방선(放禪)할 때까지 그렇게 맛있게 자고 있단 말이여.
'아하! 저분들은 참 공부가 참 깊이든 분들이로구나. 에이! 나도 한바탕 자 봐야겄다' 앉아서 아무리 잠을 자려고, 기를 쓰고 자려고 해도 잠이 안 와서 애를 먹었다고 그럽니다. 한 달 두 달 어떻게 해야 이것이 잠이 오나 하고 아무리 공을 들여 봤자 점점 잠이 안 오거든.
그래 가지고 옆에 사람 '누가 저 공부를 잘하나?' 아하 확실히 금방 된 시작한 사람은 잠을 안 자고, 오래된 사람일수록 잠을 잘 자거든.
그것참, 그래서 그 일 년 이태 사오 년 내지 십 년을 걸려서 자오는 연습을 해 가지고 이제 겨우 잠을 나도 참 어디다 내놓더라도 부끄럽지 않을 만큼 잘 자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나도 자랑삼아서 그 새로 된 사람 선배 후배 모인 자리에서 그 이야기를 떠억 꺼내서 자랑을 했더니 "아! 노스님, 공부 그것이 아니에요. 잠자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닙니다"
"그 니가 모르는 소리다. 내가 큰스님한테 내가 들었는데 그럴 리가 있느냐?" 그러니 그 옆에 있는 구참들도 모다 그렇지 않다고 그러거든.
'그럴 리가 없는데' 그래서 또 다른 스님네한테 가서 또 물어보니까 역시 '존 것은 좋은 것은 아니다'
그래서 "확실히 그 존 것은 옳은 것이 아니다는 것을 알고 이제사 왔습니다. 입맛 나자 노수 떨어진다고 이제 겨우 질 나서 잘 좀 자게 되었는데 이제사 그것이 진짜 공부가 아니라 하니 이거 어떻게 합니까? 이렇게 몸은 늙고 신경통으로 무릎은 쑤시고 하니 이거 큰일났습니다"
큰스님 한마디는 '그 많이 졸라야 한다'는 말씀은 농(弄)이 좀 들어 있는 말씀이지마는, '어쨌든지 앉아서 「이뭣고?」를 열심히 해라' 아마 이러한 뜻으로 하신 말씀을 조끔 농적으로 표현을 하셨던 모냥인데, 그 말을 아주 고지식하게 듣고서 조는 것이 참선인 줄 알고, 그 안 오는 잠을 억지로 십 년 적공(積功)을 들여서 질을 냈다고 그럽니다.
그만큼 이 참선이라고 하는 것은 혼침(昏沈) 아니면 산란(散亂), 산란 아니면 혼침, 중국에 고봉(高峰) 스님이라고 한 큰스님도 '내가 3년 동안에 도업(道業)을 성취하지 못하면은 내가 차라리 목숨을 끊고 죽으리라' 이래 3년 사한(死限)을 세우고서 참선을 시작했는데, 겨우 밥 먹을 때를 제외하고는 앉아 있을 수가 없을 만큼 그렇게 잠이 퍼일어났습니다.
잠이 퍼일어나면 일어서서 포행(布行)을 하고, 포행을 하다가 잠이 깨지면 다시 또 포단 위에 올라가서 정진을 하는데, 앉으면 이 생각 저 생각 산란심(散亂心)이 퍼일어나고 산란심이 조끔 가라앉을 만하면 혼침(昏沈)에 빠지고 이리해서,
그리고 화두를 「생종하처래(生從何處來) 사향하처거(死向何處去), 어느 곳으로부터서 어데로부터서 내가 왔으며, 죽으면 내가 어느 곳으로 가는고?」 화두를 이렇게 하라고 그 지도를 받아 가지고 아! 그렇게 화두를 하는데 생각이 두 갈래로 갈라졌어.
'이 세상에 태어날 때 어데서 왔으며, 이 세상을 살고 죽으면은 어느 곳으로 가는고?' 아 이렇게 두 갈래 길로—생각도 이렇게 간추려 지지를 아니하고, 앉았다 하면은 혼침(昏沈) 아니면 산란(散亂), 산란 아니면 혼침, 이렇게 해서 하루하루 지낸 것이 어느덧 3년이라고 하는 세월이 지내가고 며칠 안 가면 마지막 3년 기한이 차서 그날이 지내가면 천상 자살을 해 버리려고 했던 그날이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참 착잡하기가 말할 수 없고, 초조하고 불안하기가 말로써 표현할 수 없는 그런 경황 속에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는데, 하룻저녁에는 꿈에 단교(斷橋) 스님이라고 하는 스님으로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는데, 하나는 어느 곳으로 돌아가는고? 이 화두를 해라' 아 꿈에 화두를 탔는데, 꿈을 깨서 보니 그 꿈속에서 탄 그 화두가 그렇게 성성(惺惺)하게 화두가 들리기 시작하는데, 들라고 안 해도 화두가 제절로 들려.
