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등선원(1~73)/(26~50)2021. 11. 9. 15:49

 

((세등선원No.35))—1981(신유)년 하안거 해제(81.07.17.음) (57분)

 

 

(1/3) 약 20분.

 

(2/3) 약 17분.

 

(3/3) 약 19분.

 


(1/3)----------------

자소내내관원방(自少來來慣遠方)하고  기회형악도소상(幾廻衡岳渡瀟湘)고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일조답착가향로(一朝踏着家鄕路)하고  시각도중일월장(始覺途中日月長)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자소내내관원방(自少來來慣遠方), 젊어서부터 여태까지 오면서 고향을 떠나서 저 타방(他方)으로 돌고 돌면서 객지 생활(客地生活)만 해왔다 그 말이여.
기회형악도소상(幾廻衡岳渡瀟湘)이냐. 몇 번이나 중생(衆生)의 아상(我相), 인상(人相), 탐진치(貪瞋癡)의 산(山)을 돌고 돌아서 애정(愛情)에 얽힌 강(江)을 건너고 건넜더냐.

일조답착가향로(一朝踏着家鄕路)하니, 하루아침에 고향 길을 밟으니, 하루아침에 어진 벗을 만나서 바른 선지식(善知識)을 만나 가지고 고향(故鄕)으로 돌아와 보니,
시각도중일월장(始覺途中日月長)이로구나. 비로소 생사(生死) 무대(舞臺)에서, 생사의 강(江)과 산(山)을 돌고 도는 시간이 너무나 길고 길었다 하는 것을 깨달랐다.


신유년(辛酉年) 하안거(夏安居)를 마치고 사부대중(四部大衆)이 이렇게 구름처럼 모였습니다. 제방(諸方)에서, 제방의 선방(禪房)에서 한철 정진(精進)을 잘 마치고 선배 후배를 서로 만나고 좋은 도반(道伴)들의 얼굴을 반가운 얼굴로 만나기 위해서, 그리고 그동안 자기가 공부한 것 또 다른 도반이 어떻게 공부했는가를 타진(打診)하고 서로의 뜻을 교환하기 위해서 우리가 서로 여기에 모였습니다.

서로 혈육을 나눈 형제간 만난 것이 이보다 더 반가울 수는 없을 것입니다. 혈육을 나눈 형제간은 애정으로 얽힌 것이라 윤회(輪廻)의 근본이 될 뿐이지만, 우리 사부대중 이 도반이 이 자리에 모인 것은 생사해탈(生死解脫)을 하기 위한, 지혜의 눈을 뜨기 위한 최상승법(最上乘法)으로 서로 뜻을 같이한 불제자(佛弟子)로서, 도문(道門)에 있어서의 형제간으로서 이렇게 만났으니 이보다 더 뜻이 깊고 반가울 수는 없을 것입니다.

방금 우리는 고(故) 전강(田岡) 조실 스님의 법문을 녹음을 통해서 들었습니다. '수행자는 마땅히 재색(財色)을 삼가해라. 재색은 도(道)를 가로막는 무서운 독사(毒蛇)보다도 더 무서운 것이다' 그러한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종단(宗團)이 아직도 분규가 수습이 되지 아니하고 여기저기서 관(官)의 개입을 받으면서 출가인(出家人)의 면목(面目)을 손상하고 부처님과 조사(祖師)의 얼굴에 구정물을 끼얹는, 얼굴을 들 수 없는 그러한 사태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내용을 알고 보면 보다 더 종단을 바로잡고 불교를 정화(淨化)하기 위한 명분(名分)이 있겠지만, 엄격하게 말하면 부처님의 참뜻을 바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이러한 분규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해도 변명할 길이 없을 것입니다.

참으로 출가인으로서 부처님의 뜻을 바로 이해한다면 나의 아상(我相) 인상(人相)을 비워버리고 무슨 싸움이 있을 것이냐? 내 마음이 허공과 같고, 저 사람의 마음이 허공과 같다면 두 허공(虛空)이 서로 합(合)해진들 무슨 거리낌이 있을 것이냐 이 말씀이여.
내 주장(主張)이 옳고, 내 주장만 옳고 상대방의 주장은 그르다고 주장할 때 상대방도 또한 그러한 입장으로 맞서게 된다면 아무리 세월이 지내간다 해도 두 의견은 합해지지 못할 것입니다. 마침내 새우 싸움이 고래의 등을 터지게 한 결과를 가져오고 말 것입니다.

여기에 모이신 비구(比丘) ‧ 비구니(比丘尼) ‧ 청신사(淸信士) ‧ 청신녀(淸信女)는 종단의 일각(一角)에서 그러한 분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면 그럴수록 더욱 신심(信心)을 돈발(頓發)해서 밤잠을 안 자고 가행정진(加行精進) 용맹정진(勇猛精進)을 해 왔습니다.

