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200/(101~125)2021. 1. 22. 08:28

 

 

((No.106))—1979년 7월 관음재일 법문(79.07.24.음) (46분)

 

 

 

 

 

 

(1/3) 약15분. (2/3) 약 16분. (3/3) 약 15분.

(1/3)----------------

 

오늘은 7월 24일 관음재 법요일입니다. 오늘 전강 조실 스님께서는 당신의 일생 동안에 공안(公案)을 바로 이르신 것을 몇 가지를 말씀을 하셨습니다. 다시 말하면 공안을 설파(說破)를 하셨습니다. 믿는 학자들 앞이라 기탄없이 당신이 일르신 공안을 공개를 하신 것입니다.

우리는 이 자리에서 모골(毛骨)이 송연(悚然)하고 간담이 서늘함을 느낍니다. 만약에 이 조실 스님의 법문을 듣고 터럭끝만큼이라도 사량심(思量心)을 일으킨다던지 분별심(分別心)을 낸다면 눈 한번 깜박할 사이에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지고 마는 것입니다.

 

정법(正法)을 믿는 바른 사상을 가진 사람이라면 사량심이나 분별심, 의리(義理)로 따져서 자기 나름대로 가남을 해 보고 그러한 일이 절대로 있을 수 없지만, 정법을 믿는 신심이 박약한 사람이 영리한 지해심(知解心)으로 알음알이로써 '아! 그 말씀은 이러이러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씀을 하셨구나' 이러한 식으로 해서 요리조리 따져서 가남을 해 본다면 그것은 조실 스님의 그 자비하신 뜻을 만에 하나도 이해를 못한 사람인 것입니다.

 

그러면 왜 조실 스님은 학자들에게 까딱하면 무간지옥에 쏜살같이 떨어질 그러한 위험성이 있는 그러한 공안에 말씀을 우리한테 해 주셨느냐?

의리선(義理禪)과 조사선(祖師禪), 체중현(體中玄)과 현중현(玄中玄)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우리들에게 심어 주기 위해서 그러한 것입니다.

 

공안(公案)이라 하는 것은 사량심이나 분별심으로 도저히 따져서 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직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칠통(漆桶)을 타파(打破)해야만 공안은 조사선(祖師禪) 도리, 현중현(玄中玄) 도리를 바로 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차라리 깨닫지 못하면 꽈악 맥힌 채 눈을 감을지언정, 섣불리 사량심으로 공안을 더듬어 본다던지, 천착(穿鑿)을 해 가지고 아는 척 살림을 해 나가는 것은 스스로 무간지옥에 구뎅이를 자기 손으로 파는 일에 지내지 않는 것입니다.

 

바로 깨닫기만 하면 어떠한 공안이라도 바로 조끔도 사량심을 움직이지 아니하고 공안을 이를 수가 있다고 하는 증거를 우리에게 보이신 것은 공안을 공연히 사리상량으로 따져서 알려고 하지 말고 자기 본참공안(本參公案)에 철저한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심(疑心)으로 정진을 해 나간다면 공안은 먼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안에 답은 바로 가까운 데 있는 것을 여실히 우리에게 보여 주신 것입니다.

우리는 공안을 보는 것이 급한 것이 아니라, 한 생각이라도 더 우리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대신심과 분심과 의심으로의 거각(擧却)이 급할 따름인 것입니다.

 

그런데 그 깨달음이라 하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

 

잠을 안 자고 이를 악물고 몸부림을 쳐도, 밥을 굶으면서 몸부림을 쳐도, 묵언을 하며 말을 아니하면서 몸부림을 쳐도, 이건 정말 애써 본 사람이 아니면 그 죽어버릴 수도 없고, 기둥에다가 머리빡을 짖쪄서 유혈이 낭자하게 맨들을 수도 없고, 어찌해 볼 수가 없을 만큼 이것은 정말 어찌 생각하면 '무엇 때문에 내가 이런 공부를 애당초에 알았던가? 차리리 이러한 것이 있는 줄을 몰랐으면 그저 배불리 먹고 편안히 잠자고 내생에야 지옥을 가건 말건 죽어 봐야 아는 것이고, 어째서 금생에 그러한 것을 알아 가지고 내가 이 죽지도 못하고 살지도 못하고 대골통을 짖쪄서 꺼꾸러질 수도 없고 이런 법을 알았는가?'

정진하다가 적삼을 벗어서 방바닥에다 후려치면서 부처님과 조사 스님네를 원망하고 욕을 하는 그러한 납자(衲子) 스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금방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도 '괴롭게 구해라. 고행을 해라'

금생에 이 정진을 해 나가는데 여름에 더웁고 겨울에는 춥고, 몸뚱이는 뒤틀리고 때로는 골이 아프기도 하고 가슴이 답답하기도 하고 이러한 가운데에도 쉬지 않고 끊임없이 화두(話頭)를 거각(擧却)해 나가. 공부가 안될수록에 더욱 침착하게 여법(如法)하게 단전호흡을 하면서 간절히 화두를 들고 나간다면 많은 어려움, 많은 괴로움을 겪을수록에 오히려 큰 깨달음을 얻는 것입니다.