밥 먹을 때도 건성, 똥 눌 때도 건성, 대중생활 속에서 생활을 해 나가는데 일체 건성이고, 오직 「만법귀일(萬法歸一)이 일귀하처(一歸何處), 하나는 어느 곳으로 돌아가는고?」 그 화두가 성성(惺惺)하게 들리는데 기가 맥혀.
하루 이틀, 아침에 일어날 때부터서 저녁까지 밤새 잠 뭐, 일부러 딴생각을 좀 해 볼려고 해도 딴생각이 나지를 않고 오직 화두만 독로(獨露)—하늘을 쳐다봐도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는데 하나는 어느 곳으로 돌아가는고?」 「하나는 어느 곳으로 돌아가는고?~~~」 땅을 봐도 화두, 하늘을 봐도 화두, 사람을 뭐 수백 명 사람 모인 데에 있어도 그 화두뿐이라 그 말이여.
그렇게 해서 6일, 엿샛날이 돌아간, 엿샛날 채웠는데 그때 달마 스님 제삿날을 맞이해서 탑전(塔前)에 제사를 사시(巳時)에 마지(摩旨)를 올리러 갔다가 오조법연(五祖法演) 화상의 영탱화(影幀畵)에 그 찬(讚)이 있는데 '백년삼만육천일(百年三萬六千日) 반복원래시자한(返覆元來是這漢)'이라. 백 년이면 삼만육천 일이죠. '백 년, 삼만육천 일에 엎어졌다 뒤집어졌다 그 반복하는 놈이 원래로 이놈이로구나' 한 아! 그 게송을 보고 확철대오(廓徹大悟)를 했습니다.
3년 동안 사한(死限)을 해 가지고, 3년 해서 되지 아니하면 죽을 기한을 한 사람이 공부야 되건 안 되건 등한히 지내지를 안 했던 것입니다.
아무리 화두가 안 들리고, 아무리 혼침에 떨어져도 단 일 분, 단 일 초도 등한히 지내지를 안 하고 계속 최선을 다해서, 앉아서 잠이 오면 서서 거닐면서 화두를 들고 쪼옥, 졸음이 나가면 다시 와서 앉고 하기를 3년을 되건 안 되건 한결같이 단속을 했던 것입니다.(처음~20분57초)
(2/3)----------------
이 공부는 '잘된다'고 생각이 된다고 해서 잘된 것도 아니고, '잘 못된다'고 느껴진다고 해서 그 공부가 잘 못된 것이 아닌 것입니다.
화두가 제법 잘 들리고 성성하다고 '아! 화두가 참 잘 들리는구나. 이런 상태로 주욱 나갔으면' 이런 생각을 하는 수가 있습니다마는, 이것이 공부가 잘되어 가는 것이 아닙니다. 벌써 '아! 화두가 잘 들리는구나. 참 이렇게 좀 쭉 나갔으면' 고 생각이 벌써 화두를 놓고 있는 생각이기 때문에 그게 공부 옳게 하고 있는 것이 아닌 것이여.
잘되어도 좋아하는 생각을 내지 말고, 다못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화두를 들고 나가는 것뿐인 것이여.
또 그렇게 잘되어 가다가 뚝! 변해 가지고, 영 화두가 잘 안 들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몸이 뒤틀리고 시간이 그 10분이 그렇게 지루하고 그런 때가 또 옵니다. 그러나 그럴 때가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그럴 때야말로 내가 한 계단 힘을 얻을 수 있는, 올라서려고 하는 그러한 고비가, 바로 그 공부가 잘 안 되고 뒤틀리고 지루하고 몸부림쳐 지고 한 때가 그 중요한 고비인 것입니다.
그럴 때가 대단히 중요한 고비라고 하는 것을 잘 아시고, 조끔도 짜증을 내지 말고 허리를 주욱 펴고 단전호흡(丹田呼吸)을 하면서 「이뭣고?」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이뭣고?」 하면서 이렇게 내쉬어.
참 앉아서 뒤틀리고, 답답하고, 가슴이 미어질 것 같고 이럴 때에는 조용히 일어서서 밖에 나가 가지고 '한 일(一)' 자로 떠억 노선을 정해 놓고 왔다갔다하면서 화두(話頭)를 거각(擧却)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정신이 깨끗해지고, 가슴이 좀 시원해지고 혼침이 없어지면 다시 또 자리에 가서 하고.
아까 화두가 잘 들린다고 해서 기뻐하는 생각을 내서는 아니 된 것처럼, 공부가 그렇게 답답하고 지루하고 잘 안된 때라고 해서 심술을 내거나 짜증을 내거나 그래서는 아니 된 것입니다.