세 시간, 서너 시간밖에는 자지 아니하고 하루에 열 칠팔 시간을 가행정진을 한 사람, 한 도량에 옆구리를 땅에 대지 아니하고 이십사 시간을 붙배기로 앉어서 용맹정진을 한 사람, 밥 먹고 옷 입고 앉고 서고 일체처(一切處) 일체시(一切時)에 단 일분일초 한 생각도 소홀히 하지 아니하고 스스로 눈에 보이지 않는 채찍을 가하면서 이마빡에 '죽을 사(死)' 자를 써 붙이고 이를 악물고 용맹정진을 해 온 납자(衲子)들입니다.
이렇게 가행정진을 하고 용맹정진을 할 때에 비로소 정법(正法)에 싹은 무럭무럭 자라고 위없는 정각(正覺)에 열매는 무르익어 갈 것입니다. 불법(佛法) 정화(淨化)는 자기의 의견을 주장하면서 상대방을 꺾을려고 하는 데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마음을 청정히 가지고 용맹정진하는 데에서만이 정법은 가까워질 것입니다.

그리고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 '참선을 하는 사람은 마땅히 활구선(活句禪)을 해라'
활구선이 무엇이냐? '사구선(死句禪)을 하지 말고 활구선을 해라'

사구선은 화두(話頭)가 없이, 의단(疑團)이 없이 멍청하게 막연하게 고요히 무엇을 들여다보고 앉었는 거. 또는 화두를 들되 분별심(分別心) ‧ 사량심(思量心) ‧ 이로(理路) ‧ 어로(語路) 그래 가지고 분석하고 비교하고 이러한 참선(參禪), 이러한 참선은 가리켜서 '사구선(死句禪)'이라 하는 것입니다.
이 공안(公案)도 따져보고 그럴싸한 답을 얻어내고, 또 저 공안도 이리저리 분석해서 그럴싸한 답을 얻어내고, 그래 가지고 이 공안과 저 공안을 비교하고. 56억 7천만 년 뒤에 미륵불(彌勒佛)이 하생(下生)하실 때까지 참선을 한다하더라도 바른 깨달음은 얻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번 해젯날 어떤 납자(衲子)가 찾아와서, "정진을 하다가 화두(話頭)가 의단(疑團)이 풀리고 어떠한 화두를, 자기가 알고 있는 공안(公案)을 들고 참구(參究)를 해봐도 다 의심이 풀렸습니다" 그리고 자기가 들고 있는 그 화두에 대해서 "아무런 의심이 없고 일부러 의심을 좀 해보려고 해도 의심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깨달음을 얻었다는 말이요?"
"깨달음을 얻었다기보다도, 그저 그렇습니다"

"그러면 무슨 화두든지 물어보면 다 여지없이 이를 수가 있다 그 말이냐?"
"예, 물어주십시오" 떠억 절을 석 자리[三拜]를 하고 꿇어앉으면서 물어달라고 그래.

물어볼 것도 없이 그 사람이 바른 깨달음을 얻은 것이 아닌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 사람을 그전에부터서 내가 잘 알고 있는 사람이고, 평상시에 그 마음가짐이나 행동이 너무 진실하고 여법(如法)해서 거짓말로 알았다고 할 사람이 아니여.
그래서 그렇게 일부러 해제(解制)를 기해서 불원천리(不遠千里)하고 온 그 정성으로 보나, 그전부터서 잘 알고 있는 안면으로 보나, 또 용화선원에서 여러 철을 지낸 바도 있고 그래서, 마조원상(馬祖圓相)을 그려 놓고 "이 안에 들어가도 치고, 들어가지 안 해도 칠 테니 한마디 일러봐라"
"원상 안에 들어가겠습니다"

"그러면 옛날 마조(馬祖) 스님 당시에 마조 스님이 원상(圓相)을 그려 놓고 '입야타불입야타(入也打不入也打), 이 안에 들어가도 치고 들어가지 아니해도 친다' 하니 어떤 중[僧]이 그 안에 떡 들어갔다. 마조 스님이 그 사람을 탁! 치니까 그 중이 말하기를, '스님은 저를 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그 치지 못했다는 뜻이 무엇이냐?" 물어보니까,
"이 육신(肉身)은 쳤지만 영혼(靈魂)은 치지 못했다 그 말입니다" 그렇게 대답을 한다 그 말이여.

"그것 보라"고.
자기가 그 원상(圓相) 안에 들어가 놓고도 들어간 뜻을 바로 아지 못하고, 방맹이를 맞고도 어째서 맞은 중도 모르고, '저를 치지 못했다'고 말을 하면서도 그 참뜻을 아지 못하고 분별심으로 '이 육체는 쳤지만 육체를 끌고 다니는 이 마음은 치지 못했다' 이러한 귀신 같은, 도깨비 같은 소견(所見)을 가지고 '깨달랐다'고 하는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왔다 그 말이여.

이 공안(公案)이라 하는 것은 깨닫지 못한 사람에게는 그 공안을 주삼야삼(晝三夜三)에 거각(擧却)을 해서 대의단(大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정진을 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함으로써 자기(自己)의 면목(面目)을 깨닫고, 불조(佛祖)에 면목을 깨닫고,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는 그러한 관문(關門)이 되고.
종사(宗師)가 이 공안을 학자에게 물음으로써 학자(學者)의 소견(所見)을 여지없이 간택(揀擇)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문제가 된다. 공안을 물어보면 그 사람의 소견이 어디에 빠져 있다고 하는 것을 바로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처음~20분10초)