격언에도 「대기(大器)는 만성(晩成)이라」 이런 말도 있습니다.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큰 그릇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얼핏허면 한 소식했다고 아는 척을 하고, 그 아는 것을 남에게 보일려고 그러고, 다 소용없고 부질없는 짓인 것입니다. 누가 알아준다고 해서 구경(究竟)의 깨달음이 아니라면 백만 명이 알아준댔자 자기 본분사(本分事)에는 아무 이익이 없는 것입니다. 아무리 괴롭고 아무리 지루하고 답답하다 하더라도 그러한 과정을 겪지 않고서는 대자유와 대해탈을 얻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불행방초로(不行芳草路)하면  난지낙화촌(難至落花村)이니라

나무~아미타불~

 

방초(芳草) 길, 잎도 피고 꽃도 피고 하는 그러한 방초(芳草)가 우거진 길을 걸어가지 아니하면, 꽃 떨어진 마을에 이르지 못하니라. 저 아름다운 꽃이 지고 피고 하는 그러한 마을에 가려면은 향기로운 풀이 우거진 그러한 오솔길을 걸어서 지나가야만 한다.

 

무량겁(無量劫) 업장(業障)을, 산보다도 더 높고 바다보다도 더 깊은 무량겁 업장을 그놈을 녹이고서 그놈을 씻어내고서 본바탕 자기 마음을 보는데, 그렇게 그것이 수월하다고 생각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떠한 괴로움 어떠한 장애라도 기어코 내가 디디고 넘어서야 하고 그것을 극복하고 나아가지 아니하면 아니 되는 것입니다.

그만한 각오, '목숨을 바치고라도 기어코 내가 칠통(漆桶)을 타파(打破)해야겠다' 이만한 각오가 있어 가지고 정진을 해 나가면 실상은 그렇게 정진이 또 어려운 것만도 아닌 것입니다.

 

처음에는 다리가 저리고 허리가 아프고 어깨가 쪄눌리고 그렇지만 얼마 동안 익혀 나가면 다리도 저린 것이 없어지고, 허리 아프고 어깨 절리고 그런 것도 없어지고, 또 호흡을 잘 해서 요령을 얻어 놓으면 몸도 가볍고 또 혈액순환도 잘되고, 생각도 그렇게 퍼일어나던 번뇌와 망상도 차츰 가라앉아서 설사 망상이 전혀 안 일어난 것은 아니지만, 내가 화두는 떠억 들고 있는데 화두를 놓치지 아니하고 들고 있는데, 생각은 나에게 아무 타격도 주지 아니하고 그냥 슬쩍 스쳐만 지내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것은 공부해 나가는 데 조끔도 방해롭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가 잠깐 제 나름 저 혼자 일어났다 꺼지고, 잠깐 스쳐서 지내가고 그런 것은 내버려두는 것입니다. 없애려고 하지도 말고 '아! 이런 생각이 안 일어나야 할 텐데, 이놈의 생각 때문에 화두가 여일치 못하다' 그런 생각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내싸두는 것입니다. 가만 놔둬 버리고 화두만 떠억 챙겨 버리면 되는 것입니다.(처음~15분6초)

 

 

 

 

(2/3)----------------

 

화두를 들으라 들으라 하니까, "화두가.. 화두를 어떻게 듭니까? 어디가 놔졌어야 그놈을 들지, 어떻게 화두를 듭니까? 들어서 배꼽 밑에다가 딱 붙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거그다가 붙이며.." 아주 그 대답하기가 대단히 거북한 질문을 가끔 받습니다.

「화두를 든다」고 하는 것은 「화두를 생각한다」고 우선 초학자는 이해를 하시면 되는 것이고.

 

"생각은 되는데 관(觀)이 안 됩니다. 근데 그 어떻게 하면 관(觀)을 할 수가 있습니까?" 그렇게 말을 묻는 이도 있습니다. 또 "관(觀)이란 게 또 무엇입니까?" 이렇게 묻는 이도 있는데.

「관(觀)」이라 하는 것도 내나 「생각」입니다. 생각에 일종인데, 그 생각을 자꾸 화두를 생각하고—사량심(思量心)으로 생각해 갖고는 안 되고, 사량심이 아닌 꽉 맥힌 의심(疑心), '이뭣고?' 알 수 없는 생각으로 '이뭣고?' 이렇게 하면, 그렇게 한 번씩 하는 것을 「화두를 든다」고 그러고.

 

한 번 '이뭣고?' 하고 화두를 한 번 생각하면, 들었으면, 그 생각이 한참 동안, 1분이 되었건 3분이 되었건 내지 10분 동안이라도 그 생각이 흩어지지 아니하고 '이뭣고?' 한 알 수 없는 의심이 여가 딱 있으면 그동안에 「화두가 들어져 있다」 이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다가 딴생각이 쑥 들어와 가지고 화두가 어디로 가 버리고 없으면 그때 다시 또 '이뭣고?' 이렇게 하는 게고.

또 딴생각이 들어오지는 안 했지마는 '이뭣고?' 한 그 생각이 희미해져 버려. 그래 가지고는 화두를 든 것인지 안 든 것인 중도 모르고 그냥 조용한 채 우두거니 앉어진 때가 있단 말이에요. 그러다가 자기도 모른 새에 까빡 이렇게 되고 하는데. 그럴 때는 또 다시 화두를 떠억 '이뭣고?'