그럴 때에 잘 지혜스럽게 그 마음을 써서 그 고비를 조끔도 한 생각도 후퇴하지 말고 지혜롭게 마음을 써서 그 고비를 넘긴다고 하면은 한 걸음, 한 고동 공부가 수월한 단계에 올라서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서장(書狀)』에 대혜(大慧) 스님께서 누누이 말씀하신 바로써 '그 잘 안될 때에 용심(用心)을 잘해 가지고 단속을 해서 정진을 해라'고 하는 것을, 아주 중요한 고비요 거기서 힘을 더는[省力] 힘을 얻는[得力] 중요한 대목이라고 하는 것을 아주 간절하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화두(話頭)라고 하는 것은 한마디 간단한 맛없는 말이지만, 그 맛없는 그 간단한 한마디를 정말 잘 잡드리해서, 생각 생각이 잡드리해서 거각(擧却)해 나간다고 하면 결정코 그 한마디가 나에 무량겁 생사(生死) 업장(業障)을 무너트려서 보리(菩提)의 과(果)를 성취하게 하는 중요한 참, 열쇠요 관문인 것입니다.
「이뭣고?~~」
「'이뭣고?' 하는 이놈이 뭣고?~~」
「'이-' 하는 놈이 뭣고?~~」
처음에는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잠시 머물렀다가 내쉴 때 「이뭣고?~~」
이렇게 숨 내쉬는 것과 화두를 요렇게 합해서 해 들어가면 초학자(初學者)도 비교적 쉽게 들어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단전호흡과 화두를 함께 해 나간다고 하는 것은 초학자에 있어서는 대단히 중요한 방법인 것입니다.
차츰차츰 공부가 기초가 잡혀서 익숙해 들어가면 구태여 숨 쉴 때마다 화두를 들지 아니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두 번 세 번마다 한 번씩 들다가, 나중에는 다섯 번 여섯 번 숨 쉴 동안에 한 번씩 들다가, 나중에 참으로 더 익숙해지면 아침에 눈 딱! 뜰 때—입선(入禪)할 때만 든 게 아니라—아침에 눈 딱! 뜨면 벌써 그때 화두를 턱! 챙길 줄 알아야 혀.
딱! 뜰 때 「이뭣고?」
떠서 화장실에 갈 때도 「이뭣고?」
세수하고 양치질할 때도 그때 「이뭣고?」를 한번 떡! 챙겨 보도록.
차 탈 때도 챙겨 보고, 시장바닥에 시장에 가서도 화두를 떠억 챙겨 보거든.
시장에 가서 조심할 것은 돈지갑을 잘 단속을 하고 「이뭣고?」를 해야지, 잘못하다가 그 쓰리꾼한테 떼껴 가지고 '시장에서 이뭣고? 하라 하더니 돈만 뺏겼다' 이러지 말고.
처음에는 화두를 들고 참선하게 되면, 화두 하는데 정신을 쏟다 보면 일상 그 생활하는 일에 혼란이 생기는 수가 있습니다. 밭을 매는데 가꾸어야 할 곡식은 뽑아 버리고 잡초는 남겨 두고 이러한 수도 혹 있을 수가 있고, 그와 같이 일상생활 속에 화두에 전념을 하다 보면 하고 있는 일에 차질이 오는 수도 더러는 있을 수 있습니다마는,
자꾸 찾고, 생활 속에서 공부를 익혀 놓으면 무심(無心) 속에—속으로는 항시 화두를 화두에 의심(疑心)을 관(觀)하고 있지마는, 무심 속에 소지가 제절로 되고 빨래가 제절로 되고 밥도 제절로 밥을 먹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그 운전사나 모다 그 운전사 운전하는 것을 보면 왼쪽 발 오른쪽 발, 왼손 오른손, 눈 귀, 전체를 다 활용을 하고 있는 것을 봅니다. 이야기하면서 한 손으로는 핸들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기아를 꺾고, 왼발 오른발은 그 악셀레다나 그놈 모다 맘대로 그놈 이놈 밟았다, 저놈 밟았다 자유자재로 하거든. 그것이 익숙해지면 그렇게 되는 것이여.
참선도 화두가 들려서 익숙해지면 생활하면서 화두가 되고, 화두 드는 가운데 생활이 제절로 되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될 때 우리는 주위 환경 모든 것에 의해서 내가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주위를 요리하면서 내가 살아가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이 정진을 하지 아니한 사람, 모든 주위에 노예 노릇을 하고, 밖에 것이 주인이 됩니다.
참선을 하는 사람은 내가 주인이 되고, 모든 것은 삼라만상(森羅萬象)은 바로 나의 살림이 되는 것입니다. 주인이 살림을 하는 것이지, 살림이 주인을 좌지우지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주인이 자기집 살림, 종으로부터서 일체 모든 기구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어야 될 것입니다. 그와 같이 참선을 한 사람이라야 그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될 때에 우리는 이 사바세계(娑婆世界)가, 이 삼라만상 두두물물이 다 나에 부하요, 나에 가구요, 나에 살림이 될 때에 바로 내가 이 우주법계(宇宙法界) 주인이 되는 것으로써 이 세계는 고대로 놔둔 채 불세계(佛世界)가 되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극락세계(極樂世界)요, 깨달음의 세계요,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세계가 되는 것입니다.