(2/3)----------------

여기에 모인 대중 가운데 지난 여름 석 달 동안 그렇게 간절히 철저하게 정진을 했으면 자기 나름대로 어떠한 소견이 난 사람이 있을런지도 모릅니다.
어떠한 소견이 났더라 하더라도 그것이 바른 깨달음이 아니라고 하는 것을 스스로 알고서 그것을 씻어버리고 '다못 알 수 없는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만 정진을 해야겠다' 한 그렇게 스스로, 물어볼 것도 없이 스스로 자기의 공부를 다지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정진(精進)이라 하는 것은 바른 스승의 지도(指導) 없이, 자기가 목숨 바쳐서 믿을 수 있는, 믿어지는 스승의 지도 없이는 세상없이도 바르게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정진을 바르게 못한 한에는 바른 깨달음은 얻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이 공안은 그러한 분별심(分別心) 사량심(思量心) 가지고서는 도저히 타파(打破)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바른 스승을 간택(揀擇)하지 않고는 바른 공부를 할 수가 없고, 바른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바른 깨달음은 얻을 수가 없다. 바른 깨달음을 얻으려면은 정진을 바르게 해야 하고, 바른 정진을 하려면은 바른 스승의 지도가 있어야만 되겠다.

아까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 '어떻게 하면 그 바른 스승을 간택(揀擇)할 수가 있느냐?'
얼굴이 잘 생긴 것으로 스승을 가릴 것인가, 설법(說法)을 잘한 것으로서 바른 스승을 가릴 것인가, 계행(戒行)이 청정한 것으로서 스승을 가릴 것인가, 학식(學識)이 많은 것으로서 스승을 가릴 것인가, 친절하고 온화한 것으로서 스승을 가릴 것인가, 기운이 센 것으로서 스승을 가릴 것인가?

전강 조실 스님 말씀에는 "천하 간단한 방법이 있다. '스님이 견성(見性)을 하셨으면 어떠한 공안(公案)에 깨달랐습니까? 어떠한 공안에 깨달라 가지고 어느 스님께 인가(印可)를 받았습니까?' 이렇게 그것을 알아보면 그 스승이 바른 스승인가 아닌가를 알 수가 있다"고 하셨지만, 여지없이 이치에 합당한 말씀이지만, 우리가 감히 어디에 가서 '무슨 공안에 깨달랐느냐?' 물어보기가 대단히 거북할 것입니다.

바른 스승 만날려면은 먼저 자기의 마음자세가 바르게 되는 것이 선행 조건(先行條件)이 될 것입니다. 자기가 참으로 참다웁게 발심(發心)을 하고, 참다웁게 분심(憤心)을 낸다면 선지식(善知識)은, 바른 스승은 반드시 만나질 것입니다.
스승을 만나는 것도 인연법(因緣法)으로 만나지는 것이라, 자기가 바른 스승을 만날 수 있도록 마음가짐과 신행(信行)을 철저히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자기가 바르게 발심을 못하고 바른 신심을 갖지 못하고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스승을 찾으러 댕긴들 코앞에 스승이 있어도 바른 스승인 줄을 깨닫지를 못할 것입니다.

달마(達磨) 스님께서 『혈맥론(血脈論)』에 말씀하시기를, 「불급심사(不急尋師)면 공과일생(空過一生)이다. 급히 스승을 찾지 아니하면 헛되이 일생을 보내리라. 무사자오자(無師自悟者)는 만중희유(萬中希有)다. 스승 없이 스스로 깨달은 사람은 만 명 가운데에도 있기가 어렵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스승에게 무엇을 얻은 것은 아니지만, 바른 스승이 아니라면 나를 바르게 지도(指導)할 수가 없고 바른 지도가 없이는 세상없이도 올바른 깨달음을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사도(邪道), 삿된 스승을 스승으로 해서 공부를 한다면 아무리 밤잠을 안 자고 열심히 한다고 한들 삿된 소견에 떨어질 수밖에는 없을 것입니다.
바른 깨달음은 바른 스승 밑에, 바른 스승의 지도하(指導下)에서만 이룰 수가 있다. 바른 스승의 지도 없이 공부하는 공부는—혼자 토굴(土窟)에 가서 하거나, 어디에 가서 하거나 열심히 할수록 빨리 미치게 되거나 삿된 소견에 떨어지는 것입니다.


전강 조실 스님 법문 가운데에, 처음에 소견이 나셔 가지고 혜봉(慧峰) 스님, 경허(鏡虛) 스님의 제자이신 혜봉 스님을 찾아가 뵈었습니다. 혜봉 스님은 그때 마나님 한 분을 얻어 가지고 지남철(指南鐵)을 차고 풍수(風水)질을 하면서 보림(保任)을 하고 계실 때, 그때 그 혜봉 스님을 찾아가 뵈아가지고 법담(法談) 거량(擧揚)하신 것을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처음에 조실 스님께서 그 혜봉 스님을 찾아가서 뵈웁자마자, 조주(趙州)에 무자(無字), '개도 불성(佛性)이 있습니까, 없습니까?' 하고 물었는데, 조주 스님이 대답하기를 '무(無)' 했는데,
그 무자의 뜻, "무자(無字)의 뜻을 반(半)만 일러주십시오" 이렇게 혜봉 스님께 물었습니다.

혜봉 스님이 답하시기를, "무(無)" 하셨는데,
조실 스님께서 "어찌 그것이 무자(無字) 반(半)이 되겠습니까?"

그러니까 혜봉 스님이 "그러면 수좌(首座)가 일르게. 어떤 것이 무자(無字) 반(半)인고?"
그러니 조실 스님이 대답하시기를 "무(無)" 하셨습니다.