숨을 깊이 들어마셨다가 한 3초 동안 머물렀다가 내쉬면서 '이뭣고?' 이렇게 또 한 번씩 챙기는 것이여.

 

이미 화두가 들어져 있으면, 알 수 없는 의심(疑心), '이뭣고?' 한 알 수 없는 의심이 딱 들어져 있으면 자꾸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 이렇게 해서 계속 그렇게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하듯이 그렇게 화두를 드는 것은 아니에요.

한 번 들어서 그 생각이 쭈욱 있으면 자꾸 연거퍼 그 위에다 자꾸 포개 놓지 안 해도 되어요.

 

이 단전호흡(丹田呼吸)과 화두(話頭)가 언제나 같이 되어 가도록 그렇게 익혀 나가면, 단전호흡을 터억 하면 화두는 그 가운데 제절로 딱! 들어지고, 또 화두를 딱! 들면 제절로 단전호흡이 따악 제절로 같이 따라오도록 이렇게 나중에는 되어 가는 것입니다.

 

아까 조실 스님 말씀 가운데에 요중선(鬧中禪)이라는 말씀을 했습니다.

요중선(鬧中禪)은 '시끄러울 료(鬧)' 자, '가운데 중(中)' 자, '참선 선(禪)' 자—시끄러운 가운데 참선하는 것을 요중선(鬧中禪)이라 그러고.

고요한 가운데 하는 참선, 정중선(靜中禪), 그건 인자 조용한 선방이나 조용한 방에서 아무 시끄러운 소리가 나지 아니한 조용한 데 앉아서 따악 가부좌(跏趺坐)를 하고 죽비를 치고 그렇게 앉아서 공부하면 그것을 정중선(靜中禪)이라 그러고.

 

밖에 나와서 일하면서 또 차를 타면서 걸어가면서 그런 가운데에 '이뭣고?'

이렇게 자꾸 그 시끄러운 속에서 공부를 다져 나가면 그걸 요중선(鬧中禪)이라 그러는데.

'조용한 데에서 공부를 익히는 것은 시끄러운 속에서 요중선(鬧中禪)을 하기 위해서 익히는 공부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괜찮습니다.

 

만날 조용한 데서만 해야만 공부가 잘된다고 생각하시면 그것은 공부에 소극적인 방법을 취하는 사람이라, 이 공부가 매카리가 없는 것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시끄럽기도 하고 조용하기도 하는 것인데, 밤낮 조용한 데서만 익혀야만 공부가 좀 된 것 같고 그래야만 공부가 잘된다고 생각하면은 그 사람은 정말 생사(生死)를 당적(當敵)할 만한 그러한 힘 있는 공부에 힘을 얻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초학자(初學者)는 조용한 데에서 기초를 닦고, 시간 있는 대로 조용한 데에서 공부를 해야는 하지마는, 시끄러운 가운데에서도 되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 그 말이여.

그래서 참선하는 데 옆에서 말을 하던지 또 애들이 떠들던지 그러더라도 '아! 공부 좀 헐라는데 시끄럽게 떠든다'고, '저것이 마구니가 와서 그런다'고 신경질을 팩! 내고 그럴 것이 아니라, 이 시끄러운 속에서 오히려 정신을 바짝 챙겨 가지고 화두를 한 번 떠억 들어라. 이런 식으로 마음을 써 나간다면 일 자체를 싫어하고 꺼려하고 그렇게 되지 아니한 것입니다.

 

밤낮 조용해야만 된다고 생각하는 데에서 조끔 뭐 일할 거리가 생기면은 짜증이 나고 심술이 나고 불평이 나고 그런데, 일을 만나면 일한 속에서도 하고 조용한 시간에는 조용한 데서 하고, 명두래명두타(明頭來明頭打) 밝은 놈이 오면 밝은 놈을 치고, 암두래암두타(暗頭來暗頭打) 어둔 놈이 오면 어둔 놈도 치고, 사방팔면래연가타(四方八面來連架打) 사방팔면에서 오면은 작대기를 연거푸 치고, 허공래선풍타(虛空來旋風打)라, 허공에서 오면은 허공으로 오면은 바람을 돌려서 친다.

이건 보화(普化) 존자의 법문입니다마는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정진을 해 나가면, 납자(衲子) 스님도 그런 마음가짐으로 공부를 지어 나가시면 그것이 바로 적극적인 수행 노선이라 훨씬 몸도 건강해지고 정진도 훨씬 더 힘 있게 되어 갈 것입니다.

 

더욱이 세속에서 사시는 신남신녀(信男信女) 여러분들은 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여러분들께 '보살님'이라 한 이름을 붙여서 불러온 것도 바로 그런 것입니다.

 

소승 나한(羅漢)은 생사(生死)에 빠지기를 가장 싫어해서 생사가 없는 열반(涅槃)에 들려면 첫째, 태중(胎中)에 들어가지 않해야겄다. 이것이 제일 중대한 조건입니다, 나한에 있어서는.

그래서 어쨌든지 '생사의, 태중에 들어가지 아니할려면은 또 그러한 업(業)을 짓지 아니해야 한다' 해 가지고 그러한 마음으로 도를 닦아 나간 것입니다. 그래서 자꾸 조용한 데만 찾기 마련인 것입니다. 사람 상대하기를 싫어하고, 일을 싫어하고 백만사를 멀리 여의고 끊고 여의고 해 가지고 조용한 데로 조용한 데만 찾아 들어가서 이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보살(菩薩)은 '원래 생사(生死)라고 하는 것은 없는 것이다' 이렇게 믿고 닦아 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사가 본래 없는 데 끊을 것이 무엇이 있냐?'