이제 겨울도 물러가고 완연히 봄기운이 돌아왔습니다. 어제가 우수(雨水)로써 '입춘 우수가 지내면 대동강 물이 녹는다'고 그런 말이 있습니다마는, 그러나 이 환절기가 되어서 몸조심하시고 이제 춥지도 더웁지도 않는 이러한 계절인 만큼 각별히 정진에 힘을 써 주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순경계(順境界), 우리의 뜻에 맞는, 우리 뜻대로 되는 그러한 일을 당하면은 좋아하고, 우리의 뜻에 어긋나는 역경계(逆境界)를 만나면 견디지를 못합니다. 당장 남을 원망하고 자기를 한탄하고 삽시간에 불행한 사람이라고 스스로 주저앉게 되는 것입니다.
참선하는 사람은, 불법(佛法)을 믿는 사람은 순경계(順境界)라고 해서 그렇게 좋아서 날뛸 것도 없고 그럴수록에 더욱 근신하고 더욱 자중해서 일을 잘 수습해 나가야 할 것이고, 더욱이 역경계(逆境界)를 만났을 때 이것이 '이것이야말로 나에 인격과 나에 역량을 가름해 보는 좋은 관문이요 계기다' 이렇게 생각을 하시고, 허리를 쭉 펴고 단전호흡을 하면서 화두를 터억 들고서 그 어려운 문제를 냉철하게 관찰을 해야 합니다.
그 역경계가 대인 관계가 되었건, 사업 문제가 되었건, 또는 재산 문제가 되었건, 또는 자손 문제가 되었건, 부부간에 문제가 되었건 그러한 역경계(逆境界), 내 뜻에 어긋나는 그러한 문제가 있을 때 더욱 마음을 안정을 하고 정신을 가다듬고 내 본심을 딱! 챙겨 가지고 관망을 한다고 하면은 거기에는 감정이라고 하는 것이 일어나덜 못하는 것입니다.
어떤 일을 당했을 때, 내가 내 본심(本心)을 딱! 챙기지 못하면 감정(感情)이 먼저 발동(發動)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정이 발동을 했다 하면 이성은 숨어 버리게 되는 것이고, 이성은 숨어 버리고 감정이 발동된 상태에서 무엇을 보면 그 일이 절대로 옳게 보여지질 않고, 그러한 마음으로 일을 처리했을 때는 반드시 실수를 이중 삼중으로 범하게 되는 것입니다.
똑같은 사건을 만나되, 하나는 당장 그 원인을 상대방에게 돌리고 상대방을 원망하고 감정이 발동이 되어 가지고 그렇게 일을 처리한 것과, 한 사람은 '아! 이 좋은 때를 기회를 만났구나. 내 인격과 역량을 시험해 보는 좋은 시험 문제가 내 앞에 왔구나. 어디 한바탕 멋지게 한바탕 이것을 처리해 보자' 이러한 마음가짐으로 그 역경계를 다스린 사람과는 결과적으로 하늘과 땅 차이를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우리 정법(正法)을 믿는, 참선을 하는 법보제자는 이렇게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모든 일을 이렇게 처리해 나가신다고 하면은 이 세계는 오탁악세(五濁惡世)의 나쁜 세계가 아니라, 도업을 성취할 수 있는 그러한 불보살(佛菩薩)이 계시는 우리에 수도원(修道院)이요 선방(禪房)이요,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가 과거에 그렇게 지어 가지고 받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것도 대단히 자기의 마음을 돌리는데 아주 효과적인 마음가짐이지만,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더욱 적극적으로 '나에 도업(道業)을 시험할 수 있는, 나에 도(道)를 이룩하는 불무깐(대장간)이다. 여기에서 내가 꺼꾸러져서 되겠느냐, 이것에 내가 져서는 되겠느냐' 이렇게 적극적인 자세로 나간다고 하는 것은 보다 더 강력하고 용기와 지혜를 가져올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마음가짐은 우리가 이 사바세계(娑婆世界)에 태어나서 살아가는 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써 아주 상식적인 말이기도 합니다마는, 여러분이 일상생활 속에 이러한 마음가짐을 활용을 해 나가시고 실천을 하신다면은 사람이 사람됨이 자타가 공인할 만큼 달라져 가는 것을 발견하시게 될 것입니다.(20분58초~39분26초)
(3/3)----------------
벌써 정월 보름에 해제(解制)하고 열흘이 지내 가지고 정월 관음재(觀音齋)를 만났습니다. 이렇게 해서 하루하루가 물 흘러가듯이 세월이 이렇게 덧없이 흘러가고 있습니다.
어제까지 있었던 사람이 오늘 없고, 오늘 같이 담소했던 사람이 내일은 황천객(黃泉客)이 되고. 그렇게 인생이라고 하는 것은 기가 맥히게 무상한 것임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작년 겨울에는 한국에 큰스님네가 몇 분 또 열반하시고 그렇게 해서 해를 거듭할 때마다 우리의 지도자들이 이렇게 차례차례 가시게 됩니다.