그러니까 그 끝에 혜봉 스님께서 물으시기를, "거년(去年) 가난이 비(非)가난이여. 거년에 가난은 가난이 아니여" '가난하다' 하는 것은 빈궁(貧窮)하다 그 말이여. 아주 가난해 빠졌다 그 말이여.
"거년(去年)에 가난한 것은 가난이 아니요[未是貧], 무입추지지(無立錐之地)여, 송곳 꽂을 땅이 없더니, 금년(今年) 가난이 시(是) 가난이여[始是貧], 금년 가난이 참으로 가난해서 송곳마저도 없다. 이렇게 대답했는데, 이렇게 대답한 것은 겨우 '여래선(如來禪) 도리(道理)밖에는 안 된다' 그랬으니 어떻게 하면 조사선(祖師禪)이 되도록 이를 수가 있겠는가?" 이렇게 혜봉 스님이 전강 조실 스님께 물었습니다.

조실 스님이 대답하시기를, "능각첨첨첨사타(菱角尖尖尖似他)입니다. 뾰족허고 뾰족허기가" [일대기3호에는 '능각첨첨불사타(菱角尖尖不似他), 능각은 첨첨헌디 타와 같지 않다'로 나옴]
능각(菱角)이라 하는 것은 마램(마름)이라고 호수에 가면 세모꼴로 되어 가지고 송곳처럼 뿔이 세 개가 뾰쪽 뾰족이 나와서 까맣게 물에 떠 있는, 이파리는 물에 떠 있으면서 그것을 뿌리를 더듬어 들어가면 거기에 까만 세 뿔난 열매가 있는데 그것을 까서 먹으면 맛이 고스롬허니 그 '마름'이라 하는 것인데, "그 마램(마름)이의 뿔이 뾰족허고 뾰족하기가 저 송곳과 같습니다" 이렇게 대답을 했다 그 말이여.

그때에 혜봉 스님이 아무 말이 없으셨다.
그래서 조실 스님 생각에, ‘아하, 내가 바로 일렀기 때문에 아무 말씀이 없으시구나. 그 내가 이른 것이 옳게 일렀구나. 그래 나를 인가(印可)해 주셨구나' 이렇게만 생각하고 흐뭇하게 생각하셨는데,
나중에 당신이 정진을 하셔서 나중에 떠억 그 공안을 살펴보니까, "그! 그것이 내가 잘못 일렀다. 만약에 그때에 내가 바로 일렀던들 혜봉 스님이 그 반갑게 손을 붙잡고 춤을 덩실덩실 추셨을 텐데 내가 바로 일르지 못했기 때문에 아무 말씀이 없었다고 하는 것을 나중에사 깨달랐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습니다.

여러분! 대종사(大宗師)에 마음 경계라 하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것입니다.
보통 사람 같으면 설사 그때에 당신이 잘 못 일렀다 하는 것을 후일(後日)에 알았다 하더라도 이것 감히 다른 사람 앞에, 수십 년 뒤에 이것을 대중 앞에 폭로(暴露)를 한다고 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울 것입니다. 자기의 체모(體貌)를 생각해서 챙피해서라도, 그 사실을 아무도 알고 있는 사람이 없는데 그것을 대중 앞에 공포(公布)를 하지 아니할 것입니다. 그러나 조실 스님께서는 여지없이 그것을 대중 앞에 발로(發露)를 해서 공포(公布)를 하셨습니다.

조사(祖師)에 한마디, 이 공안에 내리신 한마디 말씀이라 하는 것은, 정법(正法)에 안목(眼目)을 가리워 버리는 것이 되고, 지혜(智慧)에 일월(日月)을 어둡게 하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나아가서 학자(學者)에 안목과 생명을 죽이고 마는 것이 되는 까닭에 조실 스님은 이것을 여지없이 만천하(滿天下)에 탁! 털어 내놓고 공포를 하신 것입니다.

안목(眼目)을 갖춘 사람은 지금이라도, 또는 앞으로 언젠가 바른 눈을 떴을 때에는 이 전강 조실 스님의 이 한 말씀이 과연 얼마나 중대하고 무서운 것인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공안(公案)이라 하는 것은 정말 이와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선지식이 한마디 말로 해서 소 배때기 속으로 들어가기도 하고, 말 뱃속으로 들어가게도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공안(公案)이라 하는 것은 마치 불 무데기와 같애서 가까이만 갔다하면 대번에 내 몸에 불이 붙어서 나의 생명을 앗아가고 마는 것입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선지식으로부터 받은 공안 하나만을 의지해서 목숨 바쳐서 참구(參究)할지언정, 이 공안 가지고 이리저리 따져보고, 저 공안 가지고 이리저리 따져보고 이러한 식으로 함부로 공안을 희롱(戲弄)하는 사람은 바른 깨달음에 이르기 어려울 것입니다.
한 공안에 철두철미(徹頭徹尾)하면, 그래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그 의단을 타파(打破)하면 결정코 천칠백 공안(千七百公案)에 맥힘이 없게 될 날이 오고야만 마는 것입니다.(20분13초~37분24초)