 

그래서 고인(古人)이 게송(偈頌)을 읊으기를, 일가수폐우중문(一家愁閉雨中門)이요. 한 집은 문을 닫고 비 가운데 근심을 하고 있는데, 삼월나유화하로(三月懶遊花下路)라. 삼월에 꽃 아래 길에서 오락가락한다.

한 집은 비 가운데 문을 닫고 근심한 것은 소승(小乘)의 경계를 표현한 것입니다. 비가 쏟아지는 데 행여나 비 맞을까 봐서 문을 쳐닫고 밖에를 나가지 아니하고, 집안에서 비 맞을 것이 무서우니까 집안에서 문을 닫고 떡 근심하고 있는 게고. 한 사람은 삼춘(三春)에 꽃이 만발했는데 그 꽃 아래 길에서 그 흥겨운 노래를 부르면서 오락가락 거니는 것.

 

보살(菩薩)은 세간에 살되, 거기에 세간(世間)이라 하는 것은 전체가 오욕락(五欲樂)인데, 오욕락 속에 살면서 생사 속에 살면서, 영욕득실(榮辱得失)과 흥망성쇠(興亡盛衰) 속에 살면서, 조끔도 그런 것에 바람을 타지 아니한단 말여. 흥하면 흥한 대로 살고, 망하면 망한 대로 살고, 슬프면 슬픈 대로 살고, 괴로우면 괴로운 대로 살고, 무슨 일이든지 닥치면 닥치는 대로 적절히 일을 처리해 나가되 자기 본심(本心)은 조끔도 타격을 받지 않는다 그 말이여.

그러한 마음가짐으로 생활을 해 나가고, 그러한 생활 속에서 참선(參禪)을 해 나간다면 정말 여러분들에게 '보살'이라고 한 이름을 붙여도 조끔도 손색이 없는 것입니다. 그러한 사람이 되라고 '보살님 보살님' 옛날부터서 불러 온 걸로 생각을 합니다.

 

사람은 똑같은 환경에 있으면서도 자기 마음을 어떻게 갖느냐에 따라서 한 사람은 행복하게 생각이 되고, 한 사람은 자기만이 불행한 사람으로 느끼면서 사는 경우가 너무나 많습니다. 어째서 같은 여건하에 있으면서 한 사람은 행복하게 살고 한 사람은 불행하게 사냐?

마음가짐이 '자기는 불행하다'고 생각을 해. 자기에게도 반드시 좋은 여건이 있으면서도 그 좋은 여건은 생각하지 아니하고 어두운 면을 자꾸 생각을 하면서 '자기는 불행하다, 자기는 불행하다' 아주 그것을 날이면 날마다 화두를 들듯이 자기는 불행하다고만 생각한 사람은 결국은 그 사람은 불행한—당장 그때도 불행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기어코 불행한 정말 명실공히 불행한 사람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사업이 조끔 여의치 못허다던지, 건강이 좀 좋지 못허다던지, 가정 문제가 원만하지 못헌다던지 그렇다 하더라도 그런 일들은 세속에 있어서 어느 집안이나 다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그것을 꼭 나쁘게 생각하고 어둡게만 생각하고, 상대방을 원망만 하고 자기 신세만 한탄만 하고 그럴 것이 아니라, 그러한 대로 봐줘. 그러한 대로 봐주면서 '그래도 나만한 여건하에 살기도 어렵다. 우리 집안만 하기도 어렵다' 그렇게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 어머니만한 어머니도 만나기 어렵다. 우리 며느리만한 며느리도 드물다' 이렇게 좋게 좋게 생각하면서 그 가운데 화두를 떠억 들고 또 화두를 들고 나가면 자기도 모르는 가운데에 그렇게 마음에 섭섭하게 느껴졌던 어머니 시어머니, 마음에 항시 섭섭하게 생각이 되었던 며느리가 어느덧 그렇게 사람이 달라지게 되고. 달라진 게 아니라, '내가 그전에 잘못 봤구나. 이러한 좋은 며느리를 내가 그렇게 잘못 봤구나' 이리 생각하고.

'아! 우리 어머니가 난 처음에 시집와서는 굉장히 고약한 시어머니인 줄 알았드니 참 알고 보니까 그러한 좋은 어머니였구나' 이렇게 생각이 되어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다 반야(般若)의 묘용(妙用)이라 하는 것입니다.

 

반야(般若)는 지혜(智慧)인데, 지혜롭게 마음을 쓰면 그러한 묘(妙)한 작용이 나의 마음속에서 일어나고, 나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우리의 정신력이라 하는 것은 정말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것이여서, 우리의 생각 조종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180도로 변화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행복은 밖에서 찾지 말고 내 마음에서 찾으라. 천당과 지옥도 시간과 공간을 멀리 잡고 딴 데에서 딴 시간에 찾지를 말고, 당장 '한 생각' 일어나는 그곳에 천당과 지옥이 있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여실히 느끼게 됩니다. 화두(話頭) 한 번 들 때 지옥이 금방 천당이 되고.(15분7초~30분57초)

 

 

 

 

(3/3)----------------

 

지끔 시절이 뭐 '미끈 유월에 뭔 동동 팔월이니' 뭐 그런 말이 있습니다마는, 이 지금 춥도 더웁지도 않고 마치 좋은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스님네는 말할 것도 없고 신도님네들도 이런 좋은 계절을 시간을 아껴서 공부를 해 주시기 부탁을 드립니다.