어쨌든지 금생에 만나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아났고, 만나기 어려운 불법을 만나고, 만났을 때에 '다른 사람은 죽어도 나는 아직 죽을려면 멀었다' 이렇게 생각하실 것이 아니라, 한 생각 일어났다 꺼지면 그것이 벌써 한 번 태어났다가 죽은 것이고, 다시 또 한 생각 일어났다가 그 생각 꺼지면 그것이 또 한 생(生)이 지내간 것입니다. 일념 일념이 바로 생사윤회(生死輪廻)인 것입니다.
그 일념(一念), 한 생각 한 생각의 생사가 결국은 이 몸뚱이의 생사와 직결이 되는 것이고, 나아가서는 그 한 생각 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서 무량겁 생사윤회를 한다고 하는 것을 누누이 말씀을 드린 바 있습니다마는 이것이야말로 정말 중요한 말씀입니다.
안비천말적유사(雁飛天末迹留沙)하고 인거황천명재가(人去黃泉名在家)로구나
나무~아미타불~
기러기는 저 하늘갓으로 날아갔는데 그 기러기 발자취는 모래 위에 남아 있구나. 사람은 황천으로 떠나갔는데 그 이름만 집에 남아 있구나. 이러한 내용의 게송이었습니다.
기러기가 모래밭에 강변에 놀다가 저 하늘갓으로 날아가 버렸는데, 아까 그 기러기가 놀던 모래 위에는 그 기러기들의 발자취가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그 기러기 발자취가 과연 얼마 동안 남아 있을 것인가? 바람 불고 비 오면은 금방 그 자취는 없어져 버린 것입니다.
사람이 70년 내지 80년 살다가 저승으로 떠나갑니다. 떠나간 뒤에 얼마 동안 그 사람의 이름이 그 집에 남아 있습니다. '저건 아무개 집이다. 아무개 집이다. 아무개가 저 집에서 살았다' 이렇게 집에 이름만 남아 있지만 여간 훌륭한 인물이라야 역사적으로 아무개 아무개, 그것도 세월이 갈수록 점점 그 이름을 기억한 사람이 줄어져 가는 것입니다. 보통 3년, 1년.
죽은 뒤에 며칠간 잠깐 있다가 일 년 지내면 잊어버리고, 삼 년 지내면 더 잊고, 십 년 지내면 거의 다 잊어버리고, 삼십 년 못 가서 그 사람의 이름을 물으면 아는 사람이 거의 없어져.
이렇게 해서 사람들은 물질적인 재산, 조끔 수준이 있는 사람은 권리나 명예를 대단히 존중을 합니다마는 그 명예라 하는 것도 모래밭에 남아 있는 기러기 발자취에 지내지 못한 것입니다.
오직 내가 나를 깨달라서 생사해탈하는 길, 이것밖에는 모래밭에 기러기 발자취에 지내지 못하고, 재산이라든지 권리라든지 이런 것이 인간 세상에서는 꼭 필요하다고 하지마는 이러한 것에 지나치게 욕심을 가지고 함부로 대들다가는 칼날, 멀금하게 든 칼날에 묻은 꿀과 같애서 그 단맛만을 생각하고 함부로 그 칼날 끝에 묻어 있는 꿀을 핥아먹다가는 혀에 상처를 입게 되는 거와 같은 것입니다.
재산이 필요해서 우리는 힘을 다해서 재산을 모아야만 살아갈 수 있는 것이지만, 그것을 잘 알아서 재산을 모아야지 잘못 모이다가는 오히려 인생을 불행하게 맨드는 것인 것입니다.
그래서 칼날 끝에 묻은 꿀이나, 모래밭에 남아 있는 발자취, 인간 세상에 있어서는 필요하기는 하지마는 그렇게 무서운 것이고 무상(無常)한 것이라고 하는 것을 십분 이해를 하시고,
내가 나를 깨달을 수 있는 공부에 대해서 정말 나에 온 정성을 쏟을 수 있을 때 인생으로서 태어난 보람을 느끼게 되는 것이고, 우리는 하루하루 이렇게 늙어가고 있어서 지끔 사십 오십이라 하더라도 눈 한번 감았다 뜨면 육십 칠십이 금방 돌아오는 것입니다.
관(棺) 속에 들어갈, 우리는 기어코 한 번은 관 속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것이 천하 없는 사람도 그걸 면할 길이 없습니다마는 그때 관 속에 들어가서 염라대왕 앞에 끌려가 가지고 '아! 내가 그때 열심히 공부를 좀 젊었을 때 좀 할 것을...' 그때는 이미 늦은 것입니다. 지금 이만끔 건강했을 때 우리 모두 다 같이 열심히 정진을 해서 노자(路資)를 많이 벌어 놔야 되겠습니다.
어떤 이는 죽을 때 쓸려고 돈을 많이 모여 가지고, 죽은 뒤에 49재도 지내고 제사도 지내고 하라고 돈을 모이는 할머니를 제가 봤습니다마는, 그것은 진짜 노자가 되지를 못합니다.