(3/3)----------------

요사이 일본(日本)에 의리선(義理禪), 사구참선(死句參禪)이 한국에 흘러 들어와 가지고 일부 거사(居士)들이 그러한 식에 참선을 하고, 그러한 식에 참선을 자꾸 학생들에게 모다 가리키고 해 가지고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삿된, 못된 참선을 하고 있는 사람이 나날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런 의리선은 따질 것이 있고, 알아 들어갈 것이 있고, 더듬어볼 것이 있기 때문에, 그리고 며칠 동안 이리저리 해보면 그럴싸한 답을 얻을 수가 있기 때문에 해보면 심심치 않고 무엇인가 공부가 나날이 되어간 것 같이 느껴지고 그래서 어떤 결론을 얻어서 그 선생한테 가서 일르면 "옳다" 그러고, 또 다른 공안 하나를 주어서 또 주면 그걸 가지고 이리저리 자기가 가지고 있는 모든 지식과 상식을 총동원해서 그럴싸한 무슨 결론 얻어 가지고 가서 말을 하면 또 다른 화두를 일러주고 해서 다섯 개, 열 개, 스무 개, 이런 식으로 해서 자꾸 따져 들어간다 그 말이여.
그래 가지고 와서, 가끔 와서 인가(印可)를 해 달라고 오는 학생 청년들이 있는데, 도저히 이것은 용납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차라리 '관세음보살'을 부르고 '아미타불'을 부르고 '옴 마니 반메 훔'을 하고 '고왕경(高王經)'을 읽을지언정, 이러한 죽은 참선을 해서는 아니 되는 것입니다. 기위(旣爲) 참선을 할 바에는 철저한 활구참선(活句參禪), 최상승참선(最上乘參禪)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활구참선(活句參禪)이라는 게 무엇이냐? 알 수 없는 의심(疑心)!
'이 무엇고?' '이 무엇고? 하는 이놈이 무엇고?'
무자(無字) 화두(話頭)를 하는 사람은 '어째서 무(無)라고 했는고?'
판치생모(板齒生毛)를 하는 사람은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고?'
부모미생전본래면목(父母未生前本來面目) 화두를 하는 사람은 '부모미생전본래면목(父母未生前本來面目)이 무엇인고?'

선지식(善知識)으로부터 화두를 받은 그 화두 하나만을 정말 간절한 의심으로 오직 한결같이, 분별심으로 따지지 말고 '어째서 무(無)라 했는고?' 이렇게만 해 가는 것입니다.

'따지는 것이 오히려 졸음도 안 오고 재미도 있고 해 보면 무엇인가 할 것이 있고 씹히는 것이 있어서 심심치 않은데 어째서 따지지 말라고 합니까?'
우리가 생사윤회(生死輪廻)를 하게 된 근원(根源)이 무엇이냐 하면은 무명(無明) 때문에 생사윤회를 하게 되고, 무명이라는 것이 다시 말을 바꿔서 말하면 분별심(分別心)이요 사량심(思量心)인데, 분별사량심이 그것이 바로 번뇌(煩惱)요 망상(妄想)인데, 그것이 바로 생사윤회(生死輪廻)의 근본(根本)인데, 어찌 참선을 한답시고 앉아서 번뇌망상, 중생의 분별사량심(分別思量心)으로 따져 가지고 생사 없는 도리(道理)를 증득(證得)하려고 하느냐 그 말이여.
하나도 의심날 것도 없고 상식적인 얘기고 아무나 알 수 있는 얘긴데 어째서 그것을 모르고 따지고 있느냐 그 말이여.

따져서 알 수 있는 것이라면 가르켜주어 버리면 그만인데, 왜 안 가르켜주고 자기보고 따지라고 허냐 그 말이여.

깨달음이라 하는 것이 가리켜줄 수 있는 것이여? 깨달음이라 하는 것이 배와서 아는 것이여?
얻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았고, 만나기 어려운 불법(佛法)을 만났으면 바르게 닦아서 바른 깨달음을 얻어야 할 것이 아니냐 이거여.

참선(參禪)이라 하는 것, 최상승법(最上乘法)이라 하는 것,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이라 하는 것은 복잡한 것이 아니여. 다못 알 수 없는 생각. 앞으로 나아가자니 은산철벽(銀山鐵壁)이요, 뒤로 물러서자니 천길만길 낭떠러지.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고, 뒤로 물러설 수도 없는 그렇게 콱 맥힌 그 자리에서 '이 무엇고?'

앉아서도 '이 뭣고?'
서서도 '이 뭣고?'
누워서도 '이 뭣고?'
밥을 먹을 때도 '이 뭣고?'
옷을 입을 때에도 '이 뭣고?'
똥을 눌 때도 '이 뭣고?'
일을 할 때도 '이 뭣고?'
산을 보아도 '이 뭣고?'
새소리, 물소리, 기차 소리를 들어도 '이 뭣고?' 다못 그렇게만 해 가는 것이여.


견색비유색(見色非有色)이요  문성불시성(聞聲不是聲)이니라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녹음 끊김)

.....알 수 없는 의단(疑團) 뿐이여.
문성불시성(聞聲不是聲)이라. 소리를 듣되 이 소리가 아니여.