 

공부는 언제 · 어데서 · 무엇을 하고 있던지 상관이 없습니다. 퍼뜩 한 생각 돌리면, '이뭣고?'하고 돌리면 그 자리가 선방(禪房)입니다.

차중에서도 좋고, 길가에서 길 가운데서도 좋고, 밥 먹을 때도 좋고, 똥 눌 때도 좋고, 누구하고 얘기 할 때도 좋고 '이뭣고?' 썽날 때도 '이뭣고?' 이렇게 한 생각 한 생각 돌이키는 그 공덕(功德)이, 팔만사천에 마구니를 항복을 받고 무량겁 죄를 녹여버리는 그러한 위신력(威神力)이 거기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왜 거기에서 나오냐?

 

우리의 번뇌(煩惱)와 망상(妄想), 팔만사천 가지의 중생심(衆生心)이 바로 진여불성(眞如佛性)에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진여불성에서 일어나는 파도이기 때문에 그 파도를 여의지 아니하고 그곳에서 한 생각 돌이키면 우리는 진여불성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초(一超)에 직입여래지(直入如來地)라. 한 번 뛰어서 여래(如來) 땅에 올라간다」고 이렇게도 말씀을 하셨고,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바로 여래의 땅에 도달한다」 이렇게도 말씀을 하셨습니다.

 

'극락세계(極樂世界)가 십만팔천 국토 서쪽에가 있다' 정토종의 경전에는 그런 말씀이 있습니다. 그 말씀이 절대로 거짓말이 아닙니다. 거짓말은 아니지마는 중생의 근기(根機) 따라서 그러한 표현을 쓰셨습니다. 그 근기에 맞는 사람에게는 그렇게 표현을 해야만 되는 것입니다.

'십만팔천 국토 서쪽으로 가야 있다'고 하는 말씀이나,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바로 여래의 경지에 도달한다'고 하는 말은 정반대의 표현이지마는, 알고 보면 조끔도 차이가 없는 말씀인 것입니다.

 

번뇌망상 희로애락, 썽내고 웃고 슬퍼하고 그러한 생각들이 정말 우리 참선하는 데 꼭 필요한 것들입니다. 썽낼 일도 없고 기뻐할 일도 없고 슬퍼할 일도 없고 아주 숙맥이 되어서 맹충이가 되어 가지고 우두거니 반병신이, 무슨 어떤 정신적인 큰 충격을 받던지, 중풍 같은 그런 병을 앓아 가지고 그런 바보가 되었다면 가련하게도 그 사람은 참선을 하기가 대단히 어렵습니다.

아주 완전히 마비가 되어 가지고 웃을 중도 모르고 울 중도 모르고 썽낼 중도 모르고 '에~ 헤' 하고 있다면 그 어떻게 참선을 하냐.

 

듣기 싫은 소리 하면은 썽도 낼 줄 알고, 신경질도 낼 줄 알고, 슬퍼할 중도 알고, 기뻐할 줄도 아는, 또 번뇌와 망상도 한량없이 퍼일어난 사람, 따악 그 사람이야말로 정진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여. 오히려 자격만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런 사람이라야 더 하기가 좋고, 했다 하면 공부가 굉장히 빨리 성취할 사람인 것입니다.

이 가운데에는 전부가 다 참선을 하면 반드시 성취할 수 있는 그러한 상호(相好)를 타고나신 것 같습니다. 이렇게 법회 때마다 새로운 얼굴들이 나오신 것을 보고 대단히 반갑게 여겨지고 흐뭇하게 생각합니다.

 

처음 나오신 분도 들어보면 아실 것이고 이해가 되실 줄 생각합니다. 그동안에 다른 절을 다니셨건 또는 처음으로 오늘 나오셨건 그것도 상관이 없습니다.

'나는 아직 천수(千手)도 못 외와서 아직 불명(佛名)도 탈 수가 없고 참선을 아직 못합니다' 천수를 외우고 절에 많이 댕겨야만 불명도 타고 참선도 할 줄 그렇게 생각하신 분도 계신 거 같습니다.

이 참선은 오히려 그런 것을 외우지 못하고 다른 절에 다니면서 방편(方便)으로 된 그러한 의식 같은 것에 물들지 아니한 순박한 분이 오히려 더 공부를 잘하실 수 있다고 나는 생각을 합니다. 조끔도 뒤로 미룰 것이 없이 당장 이 자리에서부터서 참선을 시작하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내가 부모한테 태어날 때부터, 태어나기 이전에부터 원래 이 진여불성(眞如佛性)을 본래 갖추고 있다. 진여불성이라고 편의상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마는 사실은 원래는 그러한 이름도 없는 것이고, 그런 특정한 모냥다리도 없는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소소영령(昭昭靈靈)합니다.