자기 화장(火葬)은 죽은 다음에는 누가 해 주던지 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돈 한푼 남겨 놓지 안 해도 땅에 묻지 아니하면 불에다 태우게 되어 있습니다. 자손이 없어도 그것은 사실은 걱정할 것이 못됩니다.
걱정할 것은 이 몸뚱이를 버리고 떠나는 '이 주인공, 그놈을 어떻게 닦어 놨느냐?' 그것이 진짜 노잣돈입니다. 돈을 황금으로 뭉쳐서 저승에 가기 위해서 뭉쳐 놔 봤자 그것은 염라대왕 앞에 가지고 갈 수가 없습니다. 관 속에다 넣어 주어도 그것은 관 속에 남아 있지, 그 영혼이 그것을 가지고 염라대왕 앞에 가서 손을 쓸 수가 없습니다.
염라대왕 앞에 가서 내놓을 것은 무엇이냐 하면은 「이 뭣고?」 많이 해 놓은 것 그거라야 염라대왕이 알아주는 것입니다. 염라대왕은 '불법을 믿었느냐 안 믿었느냐? 믿되 참선을 했느냐 안 했느냐?'
여러 법보제자들은 어쨌든지 염라대왕 앞에 가서 이 '참선(參禪)을 했다'고 하는 그 한마디를 잊지 말고 말씀을 하셔야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 수가 있느냐?
죽을 때에는 그 병 아픔을 자기가 이기지 못해서 죽게 됩니다. 이길 수만 있으면 더 살 수가 있는 것입니다. 너무 고통이 심해서 그것을 이길 수가 없으니까 결국은 죽게 되는데, 그 고통이 너무너무 심하기 때문에 그때 화두(話頭)가 잘 들리지를 않는다고 합니다.
마지막 숨이 꼴딱 끊어질 그때까지도 「이뭣고?」를 한 사람이라야 염라대왕 앞에서도 떠억 「이뭣고?」를 할 수가 있고, '니가 인생에 있어서 무엇을 했느냐?' 물어볼 때 '최상승(最上乘)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했습니다' 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죽을 때 너무너무 아프고, 딸 생각 외손자 생각하다가 화두를 놓쳤다 하면은 내생(來生)에 가서 자기가 무엇을 전생(前生)에 했는가를 말을 못하는 것입니다.
이 가운데 많은 수백 명 법보제자 계십니다마는 '전생에 자기가 무엇을 했던가?' 아마 아신 분이 계신가? 아마 계시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은 입태(入胎) 출태(出胎) 할 때에 그것을 잊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전생에 사람이 다시 또 사람이 되았나? 개가 사람이 되았나? 무엇이 되았나?'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전생에 내가 무엇을 했는가 모르듯이 내생(來生)에 염라대왕 앞에 끌려가서도 '무엇을 했느냐?'고 물어보면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 숨 딱! 끊어질 때에도 화두를 턱! 역력(歷歷)하게 화두를 떠억 들고서 숨이 딸끄닥 끊어지도록 이렇게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은 아까 중국에 고봉 스님처럼 공부가 되건 안 되건, 앉아서건 서서건 누어서건 아주 죽기로 이를 갈아붙이고 화두(話頭)를 거각(擧却)을 해야, 평상시에 그렇게 해 놔야만 마지막 숨 거둘 때에도 「이뭣고?」 딸깍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 죽을 때 얼마나 고통스러우면 죽게 되겄습니까? 그때에도 「이뭣고?」를 할 수 있게 되려면은 밥 먹을 때도 「이뭣고?」
똥 눌 때도 「이뭣고?」
누가 나 억울한 소리를 해서 속을 박박 긁어줄 때에도 나는 「이뭣고?」
배가 아플 때도 「이뭣고?」
머리가 아플 때도 「이뭣고?」
누었을 때도 「이뭣고?」
슬플 때도 「이뭣고?」
기쁠 때도 「이뭣고?」 이렇게 해 놔야 돼.
옆에서 조끔 문만 덜꺼덕 닫힌다고 짜증을 내고,
누가 좀 떠든다고 짜증을 내고,
밥을 빨리 안 가져 온다고 짜증을 내고,
말을 잘 안 듣는다고 짜증을 내고,
이래저래 화두는 다 놓쳐 버리고 이래 가지고서는 죽을 때에 화두가 들려질 까닭이 없고, 염라대왕 앞에 가서 내가 「이뭣고?」를 했단 말이 도저히 생각이 나지를 않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스갯말 같지마는 댁에 가셔서 곰곰이 생각하면 '그것이 그 확실히 그럴 것이로구나' 분명 가남이 가실 줄 믿습니다.