개 소리가 듣되 개 소리가 아니여. 어찌 '저것이 개 소리다' '저것은 새파트 소리다' '저것은 삽살이 소리다' '저것은 똥개 소리다' '저것은 기차 소리다' '기차 저것은 디젤 기관차다'
어찌 그러한 분별심(分別心)을 계속 내서 가지에 다시 가지가 뻗고, 잎에 다시 잎이 뻗고, 뿌리에 다시 뿌리가 뻗어서 끊임없이 생사(生死)의 흐름 속에 휘말려 들어가냐.

산을 보되 산인 줄을 모르고, 꽃을 보되 꽃인 줄을 모르고, 개 소리를 듣되 개 소린 중을 모르고, 기차 소리를 듣되 기차 소린 줄을 모르고, 누가 나를 칭찬하되 좋아헐 중도 모르고, 누가 나를 비방(誹謗)하되 썽낼 줄도 모르고 다못 알 수 없는 의심(疑心).

온갖 색상(色相), 온갖 소리에 걸리지 아니할 때[色聲不礙處],
친도법왕성(親到法王城)이라, 바로 법왕(法王)이 계시는 곳에 이르른 것이다. 그렇게 정진을 해 갈 때 어찌 공안을 타파하지 못하며 생사해탈(生死解脫)을 못할 것인가?


오늘 해제를 맞이했습니다. 원래 해젯날은 그 회상(會上)에서 같이 정진한 사람이 전부 모이고, 그 근처에 숲속에서 모다 정전하던 사람도 전부 부처님 계신 곳으로 전부 모여서 14일 날 저녁, 또는 15일 날 저녁, 또는 16일 날 저녁에 모여 가지고 지난 석 달 동안 각자 잘한 일 못한 일을 그 흉금(胸襟)을 털어놓고 서로 충고하고 경책을 하면서 반성하고 참회(懺悔)하고 새로운 발심(發心)에 계기가 되는 그러한 시간을 마련을 했던 것입니다.

맨 처음 부처님부터 한 무릎을 꿇고 한 무릎을 세우고 합장(合掌)을 하고서 대중을 향해서 "지난 석 달 동안 내가 수행해 나가는 데 있어서, 그 마음가짐에 있어서, 그 말에 있어서, 그 행동에 있어서 잘못 된 점이 있으면 자비(慈悲)로써 기탄(忌憚)없이 일러주시오" 하고 대중을 향해서 경건한 마음으로 부탁을 하셨던 것입니다.

그때 가섭존자나 목련존자나 사리불 같은 수제자(首弟子)가 부처님 앞에 합장 공경하고 예배(禮拜)를 드리고서 부처님을 부축해 일으켜 드리면서 "세존(世尊)이시여, 세존은 삼계대도사(三界大導師)요 사생(四生)의 자부(慈父)이신데 무슨 허물이 있사오니까?" 그렇게 간절한 마음으로 부처님을 일으켜 드렸던 것입니다.
그리고서 그다음 제자가 또 한 무릎을 꿇고 한 무릎을 세우고 합장 공경을 하고 대중을 향해서 또 부처님이 하시듯 그렇게 대중을 향해서 자기의 잘못된 점을 지적해 달라고 애원을 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차례차례, 수효가 백 명, 이백 명, 천 명이 모일 때에는 그 밤이 다 새도록 그러한 엄숙한 의식(儀式)이 진행이 되었던 것입니다.

그러한 제도가 오늘날 차츰 생략이 되어서 왔지만, 우리가 이렇게 해제의 법회(法會)를 거행하는 것도 역시 그때의 자자(自恣)의 법요식(法要式)이 오늘날 이러한 해제 법요식으로 시행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뜻깊은 해젯날을 맞이한 만큼 우리는 각자 자기의 잘못을 반성을 하고, 다른 도반(道伴)이 자기에 잘못을 충고를 해주어도 그 말에 진심(瞋心)을 내지 말고 그 감사한 마음으로 그것을 받아들이고 반성하고 참회를 해서 앞으로 정진해 가는 데에 큰 보탬이 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 10월 보름날, 동안거(冬安居)가 시작될 때까지 석 달 동안 추웁도 더웁지도 않는 서늘한 산철입니다. 그 석 달 동안을 공연히 여기저기 구경 삼어서 돌아다니지 말고 어쨌든지 빨리, 어데서 어떻게 지내든지 간에 지난 석 달 동안보다도 훨씬 더 간절한 마음으로, 더 경건한 마음으로, 더 철저한 마음으로 정진을 해 주시기를 간절히 부탁을 합니다.


지난 백 일 동안 이 세등선원에서는 백일기도(百日祈禱)를 봉행(奉行)을 했습니다.
설사 여기에 오셔서 정진은 못하고 각자 가정에서 생활 속에서 계셨을망정 정진하는 스님네와 똑같은 마음가짐으로 화두를 들고 정진을 하셨고, 생활 속에서 기도를 하셨다면 여기서 방부(房付)를 들이고 참선(參禪)하는 스님네와 조끔도 다를 것이 없습니다.

원래 공부에는 동중선(動中禪)과 요중선(鬧中禪), 또는 요중선과 정중선(靜中禪)이 있습니다.
고요한 가운데 하는 정진과 활동을 하면서 시끄러운 속에서 하는 두 가지 형식이 있는데, 고요한 가운데에서 규칙적인 생활을 하면서 죽비(竹篦)를 치고 정진을 하는 것은 시끄러운 가운데에, 활동하는 가운데에도 잘될 수 있도록 엄격한 훈련을 쌓는 것이다. 이렇게 말을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시끄러운 가운데에 또는 활동하는 가운데에 잘되어야만 그 공부는 정말 살아 있는 공부라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고요한 곳에서 규칙을 세우고 죽비를 치면서 그렇게 해야만 공부가 좀 되고, 오며가며 시끄러운 가운데 일하면서 활동하는 가운데에는 영 화두가 어디로 가버리고 없고 공부가 안될 그 공부는 아직 공부에 힘을 얻지 못한 증거인 것입니다.