'아무개야!' 하고 부르면 대답할 줄 알고, 욕하면 썽낼 줄 알고, 때리면 아픈 줄 알고, 배고프면 밥 먹을 줄 알고, 대관절 무엇이며 어떻게 생겼으며 어디에 있길래 그렇게 조화(造化)가 무쌍(無雙)하냐 그 말이여.

여기 법당에 앉아 있으면서도 서울을 생각하면 서울이 환하거든. 목포를 생각하면 목포가 환하고, 부산을 생각하면 부산이 환하고, 지리산을 생각하면 지리산이, 눈 한 번 깜박할 사이에 왔다갔다 번갯불보다도 더 빠르다.

 

눈을 통해서는 볼 줄 알고, 귀를 통해서는 들을 줄 알고, 코를 통해서는 냄새를 맡을 줄 알고, 입을 통해서는 맛볼 줄 알고, 말도 할 줄 알고, 발로는 걸어 다니고, 손으로는 뭘 잡고, 대관절 무슨 물건이 눈에도 보이지도 않고 손에도 잡을 수가 없는 것이 그렇게 조화가 무궁무진하냐 그 말이여.

 

그러니, 그러면서도 알 수가 없으니, 그 알 수 없으면 그것이 벌써 그거 '이뭣고?' '이뭣고?'

자꾸 '이뭣고?'를 챙겨서 그놈이 무엇인가를 참구(參究)를 하다 보면, '이뭣고?' 하고 혀도 까딱도 않고 '이뭣고?' 소리도 하기도 전에 벌써 알 수 없는 생각이 탁! 있거든. 그러면 그것이 이미 화두가 들어져 있는 거여 그게. 알 수 없는 의단(疑團)이 현전(現前)하면 벌써 그것이 화두가 들어져 있는 거라.

 

지끔 요 얘기할 때도 환히 있거던, 화두가.

틀림없이 여러분들 지끔 제 말씀을 듣고 계시면서도 '이뭣고?'가 타악 되어져 있을 거여. '이뭣고?'

 

이런 법회 때 오히려 화두가 더 잘 들리고, 조실 스님 녹음을 터억 틀어 놓고 앉었으면은 더 화두(話頭)가 성성(惺惺)하게 더 잘 들릴 줄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다가 또 일이 있으면 일어나서 일하면, 일하는 가운데에도 그 알 수 없는 화두가 들어져 있는 상태에서 일을 하시도록 훈련을 쌓아 나가시면, 일을 해도 된 중도 모르고, 시간 가는 중도 모르고 뭐 누구를 기달리거나 정거장에서 차를 기달려서도 조끔도 지루한 줄을 몰라. 차 올 때까지 '이뭣고?' 30분, 1시간 언제 지내간 중 모르게 지내가.

 

어떠한 근심이 있어도 '이뭣고?'를 하면 근심이 스르르르 근심만 없어질 뿐만 아니라, 반드시 그러한 근심이 바꽈져 가지고 전화위복(轉禍爲福)이 된다고 나는 믿고 그러한 실증(實證)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어디 가서 기도를 하는 것도 좋고, 주력을 하는 것도 좋고, 염불을 하는 것도 좋고, 경을 읽은 것도 다 그 사람 정성껏 하면 다 효과가 있고, 감응이 있는 것입니다.

'참선은 죽도록 해서 나중에 깨달으면 몰라도, 부자 되고 아들 합격하고 남편 좋은 것에는 참선해 갖고는 소용이 없다. 그저 참선은 하면서도 그런 급한 일 있으면 강화 보문이나 강릉으로 쫓아가야지, 그거 안 된다' 혹 그런 생각을 가지신 분이 더러 있는 거 같습니다.

 

절대로 진짜 부처님은 자기 안에 있는 것입니다. 자기 몸밖에 있는 부처님 불상(佛像), 자기 안에 있는 부처님보다는 못한 것입니다. 왜 그러냐?

자기 몸안에 있는 부처님은 산 부처님이고, 자기 몸밖에 있는 부처님은 돌 쇠로 된 불상 같으면 용광로에다 넣으면 녹을 것이고, 나무로 된 불상은 불에다 넣으면 탈 것이고, 흙으로 빚어서 맨든 불상은 물에다 집어넣으면 흐믈흐믈해 질 것입니다.

 

불에 넣어도 타지 아니하고, 용광로에 넣어도 녹지 아니하고, 물에 넣어도 풀어지지 아니한 부처님은 바로 자기 마음의 부처님이여. 그 마음 찾으라는 것이 바로 불법(佛法)이여.

부처님께서 팔만사천 묘법(妙法)을 설하셨는데 그 묘법을 설하신 바로 그 핵심이요, 요점이 「각기 너희 마음 부처를 깨달으라」 그거거든.

부처님의 말씀을 가장 충실히 실천한 사람에게 부처님이 복(福)을 주시지, 그것을 등한히 하고 팔도로 쫓아다닌다고 부처님이 그 사람에게 우선적으로 복을 주시리라고 나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집에서 아무리 '이뭣고?'를 해도 도저히 마음이 안정이 안 되고 걱정이 되고 해서 마지못해서 집을 비우고 몇백 리 산속으로도 가고, 바다로도 가시는 뜻을 나는 충분히 이해를 합니다. 가신 것을 꼭 나쁘다고 하진 않는데, 가서 거기서는 죽자사자 목탁을 치면서 목이 쇠도록 부르고, 오는 길에는 차중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고 그런 분들이 수없이 많이 계신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차가 발딱 뒤집어져 갖고 팔이 부러지고. 여기에 오신 분들 가운데는 한 분도 그런 분이 안 계실 것을 잘 압니다.