하루 잠깐 소매만 스쳐 가는 인연도 5백 생의 인연이라고 했습니다. 한 법당에서 같이 법문을 듣고 또 법을 설하고 또 법을 듣고 이러한 인연은 몇억만 겁의, 몇억만 생의 무량겁의 인연이 쌓이고 쌓여 가지고 이러한 모임을 만남을 얻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인연이 해탈로를 걸어, 인연으로 해서 해탈로를 걸어서 마지막 목적지인 깨달음의 세계, 부처님 회상(會上)에서 만날 때까지 한 사람도 한 분도 이탈한 분이 없도록.
기왕 이 법을 만나지 못했다면 모르지만, 만나 가지고 여기서 물러서 가지고 '아! 참선해 봤자 되지도 않고 기도를 좀 해 보까?' 갈팡질팡하실 일이 아닙니다.
'참선을 하기 전에는 뭔 일이 그 잘되더니 참선을 시작하면서부터서는 뭔 일이 잘 안된다' 그러한 분, 그래 가지고는 '참선을 하고 부터서는 그 장사가 잘 안된다' 이런 분을 접때 한번 봤는데,
참선을 한다고 해서 장사가 안되고, 참선을 시작했더니 장사가 잘된다고 또 좋아하시고—다 참선을 안 한 분도 장사가 잘될 수도 있고, 또 참선을 한 분도 잘될 수도 있고 또 안될 수도 있고 그런 것이지,
그런 일이 조끔 잘된다고 해서 금방 거기에다 붙여 갖고 좋아하고, 조끔 안된다고 해서 '아! 그 참선을 했더니 안되는가?' 이렇게 가볍게 생각을 하실 일이 아닙니다.
잘되거나 못되거나 좀 든든하게 묵중하게 이렇게 마음가짐을 가지고 나가신다고 하면 조끔 안된 듯하다가도 잘되어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정법을 믿고 올바른 진리를 향해서 나가는 데 어째서 뭔 일이 안될 까닭이 없는 것입니다.
혹 '니가 정법을 믿는데 얼마만큼 철저히 믿는가?'를 시험해 보기 위해서 제석천왕(帝釋天王)이 그러한 시험을 보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그럴 때에 시험에서 탈락이 되지 않도록—아들 대학이나 고등학교 시험 본 데만 신경을 쓰지 말고, 자기 자신의 이런 진리, 참선에 있어서의 시험도 대단히 중요한 것입니다.
엄마 아빠가 할머니가 자기 공부해 나가는데 멋지게 합격이 되도록 해야만 아들딸 손자손녀도 학교에 멋지게 합격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부디 열심히 공부하셔서 도업을 성취하시기를 바랍니다.(39분30초~58분7초) (끝)
[법문 내용]
(게송)진로형탈사비상~ /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할 수가 있겠습니까? 한 우물을 팔지니라 / 왜 죽비 치고 「이뭣고?」를 하면 잠이 오냐? / 조는 것이 참선인 줄 착각한 스님 / 중국 고봉 스님의 3년 사한(死限) 수행.
화두는 무량겁 생사(生死) 업장(業障)을 무너트려서 보리(菩提)의 과(果)를 성취하게 하는 중요한 열쇠요 관문 / 참선도 화두가 들려서 익숙해지면 생활하면서 화두가 되고, 화두 드는 가운데 생활이 제절로 되어지게 되는 것. 숙련된 운전사의 운전하는 비유 / 참선을 하는 사람은 내가 주인이 되고, 모든 것은 삼라만상(森羅萬象)은 바로 나의 살림이 되는 것 / 순경계(順境界), 역경계(逆境界)를, 나의 도(道)를 이룩하는 불무깐으로 삼는 적극적인 마음가짐.
한 생각 일어났다가 꺼지면 그것이 한 생(生)이 지내간 것. 일념 일념이 바로 생사윤회(生死輪廻)인 것 / (게송)안비천말적유사~ / 오직 내가 나를 깨달라서 생사해탈하는 길, 이것밖에는 다 무상(無常)한 것 / 진짜 노잣돈은 지금 이만끔 건강했을 때 열심히 참선 정진한 것 / 「이뭣고?」 많이 해 놓은 것 그거라야 염라대왕이 알아주는 것입니다 / 한 법당에서 법을 설하고 또 같이 법을 듣고 이러한 인연은 몇억만 생의 무량겁의 인연. 모두 다 마지막 목적지인 깨달음의 세계, 부처님 회상(會上)에서 만나야.
〇우물을 파되, 좋은 물을 만날려면은 다른 사람보다도 몇 배를 더 파고 들어가고, 바위까지 뚫고 들어갈 만한 그러한 끈기와 용기와 참을성이 있어야 되는 것입니다. 참선도 그만한 인내력 끈기가 있어야만 이 무량겁으로 얽히고 얽힌 생사업(生死業)을 뽑아서 보리과(菩提果)를 증득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〇"어떻게 해야 도를 빨리 성취할 수 있겠습니까?" 하고 여쭘에 '그 많이 졸라야 한다'는 큰스님 말씀을 아주 고지식하게 듣고서 조는 것이 참선인 줄 알았던 스님.