그래서 공부는 고요한 가운데에서도 열심히 하고, 그 고요한 가운데에 열심히 익힌 그 공부를 활동하는 가운데, 시끄러운 가운데에서도 되도록 채찍을 가하면서 정진을 갖다가 밀고 나가야만 되는 것이여. 그래서 시끄러운 가운데에나 조용한 가운데에나 조끔도 걸림이 없이 공부를 다잽이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색성불애처(色聲不礙處), 모든 색과 모든 소리에 걸림이 없어야만, 이것이 바로 법왕성에 이르르는 곳이다」 한 것입니다.
다시 우리가 또 만날 때까지 기어코 공안이 타파(打破)되도록 알뜰히 정진을 하기를 부탁합니다.


일파유조(一把柳條)를 수부득(收不得)하야  화풍탑재옥난간(和風搭在玉欄干)이로구나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일파유조(一把柳條)를 수부득(收不得)하야, 한 주먹 버들가지를 거두어 잡지 못해서,
화풍탑재옥난간(和風搭在玉欄干)이다. 바람과 함께 옥난간(玉欄干)에 매어두노라.(37분25초~56분24초) (끝)

 

 

 

 

 

[법문 내용]

(게송)자소내내관원방~ / 해제하고 도반(道伴)을 만나는 반가움 / 참선은 마땅히 활구선(活句禪)을 해라 / 공안(公案)이라 하는 것은 깨닫지 못한 사람에게는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는 관문(關門)이 되고, 또 종사(宗師)가 이 공안을 학자에게 물음으로써 학자(學者)의 소견(所見)을 여지없이 간택(揀擇)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문제가 된다.

바른 정진을 하려면은 바른 스승의 지도가 있어야만 한다 / 바른 스승 만날려면은 자기가 바르게 발심하고 바른 신심을 갖어야 / 전강 조실 스님과 경허(鏡虛) 스님의 제자이신 혜봉 스님과의 법거량, 훗날에 전강 스님께서 '당신이 잘 못 일렀다' 하는 것을 대중 앞에 공포.

참선을 할 바에는 철저한 활구참선(活句參禪), 최상승참선(最上乘參禪)을 해야 / 생사윤회(生死輪廻)를 하게 된 근원은 무명(無明), 무명은 바꿔서 말하면 분별사량심인데 그것이 바로 번뇌(煩惱)요 망상(妄想). 그래서 참선을 한답시고 번뇌망상, 중생의 분별사량심(分別思量心)으로 따지는 의리선(義理禪), 사구참선(死句參禪)을 해서 어찌 생사 없는 도리(道理)를 증득(證得)하려고 하느냐 / 따져서 알 수 있는 것이라면 가르켜주어 버리면 그만인데, 왜 안 가르켜주고 자기보고 따지라고 허냐? / 참선(參禪)이라 하는 것은 다못 알 수 없는 생각, 은산철벽(銀山鐵壁), 그렇게 콱 맥힌 그 자리에서 '이 무엇고?' / 자자(自恣)의 법요식(法要式) / 요중선(鬧中禪)과 정중선(靜中禪).


우리 사부대중 도반이 이 자리에 모인 것은 생사해탈(生死解脫)을 하기 위한, 지혜의 눈을 뜨기 위한 최상승법(最上乘法)으로 서로 뜻을 같이한 불제자(佛弟子)로서, 도문(道門)에 있어서의 형제간으로서 이렇게 만났으니 이보다 더 뜻이 깊고 반가울 수는 없을 것입니다.

가행정진을 하고 용맹정진을 할 때에 비로소 정법(正法)에 싹은 무럭무럭 자라고 위없는 정각(正覺)에 열매는 무르익어 갈 것입니다. 불법(佛法) 정화(淨化)는 자기의 의견을 주장하면서 상대방을 꺾을려고 하는 데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마음을 청정히 가지고 용맹정진하는 데에서만이 정법은 가까워질 것입니다.

사구선은 화두(話頭)가 없이, 의단(疑團)이 없이 멍청하게 막연하게 고요히 무엇을 들여다보고 앉었는 거. 또는 화두를 들되 분별심(分別心) ‧ 사량심(思量心) ‧ 이로(理路) ‧ 어로(語路) 그래 가지고 분석하고 비교하고 이러한 참선(參禪), 이러한 참선은 가리켜서 '사구선(死句禪)'이라 하는 것입니다.
이 공안(公案)도 따져보고 그럴싸한 답을 얻어내고, 또 저 공안도 이리저리 분석해서 그럴싸한 답을 얻어내고, 그래 가지고 이 공안과 저 공안을 비교하고. 56억 7천만 년 뒤에 미륵불(彌勒佛)이 하생(下生)하실 때까지 참선을 한다하더라도 바른 깨달음은 얻지 못하는 것입니다.