 

앞으로 가을철이 되어서 단풍이 물들고 하면 공연히 옆구리 꾹꾹 찌르면서 '야! 설악산 가자. 오대산 가자' 오면서 가면서 화두는 다 놓쳐 버리고 엉뎅이 춤을 추면서 그러한 일이 지끔 이 시국에 있어서 정법을 믿는 여러분들은 그런 일이 없으셔야 할 걸로 생각합니다.

그런 성지(聖地)에 기도를 가신다던지 성지 순례하신 것은 좋은 일이지마는 거기에다가 관광을 깃들여서 얼근히 한 잔 취해 가지고 광태를 부리다가 사고가 난다고 하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가 없는 일입니다.

 

지금 삼남(三南) 지방에는 수해가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참 당하지 못할 재산과 인명 피해 속에서 있으니 만큼 여러분들도 분 따라서 분 따라서 그 의연금을 내시고, 그런 사람들을 생각해서라도 너무 지나치게 가을철을 낭비하시지 말고 열심히 정진하실 것을 당부를 합니다.

 

풍송수성한(風送水聲寒)이요 운파청산로(雲破靑山露)로구나.(녹음 끊김) (31분4초~46분10초) (끝)

 

 

 

 

[법문 내용]

 

의리선(義理禪)과 조사선(祖師禪), 체중현(體中玄)과 현중현(玄中玄)에 대한 분명한 인식 / 공안(公案)이라 하는 것은 사량심이나 분별심으로 도저히 따져서 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 괴롭게 구해라. 대기(大器)는 만성(晩成)이다 / (게송)불행방초로(不行芳草路) 난지낙화촌(難至落花村)

 

「화두를 든다」 = 「화두를 생각한다」, 「관(觀)」이라 하는 것도 내나 「생각」, 알 수 없는 생각으로 '이뭣고?' 하면, 그것을 「화두를 든다」 / 단전호흡(丹田呼吸)과 화두(話頭)가 언제나 같이 되어 가도록, 제절로 같이 따라오도록 / 요중선(鬧中禪), 정중선(靜中禪) / 소승 나한(羅漢)의 수행, 보살(菩薩)의 수행 / 일가수폐우중문(一家愁閉雨中門) 삼월나유화하로(三月懶遊花下路) / 반야(般若)의 묘용(妙用) / 행복은 밖에서 찾지 말고 내 마음에서 찾으라 / 화두(話頭) 한 번 들 때 지옥이 금방 천당이 된다.

 

퍼뜩 한 생각 돌리면, '이뭣고?'하고 돌리면 그 자리가 선방(禪房) / 번뇌와 망상, 모든 중생심(衆生心)이 바로 진여불성(眞如佛性)에서 일어나는 파도이기 때문에 그 파도를 여의지 아니하고 그곳에서 한 생각 돌이키면 우리는 진여불성으로 돌아가는 것. 일초직입여래지(一超直入如來地).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바로 여래의 땅에 도달한다.

 

썽도 낼 줄 알고, 신경질도 낼 줄 알고, 슬퍼할 중도 알고, 기뻐할 줄도 아는, 또 번뇌와 망상도 한량없이 퍼일어난 사람, 그 사람이야말로 정진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자격을 가진 사람, 했다 하면 공부가 굉장히 빨리 성취할 사람 / 소소영령(昭昭靈靈)한 놈, 조화(造化)가 무쌍(無雙)한 놈, 조화가 무궁무진한 놈, 그러면서도 알 수가 없으니, 그 알 수 없으면 그것이 벌써 '이뭣고?'

 

절대로 진짜 부처님은 자기 안에 있는 것입니다 / 金佛不度爐 木佛不度火 泥佛不度水 / 부처님께서 팔만사천 묘법(妙法)의 핵심이요, 요점이 「각기 너희 마음 부처를 깨달으라」

 

 

공안(公案)이라 하는 것은 사량심이나 분별심으로 도저히 따져서 알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직 확철대오(廓徹大悟)해서 칠통(漆桶)을 타파(打破)해야만 공안은 조사선(祖師禪) 도리, 현중현(玄中玄) 도리를 바로 볼 수가 있는 것입니다.

 

바로 깨닫기만 하면 어떠한 공안이라도 바로 조끔도 사량심을 움직이지 아니하고 공안을 이를 수가 있다고 하는 증거를 우리에게 보이신 것은 공안을 공연히 사리상량으로 따져서 알려고 하지 말고 자기 본참공안(本參公案)에 철저한 신심(信心)과 분심(憤心)과 의심(疑心)으로 정진을 해 나간다면 공안은 먼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안에 답은 바로 가까운 데 있는 것을 여실히 우리에게 보여 주신 것입니다.

우리는 공안을 보는 것이 급한 것이 아니라, 한 생각이라도 더 우리의 본참화두(本參話頭)에 대한 대신심과 분심과 의심으로의 거각(擧却)이 급할 따름인 것입니다.