〇아까 화두가 잘 들린다고 해서 기뻐하는 생각을 내서는 아니 된 것처럼, 공부가 그렇게 답답하고 지루하고 잘 안된 때라고 해서 심술을 내거나 짜증을 내거나 그래서는 아니 된 것입니다. 그럴 때에 잘 지혜스럽게 그 마음을 써서 그 고비를 조끔도 한 생각도 후퇴하지 말고 지혜롭게 마음을 써서 그 고비를 넘긴다고 하면은 한 걸음, 한 고동 공부가 수월한 단계에 올라서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서장(書狀)』에 대혜(大慧) 스님께서 누누이 말씀하신 바로써 '그 잘 안될 때에 용심(用心)을 잘해 가지고 단속을 해서 정진을 해라'고 하는 것을, 아주 중요한 고비요 거기서 힘을 더는[省力], 힘을 얻는[得力] 중요한 대목이라고 하는 것을 아주 간절하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화두(話頭)라고 하는 것은 한마디 간단한 맛없는 말이지만, 그 맛없는 그 간단한 한마디를 정말 잘 잡드리해서, 생각 생각이 잡드리해서 거각(擧却)해 나간다고 하면 결정코 그 한마디가 나에 무량겁 생사(生死) 업장(業障)을 무너트려서 보리(菩提)의 과(果)를 성취하게 하는 중요한 참, 열쇠요 관문인 것입니다.
〇참선도 화두가 들려서 익숙해지면 생활하면서 화두가 되고, 화두 드는 가운데 생활이 제절로 되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될 때 우리는 주위 환경 모든 것에 의해서 내가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주위를 요리하면서 내가 살아가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이 정진을 하지 아니한 사람, 모든 주위에 노예 노릇을 하고, 밖에 것이 주인이 됩니다.
참선을 하는 사람은 내가 주인이 되고, 모든 것은 삼라만상(森羅萬象)은 바로 나의 살림이 되는 것입니다.
〇어쨌든지 금생에 만나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아났고, 만나기 어려운 불법을 만나고, 만났을 때에 '다른 사람은 죽어도 나는 아직 죽을려면 멀었다' 이렇게 생각하실 것이 아니라, 한 생각 일어났다 꺼지면 그것이 벌써 한 번 태어났다가 죽은 것이고, 다시 또 한 생각 일어났다가 그 생각 꺼지면 그것이 또 한 생(生)이 지내간 것입니다. 일념 일념이 바로 생사윤회(生死輪廻)인 것입니다.
그 일념(一念), 한 생각 한 생각의 생사가 결국은 이 몸뚱이의 생사와 직결이 되는 것이고, 나아가서는 그 한 생각 한 생각 일어났다 꺼졌다 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서 무량겁 생사윤회를 한다고 하는 것을 누누이 말씀을 드린 바 있습니다마는 이것이야말로 정말 중요한 말씀입니다.
〇죽을 때에는 그 병 아픔을 자기가 이기지 못해서 죽게 됩니다. 이길 수만 있으면 더 살 수가 있는 것입니다. 너무 고통이 심해서 그것을 이길 수가 없으니까 결국은 죽게 되는데, 그 고통이 너무너무 심하기 때문에 그때 화두(話頭)가 잘 들리지를 않는다고 합니다.
마지막 숨이 꼴딱 끊어질 그때까지도 「이뭣고?」를 한 사람이라야 염라대왕 앞에서도 떠억 「이뭣고?」를 할 수가 있고, '니가 인생에 있어서 무엇을 했느냐?' 물어볼 때 '최상승(最上乘) 활구참선(活句參禪)을 했습니다' 이렇게 말할 수가 있습니다.
죽을 때 너무너무 아프고, 딸 생각 외손자 생각하다가 화두를 놓쳤다 하면은 내생(來生)에 가서 자기가 무엇을 전생(前生)에 했는가를 말을 못하는 것입니다.
〇마지막 숨 딱! 끊어질 때에도 화두를 턱! 역력(歷歷)하게 화두를 떠억 들고서 숨이 딸끄닥 끊어지도록 이렇게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은 아까 중국에 고봉 스님처럼 공부가 되건 안 되건, 앉아서건 서서건 누어서건 아주 죽기로 이를 갈아붙이고 화두(話頭)를 거각(擧却)을 해야, 평상시에 그렇게 해 놔야만 마지막 숨 거둘 때에도 「이뭣고?」 딸깍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600 개가 넘는 ‘(참선) 법문’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600 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101~200 > (101~1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106))—1979년 7월 관음재일 법문(79.07.24.음) (46분) (1) | 2021.01.22 |
---|---|
((No.102))—1979년 하안거결제 법회(79.06.09) (62분) (1) | 2021.01.21 |
((No.123))—1980년(경신년) 부처님오신날 법어(80.05.21) (42분) (0) | 2020.12.25 |
(No.115)—1979년 12월 관음재일 법어(79.12.24.음) (59분) (1) | 2020.09.26 |
(No.122)—80년 5월 첫째일요법회(80.05.04) (87분) (0) | 2019.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