공안(公案)이라 하는 것은 깨닫지 못한 사람에게는 그 공안을 주삼야삼(晝三夜三)에 거각(擧却)을 해서 대의단(大疑團)이 독로(獨露)하도록 정진을 해서 공안을 타파(打破)함으로써 자기(自己)의 면목(面目)을 깨닫고, 불조(佛祖)에 면목을 깨닫고, 생사(生死) 문제를 해결하는 그러한 관문(關門)이 되고.
종사(宗師)가 이 공안을 학자에게 물음으로써 학자(學者)의 소견(所見)을 여지없이 간택(揀擇)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문제가 된다. 공안을 물어보면 그 사람의 소견이 어디에 빠져 있다고 하는 것을 바로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정진(精進)이라 하는 것은 바른 스승의 지도(指導) 없이, 자기가 목숨 바쳐서 믿을 수 있는, 믿어지는 스승의 지도 없이는 세상없이도 바르게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정진을 바르게 못한 한에는 바른 깨달음은 얻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바른 스승 만날려면은 먼저 자기의 마음자세가 바르게 되는 것이 선행 조건(先行條件)이 될 것입니다. 자기가 참으로 참다웁게 발심(發心)을 하고, 참다웁게 분심(憤心)을 낸다면 선지식(善知識)은, 바른 스승은 반드시 만나질 것입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선지식으로부터 받은 공안 하나만을 의지해서 목숨 바쳐서 참구(參究)할지언정, 이 공안 가지고 이리저리 따져보고, 저 공안 가지고 이리저리 따져보고 이러한 식으로 함부로 공안을 희롱(戲弄)하는 사람은 바른 깨달음에 이르기 어려울 것입니다.
한 공안에 철두철미(徹頭徹尾)하면, 그래서 의단(疑團)이 독로(獨露)해서 그 의단을 타파(打破)하면 결정코 천칠백 공안(千七百公案)에 맥힘이 없게 될 날이 오고야만 마는 것입니다.

우리가 생사윤회(生死輪廻)를 하게 된 근원(根源)이 무엇이냐 하면은 무명(無明) 때문에 생사윤회를 하게 되고, 무명이라는 것이 다시 말을 바꿔서 말하면 분별심(分別心)이요 사량심(思量心)인데, 분별사량심이 그것이 바로 번뇌(煩惱)요 망상(妄想)인데, 그것이 바로 생사윤회(生死輪廻)의 근본(根本)인데, 어찌 참선을 한답시고 앉아서 번뇌망상, 중생의 분별사량심(分別思量心)으로 따져 가지고 생사 없는 도리(道理)를 증득(證得)하려고 하느냐 그 말이여.
하나도 의심날 것도 없고 상식적인 얘기고 아무나 알 수 있는 얘긴데 어째서 그것을 모르고 따지고 있느냐 그 말이여. 따져서 알 수 있는 것이라면 가르켜주어 버리면 그만인데, 왜 안 가르켜주고 자기보고 따지라고 허냐 그 말이여.

깨달음이라 하는 것이 가리켜줄 수 있는 것이여? 깨달음이라 하는 것이 배와서 아는 것이여? 얻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았고, 만나기 어려운 불법(佛法)을 만났으면 바르게 닦아서 바른 깨달음을 얻어야 할 것이 아니냐 이거여.

참선(參禪)이라 하는 것, 최상승법(最上乘法)이라 하는 것, 활구참선법(活句參禪法)이라 하는 것은 복잡한 것이 아니여. 다못 알 수 없는 생각. 앞으로 나아가자니 은산철벽(銀山鐵壁)이요, 뒤로 물러서자니 천길만길 낭떠러지.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고, 뒤로 물러설 수도 없는 그렇게 콱 맥힌 그 자리에서 '이 무엇고?'

공부는 고요한 가운데에서도 열심히 하고, 그 고요한 가운데에 열심히 익힌 그 공부를 활동하는 가운데, 시끄러운 가운데에서도 되도록 채찍을 가하면서 정진을 갖다가 밀고 나가야만 되는 것이여. 그래서 시끄러운 가운데에나 조용한 가운데에나 조끔도 걸림이 없이 공부를 다잽이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색성불애처(色聲不礙處), 모든 색과 모든 소리에 걸림이 없어야만, 이것이 바로 법왕성에 이르르는 곳이다」 한 것입니다.

 




---------------------

**전강선사, 송담스님께서 설하신 법문을 모두 합하면 1700여 개의 ‘참선 법문(法門)’이 있습니다.
용화선원에서는 그 중에서 몇 개의 법문을 선정해서 「참선법 A, B, C, D, E」 라고 이름을 붙여, 처음 참선을 하시는 분들에게 이 「참선법 A, B, C, D, E」 를 먼저 많이 듣도록 추천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용화선원 : 송담스님」 '재생목록'에 들어가면 <송담스님 참선법 A~E>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문 블로그 「용화선원 법문듣기」 분류 '참선법 A,B,C,D,E'에도 있습니다.


**전강선사, 송담스님 법문 전체(1700여 개의 육성 법문)을 새끼손가락 손톱만한 microSD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들으실 수 있게 용화선원에서는 이 microSD 메모리카드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문의 : 032 - 872 - 6061~4)
대중스님들께서 참선수행에 더욱 도움이 되고자 선정(추천)한 법문목록도 함께 보급합니다.

Posted by 닥공닥정