 

무량겁(無量劫) 업장(業障)을, 산보다도 더 높고 바다보다도 더 깊은 무량겁 업장을 그놈을 녹이고서 그놈을 씻어내고서 본바탕 자기 마음을 보는데, 그렇게 그것이 수월하다고 생각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떠한 괴로움 어떠한 장애라도 기어코 내가 디디고 넘어서야 하고 그것을 극복하고 나아가지 아니하면 아니 되는 것입니다.

그만한 각오, '목숨을 바치고라도 기어코 내가 칠통(漆桶)을 타파(打破)해야겠다' 이만한 각오가 있어 가지고 정진을 해 나가면 실상은 그렇게 정진이 또 어려운 것만도 아닌 것입니다.

 

단전호흡(丹田呼吸)과 화두(話頭)가 언제나 같이 되어 가도록 그렇게 익혀 나가면, 단전호흡을 터억 하면 화두는 그 가운데 제절로 딱! 들어지고, 또 화두를 딱! 들면 제절로 단전호흡이 따악 제절로 같이 따라오도록 이렇게 나중에는 되어 가는 것입니다.

 

만날 조용한 데서만 해야만 공부가 잘된다고 생각하시면 그것은 공부에 소극적인 방법을 취하는 사람이라, 이 공부가 매카리가 없는 것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시끄럽기도 하고 조용하기도 하는 것인데, 밤낮 조용한 데서만 익혀야만 공부가 좀 된 것 같고 그래야만 공부가 잘된다고 생각하면은 그 사람은 정말 생사(生死)를 당적(當敵)할 만한 그러한 힘 있는 공부에 힘을 얻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반야(般若)는 지혜(智慧)인데, 지혜롭게 마음을 쓰면 그러한 묘(妙)한 작용이 나의 마음속에서 일어나고, 나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우리의 정신력이라 하는 것은 정말 불가사의(不可思議)한 것이여서, 우리의 생각 조종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180도로 변화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행복은 밖에서 찾지 말고 내 마음에서 찾으라. 천당과 지옥도 시간과 공간을 멀리 잡고 딴 데에서 딴 시간에 찾지를 말고, 당장 '한 생각' 일어나는 그곳에 천당과 지옥이 있다고 하는 것을 우리는 여실히 느끼게 됩니다. 화두(話頭) 한 번 들 때 지옥이 금방 천당이 되고.

 

공부는 언제 · 어데서 · 무엇을 하고 있던지 상관이 없습니다. 퍼뜩 한 생각 돌리면, '이뭣고?'하고 돌리면 그 자리가 선방(禪房)입니다.

차중에서도 좋고, 길가에서 길 가운데서도 좋고, 밥 먹을 때도 좋고, 똥 눌 때도 좋고, 누구하고 얘기 할 때도 좋고 '이뭣고?' 썽날 때도 '이뭣고?' 이렇게 한 생각 한 생각 돌이키는 그 공덕(功德)이, 팔만사천에 마구니를 항복을 받고 무량겁 죄를 녹여버리는 그러한 위신력(威神力)이 거기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왜 거기에서 나오냐?

 

우리의 번뇌(煩惱)와 망상(妄想), 팔만사천 가지의 중생심(衆生心)이 바로 진여불성(眞如佛性)에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진여불성에서 일어나는 파도이기 때문에 그 파도를 여의지 아니하고 그곳에서 한 생각 돌이키면 우리는 진여불성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초(一超)에 직입여래지(直入如來地)라. 한 번 뛰어서 여래(如來) 땅에 올라간다」고 이렇게도 말씀을 하셨고, 「한 걸음도 옮기지 아니하고 바로 여래의 땅에 도달한다」 이렇게도 말씀을 하셨습니다.

 

듣기 싫은 소리 하면은 썽도 낼 줄 알고, 신경질도 낼 줄 알고, 슬퍼할 중도 알고, 기뻐할 줄도 아는, 또 번뇌와 망상도 한량없이 퍼일어난 사람, 따악 그 사람이야말로 정진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여. 오히려 자격만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런 사람이라야 더 하기가 좋고, 했다 하면 공부가 굉장히 빨리 성취할 사람인 것입니다.

 

절대로 진짜 부처님은 자기 안에 있는 것입니다. 자기 몸밖에 있는 부처님 불상(佛像), 자기 안에 있는 부처님보다는 못한 것입니다. 왜 그러냐?

자기 몸안에 있는 부처님은 산 부처님이고, 자기 몸밖에 있는 부처님은 돌 쇠로 된 불상 같으면 용광로에다 넣으면 녹을 것이고, 나무로 된 불상은 불에다 넣으면 탈 것이고, 흙으로 빚어서 맨든 불상은 물에다 집어넣으면 흐믈흐믈해 질 것입니다.

 

불에 넣어도 타지 아니하고, 용광로에 넣어도 녹지 아니하고, 물에 넣어도 풀어지지 아니한 부처님은 바로 자기 마음의 부처님이여. 그 마음 찾으라는 것이 바로 불법(佛法)이여.

부처님께서 팔만사천 묘법(妙法)을 설하셨는데 그 묘법을 설하신 바로 그 핵심이요, 요점이 「각기 너희 마음 부처를 깨달으라」 그거거든.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600 개가 넘는 ‘(참선) 법문’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600 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Posted by 닥공닥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